선능역인가 설릉역인가 [임철순]


www.freecolumn.co.kr

선능역인가 설릉역인가

2014.12.09


서울 지하철 2호선 선릉역의 이름은 인근에 있는 선릉에서 따온 것입니다. 선릉은 조선 제9대 왕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무덤입니다. 왕릉과 왕비릉이 서로 다른 언덕에 있는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이며 한자로는 宣陵이라고 씁니다. 

그런데 나는 “이번 역은 설릉, 설릉역입니다.”라는 안내 방송을 들을 때마다 거부감을 느낍니다. 왜 설릉이라고 할까, 선능이라고 읽어야 맞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입니다. 

설릉으로 발음하는 근거는 자음동화현상 중 유음화입니다. 유음(流音)이란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잇몸에 댄 채 날숨을 양옆으로 흘려보내면서 내는 소리라고 합니다. ㄴ과 ㄹ이 만나면 앞의 ㄴ을 ㄹ로 발음하는 것을 자음동화라고 하고, 비음(鼻音)인 ㄴ이 유음인 ㄹ이 되는 것을 유음화라고 합니다. 앞의 자음이 바뀌었으니 역행 동화라고도 하고, 변해서 같은 자음으로 발음되니 완전 동화라고도 합니다. 신라는 실라, 대관령은 대괄령, 물난리는 물랄리, 할는지는 할른지...이런 게 그 예입니다. 

하지만 잘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설릉이라는 말을 들으면 ‘여기 혀 무덤이 있나?’ 하게 됩니다. 舌陵으로 들리기 때문입니다. 귀 무덤[耳塚·이총] 코 무덤[鼻塚·비총]은 들어봤지만 혀 무덤은 금시초문입니다. 그 발음은 雪陵으로 오해될 수도 있습니다. 눈을 묻은 무덤이 아니라 눈 덮인 언덕 말입니다. 그런 뜻이라면 낭만이나 있겠지요. 

ㄴ과 ㄹ의 이어 바뀌는 발음의 근거는 표준어규정의 표준발음법 20항입니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그 20항에는 아래와 같은 예외가 제시돼 있습니다. ㄹ을 ㄴ으로 발음하는 경우입니다. 임진란[임:진난] 생산량[생산냥] 입원료[이붠뇨] 결단력[결딴녁] 동원령[동:원녕] 횡단로[횡단노] 상견례[상견녜], 이런 것들입니다. 이런 말들처럼 선릉도 설릉이 아니라 선능으로 발음해야 한다는 게 내 주장입니다.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융건릉(隆健陵)은 사도세자-혜경궁 홍씨의 합장무덤인 융릉과, 정조-효의왕후의 합장무덤인 건릉을 뭉뚱그려 부르는 이름입니다. 그런데 이곳을 융건능이 아니라 융걸릉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은 보지 못했습니다. 걸레 걸인 걸귀, 이런 게 연상돼서 그런지 ‘걸’은 어감도 좋지 않습니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무덤인 건원릉(健元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東九陵) 중 하나입니다. 이 건원릉을 건월릉이라고 읽는 사람은 없습니다. 태종의 헌릉과 순조의 인릉이 있는 헌인릉(獻仁陵)을 헌일릉, 영조의 원릉(元陵)을 월릉으로 읽는 경우도 보지 못했습니다. 

또 서대문로→신문로→새문안길로 명칭이 바뀌어온 거리를 지금도 신문로(新門路)라고 표기하는 사람이 있지만, 이걸 ‘신물로’라고 읽어야 맞겠습니까? 요즘 한창 이름이 오르내리는 유진룡(劉震龍) 전 문화부장관을 유질룡이라고 부르는 걸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또 세계에서 가장 큰 섬 덴마크의 그린란드(Greenland)를 그릴란드로 읽지는 않습니다. on-line을 올라인, Henry를 헬리로 읽으면 완전히 다른 말이 됩니다.

언어학자 이현복 서울대 명예교수의 <한국어 표준발음사전>(2002)에 선릉은 선능으로 발음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표준어규정의 표준발음법 20항의 예외에 해당된다는 것입니다.  또 서울대 언어학과 이호영 교수의 <국어음성학>(2008)은 ‘다음의 합성어들은 화자에 따라 ㄹ이 ㄴ으로 발음되기도 하고 ㄹ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ㄴ으로 발음되는 것이 표준으로 인정된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제시한 예로 음운론 이원론 상견례 등과 함께 선릉 신문로가 나옵니다. 아나운서로 오래 일한 바 있는 전영우 수원대 명예교수의 글 제목은 아예 ‘선릉의 발음은 [설릉]이 아니다’(1997)입니다. 전 교수의 <표준 한국어발음사전>(2007)에도 선능으로 발음한다고 돼 있습니다. 

표준어규정 20항의 예외에 대해 국립국어원은 ‘붙임’이라는 해설을 통해 ‘한자어에서 ㄴ과 ㄹ이 결합하면서도 [ㄹㄹ]로 발음되지 않고 [ㄴㄴ]으로 발음되는 예들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권력은 궐력으로 읽지만 공권력은 공꿘녁이 되니 [ㄴㄴ]으로 발음하는 단어와 [ㄹㄹ]로 발음하는 단어는 개별적으로 정하여 사전에 그 발음을 표시하여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똑같은 ㄴ+ㄹ인데도 왜 삼천리(三千里)는 삼철리, 진리(眞理)는 질리라고 발음하는 데 아무런 거부감이 생기지 않을까? 왜 문래(文來)역 신림(新林)역은 문내가 아니라 물래, 신님이 아니라 실림으로 읽는 게 당연하게 느껴질까? 그것은 ㄹ로 된 단어를 앞에 쓸 때 ㄴ으로 표기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초점인 것으로 보입니다. 陵은 능, 路는 노로 표기할 수 있지만 里나 理는 니, 林은 님으로 표기할 수 없습니다. 龍도 뇽으로 표기할 수 없지요. ㄴ으로 표기할 수 없는 단어일 경우 ㄹ로 읽는 게 옳다는 거지요. 

하지만 신라의 羅는 앞에 올 때 나로 쓰는데도 신나가 아니라 실라로 읽어야 하니 정말 헷갈립니다. 곤란(困難)의 難도 난으로 쓸 수 있는데 골란으로 읽습니다. 도대체 무슨 법칙, 어떤 원칙으로 이런 걸 똑 부러지게 설명할 수 있나요?

선릉역의 발음 표기는 한 번 바뀐 것입니다. 1982년 12월 영업을 개시한 선릉역은 처음엔 선능이라고 했다가 잘못된 발음이라는 지적에 따라 설릉역으로 변경했습니다. 그렇게 바꾼 뒤인 1997년 국립국어연구원(지금은 국립국어원)이 4대째 서울에 살고 있는 토박이 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0명 전원이 ‘설릉’ 발음은 잘못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선능’으로 발음해야 한다는 거지요.

그런데도 설릉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하철 안내방송을 녹음한 성우는 발음이 헷갈려 국어학자에게 자문도 했다던데, 결국 선능 설릉 두 가지로 녹음을 한 뒤 듣기 좋은 쪽을 택했다고 하니(경향신문 1996.9.17 ‘안내방송인’ 기사) 우스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역의 영어 표기는 Seolleung이므로 영어권 사람들은 설릉으로 읽지만, 일본어 표기는 ソンヌンson-nung이니 손능이 됩니다. 일본인들이 선능이나 설릉으로 읽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입니다. 내국인들도 헷갈리고 외국인들도 혼란스럽습니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에는 선릉역 발음에 관한 질문이 수시로 올라옵니다. 가장 최근의 질문(2014년 10월)은 “주변 사람 20명을 조사했는데 설릉이라고 발음한 사람은 2명뿐이었다.”며 “선능을 표준발음으로 규정할 생각이 없느냐?”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은 “설릉 발음이 맞다. 개정 여부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다.”였습니다. 

내가 만약 서울지하철 운영 책임자이거나 선릉역장이라면 역 구내에 이런 발음문제에 관한 자료를 게시하고, 이용자들이 의견을 표시할 수 있게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선릉역에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겠습니다. 문화유산 선릉만 생각하는 역이 아니라 한국어 발음을 생각하는 역이 되도록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은 이런 이벤트와는 별도로 선릉역 발음에 대한 전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와 조사를 통해 서둘러 혼란을 해소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필자소개

임철순

1974~2012년 한국일보 근무. 문화부장 사회부장 편집국장 주필 및 이사대우 논설고문을 역임했다. 
한국기자상, 삼성언론상, 위암 장지연상 수상. 
현재 한국일보 논설고문, 자유칼럼 공동대표, 한국언론문화포럼 회장, 한국1인가구연합 이사장.

Copyright ⓒ 2006 자유칼럼그룹.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freecolumn.co.kr


"from past to future"

society & culture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