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도재개발, 강북에서 강남으로?

 

 

"대청마을 이어 양재2동까지"

강남으로 옮겨간 공공주도재개발 바람

 

   강남권 일대 노후 주택가를 중심으로 최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 바람이 불고 있다. 그동안 공공 재개발 사업이 주로 강북권에서 활발했던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모습이다.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초구 양재2동 1구역에서는 최근 재개발 추진위원회가 발족됐다. 지난 10일부터는 주민 동의 절차를 시작했다. 추진위는 이번 주 중으로 도심복합사업 예정지구 신청에 필요한 주민 동의율 10%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서초구 양재2동 1구역 / 김송이 기자

 

1구역 추진위 관계자는 “양재 2동은 주택 노후도가 20년으로 맞춰져 있어 노후도 기준이 30년 이상인 민간 재개발을 추진하기엔 10년 이상 기다려야 했다”면서 “인근 개포동이 신축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하는 모습을 보며 주민들의 박탈감이 심해 공공주도재개발을 추진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했다.

 

 

복합사업은 2·4 대책에 담긴 ‘공공주도 3080+’의 사업 중 하나다. 토지주와 민간기업, 지방자치단체가 도심 내 입지가 우수한 곳에 재개발 사업을 제안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혹은 서울주택공사(SH)가 국토교통부와 적정성을 검토한 후 사업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빠른 인허가 절차와 용적률 인센티브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 역세권인 양재 1구역은 낡은 빌라 등이 밀집해 주거 환경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최근 신축 빌라들이 들어서면서 민간 재개발을 추진하기도 어려웠다. 그러나 정부가 올해 3월 도심 복합사업에서 노후도 기준을 기존 30년에서 20년으로, 노후건물 비중을 67%에서 60%로 완화해주면서 재개발 사업에 탄력이 붙은 것이다.

 

1구역 나홀로 아파트에 사는 구모(57)씨는 “바로 옆 동네와 달리 빌라 밖에 없는 지역이 아파트 촌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사업 추진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서 “최근 추진위에서 홍보를 하면서 같은 단지 주민들도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조만간 반상회도 열기로 했다”고 말했다.

 

양재2동 2구역도 지난 16일부터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참여를 위한 동의서 징구를 시작했다. 2구역 역시 양재시민의숲 역세권이지만 노후도 문제로 민간 재개발의 진전이 어려웠던 곳이다. 추진위는 내년 1월, 후보지 확정을 위한 주민 동의율(67%)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구역 추진위 관계자는 “지난 달 말부터 집집마다 도심복합사업에 대한 안내문을 붙이고 다녔는데, 주민들이 관심을 가지면서 하루에 추진위 사무실로 문의 전화가 100통 이상 온 적도 많다”면서 “이 지역이 재개발 되기 위해선 선택지가 도심복합사업 하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안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서초구 양재2동 1구역의 모습. 노후 건물 건너편으로 신축 건물이 들어서 있다. /김송이 기자

 

강남권에서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을 저울질하는 것은 강남구 일원동 대청마을 이후 양재2동 1·2구역이 두 번째다. 앞서 대청마을은 도심복합사업 예정지구에 필요한 주민 동의율 10%를 넘긴 후, 후보지 지정을 추진했으나 사업에서 탈락한 뒤 신속통합기획으로 방향을 튼 상태다.

 

다만 도심복합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의심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양재2동 인근 H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이 동네 소유주들의 70%는 외지 투자자들이기 때문에 도심복합사업 동의율을 채우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최근 신축 빌라가 많이 들어서고 또 들어설 예정이라 도심복합사업을 추진할 만큼 재개발이 시급하지 않은 데다 지가도 평당 6000만원 대로 높아 사업지로 선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많다”고 했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정부와 서울시가 주택 공급과 공공 주도 정비사업에 방점을 찍은 만큼 강남인 양재2동 일대를 도심복합사업 사업지로 지정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면서 “다만 다른 후보지들보다 노후도가 낮아 획기적인 용적률 상향, 높은 보상금 등의 제안이 없으면 사업이 진행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김송이 기자

 

Recent Article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