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고 진부한 도시공원...공원도 재정비 필요" [건설산업연구원]

 

삶의 질에 따른 시대의 요구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숲세권’, ‘공세권’이라는 용어에서 볼 수 있듯 공원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위기를 겪으며 답답한 시민들의 휴식처로서 도시공원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으나 최근 노후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조성한 지 20년 이상 된 도시공원, 전국 34%, 서울은 69%에 이르고 있어

지금까지 공원을 확충하는 데만 초점을 맞춰온 반면, 질적 개선은 소홀해 왔어

대표적인 공공재인 공원, 성능평가체계 구축하고 공공 예산 확충해야

공공재정만으로는 한계…, 민간 재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방안 마련 필요

 

 

이에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재영)은 17일 ‘성숙도시 시대, 노후·저이용 도시공원 재정비 방안’ 보고서를 통해 도시공원 노후화 실태를 분석하고,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공원을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국내 다수의 도시공원에서는 조성된 지 오랜 기간이 지나 노후화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8년 공원수 기준으로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공원은 34%, 10년이 넘은 공원은 66%에 이르고 있다.

 

도시화가 가장 먼저 시작된 서울시의 경우 1970년대 중반부터 생활권 내 공원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해서 조성 후 20년 이상 된 공원이 전체의 69%, 10년 이상은 91%에 이르는 등 공원의 노령화가 특히 많이 진행되었다.

 

공원은 수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오래될수록 좋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노후화 문제로 인해 일상적인 유지·관리를 넘어서는 수준의 대대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

 

 

 

먼저, 시간이 지나면서 공원 시설물의 신설, 교체 수요가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놀이터는 놀이기구 노후화 시 안전 문제가 발생하기에 재정비 수요가 잦다. 

 

또한, 과거 공원이 조성될 당시 가용자원이나 설계기술이 부족하여 장소의 잠재적인 가치를 충분히 실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진부해지거나 이용자의 달라진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민간 영리부문 투자를 활용한 공원 재정비사업 사례 (일본, 한국)

 

마지막으로, 조성 당시 수목의 식수와 관련한 세심한 계획이 부족했을 뿐 아니라, 조성 후에도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곳이 많다. 이로 인해 위험수(부러질 우려가 높은 나무 등)가 방치된 곳도 상당수 존재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