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아내와의 두 번째 결혼 [추천시글]

 

같은 아내와의 두 번째 결혼

2021.07.12

 

예순여덟 살의 마이클 조이스는 네 살 아래의 아내 린다와 결혼해 벌써 34년째 함께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그만 아내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고 말았습니다. 알츠하이머가 그의 모든 기억을 빼앗아 가 버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절대 잊히지 않는 기억이 하나 있었습니다. 자신이 린다를 깊이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내에게 청혼했습니다. 린다는 물론 승낙했습니다. 남편과의 사랑을 다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둘은 이웃 친지들이 보는 앞에서 다시 한 번 결혼했습니다. 결혼식장은 눈물바다가 되고 말았습니다.

 

얼마 전 해외 뉴스를 아내에게 읽어 주다가 둘이 한참 동안 낄낄거리고 웃었습니다. 너무 웃어서 눈물이 났습니다. 그 눈물이 또 다른 눈물을 불렀습니다. 웃고 울고 하는 사이 그 뉴스가 결코 웃어넘길 일만은 아님을 뒤늦게 깨달은 것입니다.

 

 

정말 우습고도 놀라운 건 그다음이었습니다. 알고 보니 마이클과 린다 조이스의 이야기는 벌써 3년 전인 2018년 1월의 일이었습니다. 세계적인 유력 신문이 왜 그렇게 해묵고 철 지난 이야기를 뜬금없이 인터넷판에 올려놓았는지 의아했습니다. 아마도 취재팀이 유사한 이야기를 들이밀자 편집 과정에서 혼동을 일으켜 엉겁결에 옛 기사를 다시 올려놓았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바로 지난달 21일 미국 매사추세츠 홀리오크에서도 똑같이 알츠하이머에 걸린 남편의 청혼으로 50대 부부, 리사(54)와 피터 마샬(56) 부부가 두 번째 결혼식을 올렸던 것입니다.

 

세상에, 어떻게 그렇게 똑같은 사연이 반복해서 일어날 수 있는 건지. 전혀 다른 주인공들의 아주 똑같은 러브스토리(?)를 읽으며 이건 내가 치매에 걸린 게 아닐까, 두 이야기를 대조해 가며 한동안 혼란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린다와 마이클은 젊은 시절 스코틀랜드 글라스고에서 처음 만나 사랑에 빠졌습니다. 린다는 마이클이 보고 싶어 고장 나지도 않은 스토브를 고쳐 달라며 전기 기사인 마이클을 불러들일 정도였습니다. 둘은 1984년 그곳에서 결혼했고, 이후 뉴질랜드에 정착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마이클이 예순도 되기 전인 2009년부터 전과 다른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능숙한 솜씨를 자랑하던 운전이 눈에 띌 만큼 서툴러졌습니다. 하루 전에 본 TV 프로그램을 이튿날 똑같이 들여다보며 똑같은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작업에서도 실수가 이어졌습니다. 마침내는 말하는 것조차 힘들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린다는 온종일 마이클을 돌보아야 했습니다. 어떤 결정이든 혼자서 내려야 했습니다.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쉽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남편과의 두 번째 결혼식을 치른 린다는 이렇게 말합니다. “결혼 서약 때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크게 떨렸어요. 건강하거나 아프거나 언제든 그를 존경하고 사랑하겠다고 말했어요,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 그 말끝에 또 목이 메더군요. 만약 마이클을 잃게 된다면 나는 완전히 망가지고 말 거예요. 그가 바로 나의 세계랍니다.”

 

​병 중에 무서운 병이 치매라고 말합니다. 의학의 눈부신 발전 덕분에 인간의 평균 수명은 놀라울 만큼 길어졌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매 치료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지난달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처음으로 제약사 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승인한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바로 그날부터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 치료 효과와 뇌 손상 위험에 대한 논란이 비등했습니다. 결국 승인 관련 인사들이 해임되었다는 아쉬운 보도가 뒤따랐습니다.

 

​치매 예방 내지 지연을 위해서는 그저 알맞게 영양 섭취하고 열심히 팔다리와 뇌 운동하고 즐겁게 사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들 합니다. 그런데도 치매로 고생하는 경우들을 보면 신체적인 건강이 치매 예방을 완전히 보장하지는 못하는 듯합니다. 또 치매는 걸린 환자보다 그 보호자, 주변 사람들이 더 큰 고통을 떠안게 된다고 합니다. 치매 환자는 고통조차 모르니 오히려 행복할 거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모두들 나이 들며 그런 한심한 병만은 안 걸렸으면 하고 소망합니다.

 

산 사람은 천당과 지옥을 알 길이 없고, 죽은 사람은 천당과 지옥을 알릴 길이 없습니다. 치매 환자 주변 사람들은 환자가 겪고 있을 고통을 이해할 수가 없고, 치매 환자는 자신이 겪고 있는 변화와 혼란과 놀라움과 고통과 슬픔을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치매에 대한 설명은 치매 환자가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눈에 비친 환자의 모습일 뿐입니다. 영화 <더 파더(The Father)>는 바로 그 치매 환자의 머릿속 깊은 곳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그려내 본 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해에 오해가 뒤섞이고, 믿음에 불신이 끼어드는 사이 모두가 떠나갑니다. 이웃도 친지도 가족도. 그리고 마침내 내 안의 나, 나를 지켜온 자아까지도 떠나갑니다. 떠난다는 것, 이별한다는 것은 늘 애달프고 슬픈 것입니다. 물리적인 이별도 뒤따르지만 그에 앞선 정신적, 영적 이별이 더 비극적이고 두렵습니다.

 

 

<더 파더>의 마지막 장면들이 너무 생생합니다. 중증의 치매로 마침내 요양원에 갇히게 된 80대 노인 안소니, 주변과 세상의 돌변에 의심하고 놀라고 분노하고 싸우고 저항하다 마침내 지쳐버린 그는 간호사에게 물어봅니다. "Who exactly am I(도대체 내가 누구요)?" 그리고는 흐느낍니다. “엄마가 보고 싶다”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아기처럼 간호사의 품에 안긴 채.

 

<더 파더>를 첫 번째는 좀 언짢은 기분으로, 두 번째는 아주 진지하게 들여다보았습니다. 결국 치매 남편의 청혼을 받아들여 두 번째 결혼식을 올린 린다와 리사의 사랑이 치매 환자가 기댈 수 있는 최선의 치료약이자 위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이 칼럼은 필자 개인의 의견입니다.

자유칼럼의 글은 어디에도 발표되지 않은 필자의 창작물입니다.

자유칼럼을 필자와 자유칼럼그룹의 동의 없이 매체에 전재하거나, 영리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필자소개

 

방석순

스포츠서울 편집국 부국장, 경영기획실장, 2002월드컵조직위원회 홍보실장 역임. 올림픽, 월드컵축구 등 국제경기 현장 취재. 스포츠와 미디어, 체육청소년 문제가 주관심사.

 

2006 자유칼럼그룹

www.freecolum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