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나라 한국에서 부는 반중 정서..."원래 DNA가 그래"

 

   중국은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 친구인가, 적인가. 협력해야 할 대상인가, 배척해야 할 대상인가. 아니면 불가근불가원 원칙 아래 중립지에서 관망해야 할 나라인가. 이런 질문은 실은 현대사에서 생긴 질문이 아니다. 유사 이래 숱하게 던져진 수천 년짜리 질문이다. 그리고 이제 그 질문 자체가 흔들리는 중이다.

 

 

2021년 한국은 ‘반중(反中)’으로 뭉쳤다. 작게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중국 소품 사용부터 크게는 한·미 정상회담 문구 하나까지, 중국과 관련한 모든 이슈에 극렬하게 반대하는 여론이 압도적이다. ‘중국이 싫다’라는 감정이 단언컨대 시대정신으로 떠오르는 중이다. ‘중국은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라는 질문은 이제 ‘우리는 왜, 그리고 얼마나 중국을 싫어하는가’로 바뀌고 있다.

 

 

〈시사IN〉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는 여론조사를 통해 이 질문을 던져보기로 했다. 반중 현상의 현주소를 드러내고 그 이유까지 최대한 파악하려면 전화 여론조사로는 부족했다. 떠올릴 수 있는 요인을 모두 다 집어넣은 방대한 질문을 던져야 했다. 한국리서치 정한울 연구위원(정치학 박사), 이동한 여론본부 차장과 함께 4월 초부터 머리를 맞댄 끝에 200개가 넘는 초대형 설문지가 나왔다.

 

이처럼 방대한 설문은 한국리서치가 확보한 온라인 웹조사 패널 57만명이 있기에 가능했다. 이 온라인 응답자들은 문항이 방대해지더라도 응답률이 별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번 조사에서 인구비례에 맞춰 7018명에게 조사 요청을 보냈고, 이 가운데 1229명이 참여했다. 이 중 229명이 중도에 포기했고, 1000명이 최종 응답했다. 우리는 이 조사를 ‘한국인의 반중 인식 조사’라고 이름 붙였다.

 

결과는 예상보다 더 심각했다. 한국인의 반중 정서는 끓어오를 대로 끓어오른 용광로였다. 여기에는 진보와 보수도, 경제 격차도 따로 없었다. 일본·북한보다 중국이 더 싫다는 응답이 실제로 나왔다. 이번 조사 결과를 앞에 두고, 2018년 이후 한국리서치의 정기조사 자료를 화면에 띄운 이동한 여론본부 차장의 첫마디가 이랬다. “사드 배치 국면 이후로 중국에 대한 호감도가 일본·북한보다 낮게 나온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반일에 버금가는 반중 민족성”

구체적인 피해 경험으로 이루어진 감정

‘친중 정치인’ 낙인찍힐라 쉬쉬하는 여의도

 

 

 

결과를 보자. 우리는 응답자가 한반도 주변국에 대해 느끼는 감정 온도를 측정했다. 0도는 매우 차갑고 부정적인 감정, 100도는 매우 뜨겁고 긍정적인 감정이다. 미국이 57.3도로 가장 높았고, 일본 28.8도, 북한 28.6도였다. 중국이 26.4도로 가장 낮았다(위 〈그림 1〉 참조). 주변국 ‘사람’에 대한 응답에서는 온도차가 더욱 커졌다. 북한 사람(37.3도), 일본 사람(32.2도)보다 중국 사람(26.3도)에 대한 호감도가 확연히 낮았다(아래 〈그림 3〉 참조).

 

 

 

더 자세하게 보자. 우리는 응답자의 감정 온도를 매우 부정적, 약간 부정적, 중간, 약간 긍정적, 매우 긍정적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49.3%)과 약간 부정적(26.6%)이 75.9%를 차지했다. 일본은 매우 부정적(47.7%)과 약간 부정적(24.2%)을 합쳐 71.9%였다. 중국인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49.6%)과 약간 부정적(25.9%)이 75.5%로, 일본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65.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기에서 피상적인 결론이 나온다. 한국인은 중국이 싫고, 중국인은 더 싫다.

 

[전문]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821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