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연구원, 해상풍력 획기적 공기단축 기술 개발
해상풍력 1기에 100일 소요
340억 들여 해상풍력 일괄설치시스템 'MMB' 개발
석션버켓 공법 실증 마쳐…전용 선박 내달 진수식
공사 기간 축소로 시공비 30% 절감 효과…㎿당 6억
풍력발전기 1기를 바다에 세우려면 대략 100일이 걸린다.
해수면 위로 드러난 발전기 높이만 100m에 육박하는 대형 구조물이다. 밑으로는 이를 버틸만한 하부 기초 구조물을 해저에 단단히 박아 넣어야 하는데 이 작업에 대부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관련기사
전력연구원, 말레이시아 자나만중 화력발전소 안전성 평가한다
https://conpaper.tistory.com/93820
edited by kcontents
그만큼 공사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또한 공사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탓에 어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도 컸다. 이는 지금까지 국내에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가 들어서지 못한 대표적인 이유다.
최근 한국전력 전력연구원은 이런 진입장벽을 허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에 지난 8일 대전에 위치한 전력연구원을 찾아 직접 설명을 들어봤다.
'세계 최초' 新개념 해상 급속 설치 기술 확보
전력연구원은 지난 2016년부터 해상풍력 일괄설치시스템(MMB) 개발에 공을 들여왔다. 관련 예산만 340억원에 달한다.
이는 해상풍력 발전 단가(LCOE)를 줄이기 위한 신개념 해상 급속 설치 기술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시작된 사업이다. 그간 설치비용이 지나치게 과다했고 유럽에서 빌려오는 해상 크레인 수급에도 한계가 있었다.
MMB의 핵심은 석션버켓 공법이다. 이는 속이 비어있는 철 파이프(강관)를 해저 면에 거치하고 내외부 수압 차이를 이용해 기초 구조물을 설치하는 기술이다.
철 파이프 상단에는 펌프가 달려 있어 내부의 물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 수압으로 누르는 힘이 생기면서 파이프가 땅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주사기 원리와 비슷하다.
기존에는 대형 장비를 사용해 해저 지반에 말뚝을 두들겨 넣는 재킷 방식을 활용해왔다. 이 방식은 하부 기초 구조물을 만드는데 최대 90일가량이 필요하지만 석션버켓은 하루 정도면 완성된다.
이러면 시공비를 지금보다 30%(㎿당 6억) 이상 아낄 수 있다는 게 전력연구원의 분석이다. 또한 수압 차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진동·무소음의 친환경 설치 공법이라는 장점도 지닌다.
실제로 전북 고창에 위치한 해상풍력 실증단지에는 1기의 발전기가 석션버켓을 활용해 설치되기도 했다.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russa@newsis.c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14_0001369731
[참고자료]
석션버켓 해상풍력시스템 국제전문학회 최우수 프로젝트상 수상
석션버켓 해상풍력시스템의 우수한 기술성과를 세계적으로 인정,
해상풍력 기초구조물의 시공비 및 설치기간 단축으로 경제성 확보
https://www.kepri.re.kr:20808/board/news_data/749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