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돈 걱정없는 '金퇴족'...평균 금융 자산은?


은퇴 후 돈 걱정없는 '金퇴족', 평균 금융자산 1억2천…40대 갈려(종합)


하나금융그룹, 금퇴족의 금융자산 현황 분석

금퇴족 30~40대 때 주식, 펀드 투자 '활발

50~55세 금퇴족 평균 소득은 월 511만원


   은퇴 후에도 여유로운 노후를 누릴 수 있는 이른바 ‘금(金)퇴족’의 금융자산은 평균 1억2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규모는 커졌다.


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금퇴족은 40대부터 두드러지는데 연금자산 규모가 크고 펀드 투자도 활발히 했다. 다만, 부동산이 있는 경우 주식투자 비중을 낮췄다.


또 50~64세 퇴직자들이 답한 충분한 노후자금은 평균 6억800만원이었다. 하지만 개인들이 내놓은 개별적인 생각을 들여다보면 큰 폭의 차이가 드러났다. 노후자금 5000만원으로도 충분하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12억원도 부족한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인마다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노후자금은 매우 다양했다.




9일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가 발표한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에 따르면 금퇴족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2000만원으로 전체 조사대상(9000만원) 보다 35%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 6000만원 ▲35~39세 1억1000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000만원 ▲50~55세 3억9000만원이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규모는 커졌다.



40대 갈리는 금퇴족 평균 금융자산 1억2000만원

금퇴족은 40대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40대 초반 금퇴족의 금융자산은 전체보다 1억원 이상 많다. 30대 후반의 차이가 5000만원인 것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벌어지는 셈이다.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차이가 드러난다. 금퇴족은 전 연령대에서 펀드·연금·신탁 규모가 전체 보유 금융자산 중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전체 평균보다 7~1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들의 주식투자 비중은 40~44세, 펀드투자 규모는 45~49세에 절정에 달했다. 40~44세 금퇴족은 일반펀드와 퇴직연금, 연금저축 등을 통해 금융자산 중 15%를 주식에 배분했다. 이는 같은 연령대(6%)에 비해 9%포인트 높으며,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펀드투자 규모는 평균 5900만원으로 45~49세 때가 절정이었다. 50대의 펀드잔액도 5800만원으로, 40대에 활발한 펀드투자가 50대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주택연금)이 있다면 금퇴족의 범위는 확대됐다.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2019년말 시가 3억1000만원 주택연금 기준)을 확보하면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이 당장 3억9000만원에서 2억2000만원으로 하락했다.


금퇴족 비결, 펀드·연금저축 투자 활발

부동산 현금흐름은 주식투자비중도 낮췄다. 부동산 현금흐름 고려 시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도 15%에서 8%로 하락하는 등 부동산 현금흐름은 금퇴족의 문턱을 떨어트렸다.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변화가 컸다. 은퇴에 가까운 50~55세의 경우 금퇴족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5000만원(월 300만원 미만) ▲3억1000만원(월 300만~500만원) ▲5억1000만원(500만~800만원) ▲10억6000만원(800만원 이상)까지 차이를 나타냈다.


센터 측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소비지출이 증가하지만 국민연금은 일정 수준 이하에서 머물기 때문에 직접 마련해야 할 현금흐름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50~55세 금퇴족은 평균 소득이 월 511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연령대 임금근로자보다 월 69만원 많았다. 이 연령대의 금퇴족이 현재 매월 지출할 것으로 추정되는 소비지출은 월 298만원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월 298만원 소비지출을 유지하려면 예상되는 국민연금(131만원)을 제외하고 월 167만원을 충당한 사람들이 금퇴족에 해당됐다.


조용준 센터장은 “금퇴족은 연금자산 규모가 크고 펀드투자도 활발했다”며 “40대 초반까지 금퇴족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 게 이상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연금자산을 지키고 금융투자를 실행하는 게 가장 기본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행복연구센터가 하나은행 인공지능(AI)빅데이터센터와 30~55세 남성을 대상으로 금퇴족의 실제 사례를 찾았다. 소득수준과 연령대별로 60세부터 기대여명까지 현재 소비지출을 유지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이상적인 케이스를 추출해 특징을 살펴봤다.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