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ITER '인공태양 프로젝트'에 가압기 공급 ㅣ 현금확보 나섰지만 갈 길 구만리


두산중공업, '인공태양 프로젝트'에 가압기 공급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경쟁 입찰에서 수주


    두산중공업[034020]이 미래 에너지원인 '인공태양'을 만드는 국제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두산중공업은 영국 자회사인 두산밥콕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기구와 가압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운반차량이 가압기를 공장 내부로 운송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중공업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Z7SEHQ8E2

edited by kcontents


ITER은 태양의 에너지 생산 원리인 핵융합을 이용해 지상에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 에너지원인 '인공태양'을 만드는 국제 공동 프로젝트로, 지난 7월 조립을 시작했다.


ITER은 핵융합 에너지의 대량 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7개국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건설·운영한다. 2025년 프랑스 카다라쉬 지역에 완공해 2042년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여기에 들어가는 가압기를 자체 기술로 설계·제작해 2022년까지 공급한다. 가압기는 열교환시스템의 압력을 유지하고 과압 보호 기능을 한다.




수주 계약은 국제 경쟁 입찰을 통해 체결됐다.


나기용 두산중공업 부사장은 "이번 수주를 통해 두산중공업 발전설비의 설계와 제작 역량을 세계적으로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며 "핵융합 상용화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hee1@yna.co.kr


두산重, 현금 확보는 순항 중인데 회생 가능할까


두산重, 자구안 이행으로 현금확보 나섰지만 갈 길 구만리

풍력·소형원전 당장 이익내기 어려워…추가 지원 필요할 듯


‘구조조정 우등생’ 두산중공업 (14,100원▼ 1,150 -7.54%)이 다시금 살아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자산매각, 유상증자에 속도를 내며 자구안을 순조롭게 이행 중이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기회에 친환경 에너지사업으로 사업구조를 재편한다는 계획이지만, 신규 사업 부문은 이른 시일 안에 이익을 내기 어려워 발주 등 추가 지원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일 재계에 따르면 두산 (50,700원▼ 2,600 -4.88%)그룹은 지난 4일 두산솔루스와 모트롤사업부를 매각하고, 두산중공업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두산은 계열사 매각 대금으로 두산중공업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증자를 통해 마련한 자금을 채권단 차입금 상환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의 가스터빈 사업./ 두산중공업 제공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의 친환경 사업 강화에도 나섰다. 두산 대주주 13명은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보유 중인 두산퓨얼셀 지분 23%(5740억원)를 무상 증여했다. 두산중공업은 두산퓨얼셀의 대주주로 올라서면서 연료전지, 풍력, 중소형원자로, 가스터빈 등 친환경 발전기술 라인업을 구축하게 됐다.




신사업 기술 ‘걸음마’ 수준… 수익 내는 데도 수년 걸려

증권업계와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두산중공업이 유상증자와 두산인프라코어 (7,930원▼ 100 -1.25%)매각까지 모두 성공할 경우 별도 기준 부채비율이 293%에서 144%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신성장 사업이 원전이나 석탄 사업을 대체할 만큼 수익을 내지 못해 또다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자본 확충만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는 없다"며 "여전히 이자 비용이 과중하고, 미래사업이 이익에 기여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봤다. 이동헌 대신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 입장에서는 유상증자와 두산퓨얼셀 지분 증여가 최상의 시나리오였다"면서도 "주요 에너지 사업들의 가치는 아직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두산중공업이 육성하고 있는 풍력발전과 가스터빈 사업은 ‘걸음마’ 수준이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8MW급 해상풍력발전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지멘스 같은 해외 기업은 12MW급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후발주자로 나선 탓에 당장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 성능과 원가 경쟁에서 밀리는 상황이다.


가스터빈 사업에서도 이른 시일 내 장밋빛 미래를 바라긴 어렵다. 가스터빈 시장은 GE와 지멘스, 미쓰비시-히타치파워시스템(MHPS) 등이 점유율 70% 이상을 독차지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트랙 레코드’가 많지 않아 과점 시장을 뚫기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내부에서도 가스터빈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수년이 필요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안전성 높은 원전’으로 알려진 소형모듈원전(SMR) 사업도 수익을 내는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중공업이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하는 뉴스케일 소형원전 사업은 2023년 건설을 시작해 2029년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소형원전 사업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사업이지만, 투자 회수 기간이 다른 사업보다 길어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 지원 없이는 살아남기 어려워… 대주주 노력도 필요

이 때문에 에너지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두산중공업의 화력발전과 신사업 모두 지원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당장 신사업이 해외에 뒤처지더라도 놓칠 수 없는 데다 정부 지원이 있어야 트랙 레코드라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점유율 1위인 두산퓨얼셀의 연료전지도 생산원가와 운영단가가 높아 정부 지원이 없다면 실질적으로 보급이 어렵다.


정동욱 교수는 "국회에서는 해외 석탄 화력발전 사업에 참여하는 것까지 금지하려고 하는데 차라리 일본처럼 ‘환경오염이 적은 화력발전을 만들겠다’는 점을 내세우는 것이 낫다"며 "신재생 에너지 트랙 레코드를 위해 화력발전 사업과 패키지로 묶어 수출하게끔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두산 오너가의 고민도 필요하다고 봤다. 두산중공업의 포트폴리오를 보스턴 컨설팅의 BCG 매트릭스 기법에 대입해보면 꾸준한 매출을 만들어내는 캐시카우는 없고, 미래가 불투명한 사업(퀘스천마크, 물음표)만 남기 때문이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그간 글로벌 에너지 트렌드 변화가 있었는데 유동성 위기에 처한 뒤에야 포트폴리오를 바꾼다는 점에서 회의감이 든다"며 "순차적인 포트폴리오 전환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두산중공업은 캐시카우인 화력발전을 버리고,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신사업에만 올인하려고 한다"며 "이러한 포트폴리오는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경영진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안소영 기자 조선비즈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