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산산단에 대규모 신규 매립지 추진


울산시-산단공, 온산산단에 대규모 신규 매립지 추진

 

<기획>울산 산업폐기물 문제 해법은? 下- ‘공영개발’ 핵심 방안으로

산단공과 산단확장 방식 용암리 일원 29만6천㎡ 조성 진행

KDI 예비타당성 조사 중… 사업 완료까지 3년 정도 소요돼

“신규 매립장 조성 이전 폐기물 대란 긴급처방 필요” 지적도


      앞서 울산시와 울산의 싱크탱크인 울산연구원은 산업폐기물 대란 해결을 위해 ‘공영개발’을 핵심 방안으로 제시했고, 이제 3년 정도만 기다리면 이 해법은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국가공업단지ⓒ/울산시 시사저널(http://www.sisajournal.com)

edited by kcontents


6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울산시와의 협의를 통해 울주군 온산국가산업단지 북서측 온산읍 학남리와 청량면 용암리 일원에 대규모 산업폐기물 매립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국가산단 확장방식의 공영개발로 매립 면적이 29만6천㎡ 정도에 이른다. 이 정도 면적이면 30년 정도는 거뜬히 사용할 수 있을 거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타당성 검토 용역까지 마무리된 상태고, 현재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중이다.




앞서 산단공 울산본부는 시에 보전용지를 공업용지로 변경하는 도시기본계획 변경요청 및 산단개발계획 변경 등에 대한 행정 지원을 요청했고, 산업시설용지 수요조사에 대한 협조와 폐기물 매립장 설치에 대한 시 및 산하기관의 참여 의사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두 KDI 예타 조사 과정에서 검토되는 사안이다.


참고로 산단 확장과 관련해 산단공 울산본부는 현재 수소산업에 특화된 산단을 검토 중이며 희망 유치업종은 수소생산, 수소연료전지 및 발전, 수소 자동차 부품, 수소 스테이션 등이다.


이 같은 공영개발 외에도 시는 산업폐기물 대란 해결을 위해 그 동안 신규 매립장 조성 및 기존 매립장 증설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실제로 울주군 온산읍 학남리 산38 일원에 매립면적 9만8천㎡, 매립용량 263만4천㎥에 이르는 적잖은 규모의 매립장 신규건립이 추진 중이다. 지난해 11월에 사업계획서가 접수됐는데 현재 시가 검토 중이다.


이 외에도 비록 무산되긴 했지만 울주군 온산읍 삼평리 산20-5 외 14필지와 산20-5 외 20필지에서도 한 개발업체가 매립면적 14만4천㎡, 매립용량 421만1천㎥ 규모의 매립장 신설을 추진했으나 울주군 도시계획심의위원회에서 채택이 되지 않으면서 자진 철회했다. 이 업체는 현재 사업계획을 다시 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상일보

edited by kcontents


신규매립지 조성은 다소 부진한 편이지만 용량증설은 조금씩 현실화됐다.


기존 매립장인 ㈜EST의 경우 용량증설을 통해 212만5천㎥에서 230만8천㎥로 20만㎥ 정도가 늘었고, 지역 내 최대 규모의 매립장인 ㈜코엔텍은 320만7천㎥에서 440만9천㎥로 120만2천㎥ 정도의 용량증설이 추진 중이다. 허가는 이미 났고, 시설공사만 하면 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산업폐기물 매립지라는 게 대표적인 님비(지역이기주의) 시설인 만큼 환경문제도 있고 인근 주민들을 설득해야 하는 등 복잡한 문제들이 많다”며 “그래서 시 차원에서는 산단공이 추진 중인 공영개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3년만 기다려줄 것”을 요청했다.


또 “산단공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산단공이 나서 국가산단 확장방식으로 매립지를 조성한다는 건, 산업수도 울산의 산업폐기물 대란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인지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이 말인 즉은 추진 중인 공영개발의 실현 가능성이 대단히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당장인데 코로나19 사태로 공단 기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긴급처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잖다.


용량증설 허가가 떨어진 ㈜코엔텍의 조속한 시설공사가 필요하겠고, 산단공 차원에서 진행 중인 공영개발이 완료되기까지 향후 3년 동안 발생하는 지역 산업폐기물을 무난하게 소화할 매립지 추가 물색도 필요해 보인다.


온산공단 내 한 기업체 관계자는 “매립장 포화에 따른 매립지 확보에 대한 울산시의 노력을 인정한다”면서도 “현재 진행중인 신규매립장 조성 추진이 늦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 개발과 활용간 간극을 메우기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6월 울산시공장장협의회 간담회를 갖고 산업폐기물 대란 해소를 위해 이전 집행부와 달리 기존 폐기물 업체의 용량을 증설하고 신규매립장 확보를 위해 민간과 기업의 자가시설, 컨소시엄 구성, 공영개발 등 다양한 개발방식을 적극 검토키로 노선을 전환했다.


또 울산연구원은 같은 해 12월 ‘매립장폐기물 관리방안 최종보고서’를 통해 “매립난 해소를 위해서는 공영개발이 필수”라고 제안했다.

이상길 기자 울산제일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