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올스톱 되는 한국원전산업


시한부 한국원전산업… 내년 3월 올스톱

[K원전 지금이 기회]

10개월 뒤 신고리 설비납품 끝나
두산重, 사실상 공장문 닫아야… 협력업체 등 생태계 완전 붕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원전 산업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시한이 10개월밖에 남지 않았다. 내년 3월이면 국내에서 건설 중인 마지막 원전인 신고리 5·6호기의 주요 설비 납품이 끝나기 때문이다.

원자력신문
edited by kcontents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향후 더 이상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도, 노후 원전 수명 연장도 없어 신고리 5·6호기 설비 납품이 끝나면 두산중공업 원전 공장은 사실상 문을 닫아야 한다. 일부 유지·보수 부품 제조를 제외하면 기존 원전 공장의 80%가 가동 정지된다. 두산중공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국내 원전 협력 업체들은 이미 업종 전환 혹은 폐업으로 원전 생태계에서 이탈하고 있다.

 


미국은 1979년 펜실베이니아주 스리마일 원전 사고 이후 34년간 자국 내에 원전을 짓지는 않았지만, 핵무기·핵 추진 항모·잠수함 등 군사 분야의 연구 개발, 제조 분야가 남아 있었기 때문에 지금도 7만여 명이 원자력 분야에 종사한다. 이와 달리 한국은 두산중공업과 협력 업체들이 무너지면 40여 년간 축적해온 원전 분야 경쟁력도 하루아침에 무너질 위기에 처한다. 원전 분야의 연구 개발 역량과 산업적 경쟁력을 영구적으로 잃게 되는 것이다.

황주호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내년 3월이 지나면 한국의 원전 산업은 다시 회복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탈원전 정책을 되돌릴 수 있는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접을 경우 큰 기회의 창이 열려 있다고 지적한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온실가스 배출이 없으면서 안정적인 전력원인 원전에 대한 수요가 커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세계 원전 시장 장악을 막기 위해 자국 원전 산업 부활 전략을 내놓은 것도 호재다. 우리가 원전 독자 시공 능력이 없는 미국과 전략적으로 손을 잡고 해외 원전 시장에 공동으로 진출할 경우 막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최현묵 기자 조선일보


美 모듈원전 러브콜 받은 두산重, 세계 주도할 기회 날릴 판

[Focus] [K원전 지금이 기회]
세계가 주목하는 원전

美, 작년 에너지부 청사로 초청해 12억달러 사업 "꼭 참여해 달라"
두산重, 탈원전 국내선 존폐위기



   작년 4월 미 에너지부(DoE) 에드워드 맥기니스 차관보가, 예정에 없이 두산중공업 관계자 등을 워싱턴 DC의 에너지부 청사로 초청했다. 당시 두산중공업은 미국 누스케일파워의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사업에 지분 참여를 하기 위해 실사단을 파견해 회사 관계자들을 만나는 중이었다. 누스케일 소형모듈원전은 미 연방정부가 자금을 지원한 차세대 원전 개발 사업이다.

당시 두산중공업 실사단 일원으로 간담회에 참석했던 황주호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맥기니스 차관보는 "미국 자체 엔지니어링 기술만으로는 차세대 원전을 짓기 어렵다"며 "두산중공업이 누스케일의 차세대 원전 개발에 꼭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두산중공업은 결국 누스케일에 4000만달러 지분 참여를 결정했고, 석 달 후인 작년 7월 누스케일에서 12억달러 규모의 소형모듈원전에 들어갈 원자로 모듈 등 기자재 납품 계약을 따냈다. 두산중공업이 공급할 원자로 모듈은 핵분열을 통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핵심 설비다. 2026년 완공을 목표로 누스케일이 미국 아이다호주에 짓고 있는 소형모듈원전은 대형 원전의 약 150분의 1 크기로, 원자로 등 주 기기를 용기 하나에 모두 담은 일체형이다. 원자로 모듈을 거대한 수조에 잠기게 해 유사시 방사선 누출 등의 위험을 줄이는 등 안전성을 대폭 향상한 혁신형 원전이다. 미 정부가 직접 나서서 자국의 차세대 원전 개발 사업에 두산중공업을 참여시킨 것이다. 이는 한국이 자유민주 진영의 대표적 원전 강국이기 때문이다. 한국 원전 업계가 미국·일본·프랑스 등 선진국들을 제치고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갖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美차세대 원전에 한국업체 주 기기 납품

두산중공업은 차세대 원전뿐 아니라 미국에서 스리마일 원전 사고 이후 34년 만에 처음 착공된 보글 3·4호기 원전에도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등 핵심 기자재를 납품했다. 한국의 3세대 원전인 APR 1400은 프랑스·일본도 받지 못한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 인증을, 외국 기업으로서는 유일하게 받았다.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는 "미국은 자체 원자로 건설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한국 원전 산업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한국 원전 생태계가 붕괴하면 미국의 미래 원전 개발도 큰 타격을 입게 된다"고 했다.



하지만 두산중공업 등 한국 원전 업계는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국내에서 고사(枯死)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정부의 러브콜을 받았던 두산중공업은 탈원전·탈석탄 정책으로 실적이 곤두박질쳤다. 두산중공업은 2016년만 해도 매출 4조7000억원, 영업이익 2800억원을 거둔 우량 기업이었는데, 지난해엔 4950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결국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이 긴급 운영자금 1조6000억원을 지원했고 조만간 8000억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한번 경쟁력 상실하면 회복 어려워

더 큰 문제는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고수할 경우 한국 원전 산업 생태계가 버틸 수 있는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원전 업계는 국내에서 마지막으로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에 대한 주요 설비 납품이 끝나는 내년 3월을 국내 원전 산업의 실질적 생존 시한으로 보고 있다. 일부 유지·보수 부품을 만든다고 해도 신규 원전 발주에 따른 새로운 일감이 생기지 않는다면 원전 부품 업체부터 무너지기 시작해 전체 원전 산업이 붕괴하는 게 시간문제이기 때문이다. 한번 무너진 원전 분야 경쟁력은 쉽게 복구되지 않는다. 세계 최초로 상업용 원전을 운영했던 영국은 1980년대 이후 국내 원전 건설이 중단되면서 대부분 기술자가 직업을 바꾸거나 은퇴해 지금은 다른 나라의 원전 기술에 의지해야 하는 처지다.

 


손양훈 인천대 교수는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원전 회사들이 무너질 때 한국은 꾸준히 국내에 원전을 지으며 축적한 경쟁력으로 세계 무대를 주도할 기회를 앞두고 있었다"며 "그런데 하필 탈원전이란 국내 정치적 결정 때문에 미처 꽃도 못 피우고 스러질 운명을 맞고 있다"고 했다.
최현묵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