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주공1단지, 분양가 상한제 피한다 ㅣ '전세대출' 매달 2조원 급증..왜?


'강남 재건축 대어' 개포주공1단지, 분양가 상한제 피한다


서울시 굴토심의까지 통과

일반분양까지 착공신고, HUG 분양보증만 남아

조합원 총회도 28일 예정

분상제 유예 3개월 연장 혜택

착공 후 매매가능 물량 축소돼 거래 활발


    총 6700여가구로 올해 강남권 재건축 단지 최대어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가 분양가상한제를 피해 분양에 나설 수 있을 전망이다. 최근 굴토 심의를 통과해 분양가상한제 유예 기간이 끝나는 오는 7월 말 이전에 착공 신고와 분양보증 문턱을 넘을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22일 강남구청과 정비업계에 따르면 개포주공1단지는 최근 서울시 건축위원회의 굴토 심의를 통과했다. 굴토 심의는 착공에 앞서 굴착 공사 시 발생할 수 있는 도로 함몰과 부실 설계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굴토 심의에 발목이 잡혀 어려움을 겪는 재건축조합이 적지 않은데 개포주공1단지는 서울시 정비 사업 태스크포스(TF)의 지원으로 빠르게 이 절차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단지 내 건축물대장 말소도 당초 예상보다 10여일 빠른 지난 17일 완료됐다. 개포주공1단지의 건축물이 멸실되면서 조합원들은 올해 토지분에 대한 재산세만 납부하면 된다.


개포주공1단지는 총 건립 가구수 6702가구의 매머드급 단지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한때 상가 소유주와의 갈등으로 분양가상한제 적용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분양가상한제 유예 기간을 3개월 연장하면서 혜택을 보게 됐다.


현재 일반분양을 위한 입주자모집공고까지 남은 절차는 착공 신고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이다. 조합 측은 이달 중 착공 신고를 할 예정이며, HUG의 분양보증 역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합 측은 HUG에 3.3㎡당 4850만원의 일반분양가를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개포지구 내에서 최근 분양한 개포프레지던스자이의 3.3㎡당 4750만원과 100만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금액이다. 조합 측은 오는 28일 이를 위한 관리처분계획변경 총회를 개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매일경제



edited by kcontents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거래도 활발한 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조회시스템에 따르면 이 단지는 지난달 8건, 이달 들어서는 3건의 거래가 신고됐다. 실거래 신고 기한이 계약 후 30일 이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거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강남권의 다른 아파트가 극심한 거래 절벽 상태인 것과 대비된다. 거래가 빈번한 데는 착공 이후에는 10년 이상 보유, 5년 이상 거주한 조합원의 물건만 거래가 가능해지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가격은 하락세다. 이 아파트 49.56㎡(전용면적)의 경우 지난달 23억5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이달에는 4억원이나 떨어진 19억5000만원에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42.55㎡ 역시 최근 18억4000만원에 계약이 체결돼 두 달 전보다 1억8000만원 하락했다.


인근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부동산시장이 경직된 상황에서 착공이 임박하다 보니 급매물이 몰리고 있다"면서 "각각 배정된 평형대와 환급금 등 조건이 달라 직접적 비교가 어려우나 시세는 소폭 하락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아시아경제]




"전세가격 오르자"…은행 '전세대출' 매달 2조원 급증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전세 수요가 늘어나면서 은행권 전세자금 대출이 최근 두 달간 매달 2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전세자금대출이 두달 연속 2조원 이상 늘어난 사례는 2016년 이후 처음이다. 한 달에 2조 늘어난 경우도 전례가 없다.



21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신한 국민 KEB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 대출 잔액 합계는 3월 말 기준 86조253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 대비 2조2085억원 늘어난 규모다.


2월 말에도 1월 말과 비교해 2조1292억원 증가했다. 두 달간 이례적인 증가세를 보인 셈이다.




한국은행이 매달 발표하는 '금융시장 동향 통계'에서도 이 같은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2월 은행 전세자금 대출은 전달 대비 3조7000억원 늘었다. 관련 집계가 시작된 2017년 이후 가장 컸다.


정부 대출규제 강화 영향이 컸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잡기 위해 9억원 이상 고가 주택의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자 주택 수요가 감소하고 전세 수요가 늘었다.


대전경제인벤터

edited by kcontents


전세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세가격 증가세도 이어지고 있다. KB국민은행 리브온 월간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지난달 4억5061만원으로 1년새 638만원 올랐다.


전세자금대출 규제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시가 9억원 초과 주택 보유자에게 공적 보증기관의 전세자금 대출 보증을 제한했다. 올 1월에는 민간 보증으로 범위를 넓혔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