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왜 세계 1위의 저출산국이 됐나 l 결혼 안하나 못하나

 

미혼·기혼 성인남녀 "경제적 이유로 아이 안 낳는다"


    국내 성인남녀가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로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심층 조사 체계 운영' 정책 현안 보고서에 따르면 만 19∼49세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





조사대상자 중 미혼은 947명, 기혼은 1029명, 이혼 및 사별은 24명이었다.




'출산하지 않는 주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가장 많은 미혼 응답자(44.7%)가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이어 '아이 양육 및 교육 비용이 부담스러워서'(19.3%), '아이 없이 생활하는 것이 여유롭고 편해서'(12.6%), '아이 돌봄 시설 및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않아서'(7.8%), ' 아이 키울 주거환경이 마련되지 않아서'(7.6%), '일이 너무 많고 바빠서'(6.5%), '아이가 생기지 않아서'(0.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작년 저출산에 쓴 나랏돈 23조…그 돈 다 어디로 갔나/MSN.com

edited by kcontents


기혼자를 대상으로한 조사 결과도 비슷했다. 기혼자를 대상으로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를 묻자 '경제적 불안정'이 37.4%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어 '아이 양육비 및 교육비 부담'(25.3%), '아이 없이 생활하는 것이 여유롭고 편해서'(11.9%), '아이 키울 주거환경이 마련되지 않아서'(10.3%), '아이 돌봄 시설 및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않아서'(8.3%), '일이 너무 많고 바빠서'(4.0%), '아이가 생기지 않아서'(2.2%) 등의 답변이 잇따랐다.


대한민국의 저출산 현황/나무위키



edited by kcontents


하지만 기혼의 경우 자녀 수에 따라 응답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자녀가 없는 경우 '돌봄 시설 및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않아서'와 '아이 양육비 및 교육비 부담' 등 응답이 자녀가 있는 경우보다 낮았다.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는 '경제적인 이유'를 꼽는 응답 비율이 특히 높았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결혼않거나 미루는 첫 이유…男 '주거불안정' vs 女 '독신 여유'


   미혼 남녀 간에 결혼하지 않거나 미루는 이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심층 조사 체계 운영' 정책 현안 보고서(책임연구원 김은정 부연구위원)를 보면, 19∼49세 미혼 청년층 9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의 31.0%는 '주거 불안정'을 결혼을 연기하거나 하지 않는 이유로 들었다.


 

KBS 뉴스



edited by kcontents


이어 '불안정한 일자리'(27.6%),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26.2%), '적절한 결혼 상대 부재'(8.1%), '바쁜 업무'(4.9%) 등 순이었다.


하지만 성별에 따라 온도 차이가 있었다.

미혼여성은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31.0%)을 첫손에 꼽았지만, 미혼남성은 '주거 불안정'이 35.0%로 가장 많았다.


또 미혼남성은 '불안정한 일자리'(28.8%)가 '주거 불안정' 다음으로 높았으나, 미혼여성은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 다음으로 '불안정한 일자리'(25.9%)와 '주거 불안정'(25.5%)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남성과 여성 간 결혼 연기와 비혼 이유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고졸 이하의 경우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이 31.5%로 가장 높게 나왔고, 그다음이 '불안정한 일자리'(28.3%)로 나타났다.


대졸의 경우는 '주거 불안정'(32.7%)이 가장 높고, 이어 '불안정한 일자리'(28.0%)로 나왔다.


하지만 대학원 이상에서는 '주거 불안정'이 38.9%로 매우 높고, '적절한 결혼 상대 부재'와 '독신의 여유로움과 편안함'이 각각 19.4%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에 따라서는 취업한 경우 '주거 불안정'(34.1%)에 대한 이유가 가장 컸지만, 취업하지 않는 경우는 '불안정한 일자리'(33.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합뉴스/한국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