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만 국민소득 감소...물가는 상승 중..."거기에 '우한 코로나' 까지"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뒷걸음질… 명목성장률 IMF 이후 '최저'


1인당 국민소득 3만2047달러… 저성장·원화약세에 감소

명목성장률, 실질 밑돌아… 연간 GDP디플레이터 역성장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2047달러로 1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 저성장·저물가에 원화 약세까지 겹친 영향이다.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2.0%로, 지난 1월 발표했던 속보치와 동일했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명목 GDP성장률은 1.1%로,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를 겪었던 1998년 이후 가장 낮아 체감 성장은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edited by kcontents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2047달러로 집계됐다. 3년 연속 3만달러를 돌파했지만 1년 전(3만3434달러)에 비해서는 4.1% 줄었다.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업황 악화로 GDP 성장률이 둔화된 데다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5.9% 상승한 영향을 받았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2.0%를 기록했다.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았다. 정부와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1.5%포인트(P), 0.5%P로 성장의 대부분을 정부가 이끌었다. 정부소비 성장률은 6.5%로 2009년(6.7%) 이후 가장 높았던 반면 민간소비 성장률은 1.9%로 2013년(1.7%) 이후 최저였다. 건설투자와 민간투자는 각각 3.1%, 7.7% 역성장했다. 건설투자는 전년에 이어 마이너스 흐름을 이어갔고, 설비투자는 10년 만에 최저 성장을 나타냈다. 성장을 이끌어야 할 투자와 민간소비가 일제히 악화된 셈이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명목 GDP 성장률은 1.1%로 고꾸라졌다. 1년 전인 2018년(3.1%)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IMF 위기가 왔던 1998년(-0.9%) 이후 최저다. 물가 상황을 반영한 명목성장률은 체감경기에 더 가까운 지표다. 통상 실질 성장률보다 높은게 일반적이지만 최근 저물가 흐름으로 역전된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실질 GDP성장률은 1.3%로 속보치(1.2%)보다 0.1%P 높았지만, 명목 성장률은 절반 수준인 0.7%에 그쳤다.


 

1인당 국민소득 추이/아시아경제



edited by kcontents


명목성장률과 실질성장률의 격차를 나타내는 GDP디플레이터는 -0.9%를 기록했다. 이 역시 1999년(1.2%) 이후 최저다. 분기별 GDP디플레이터는 2018년 4분기부터 작년 4분기까지 5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내, 사상 최장 기록을 세웠다. 일부 품목의 물가 추이를 보여주는 소비자물가상승률과 달리 GDP디플레이터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 수출, 수입 물가 추이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물가지표로 해석된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4.6%로 전년대비 1.2%P 하락했다.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1925조9000억원)이 1.9%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최종소비지출(1260조원)은 3.8%나 증가한 영향이다. 국내총투자율은 31.0%로 0.4%P 줄어들었다.

조은임 기자 조선비즈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