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띄우기에 60조원 투입?..."재탕한 정책이 대부분인데…"


건설경기 띄우기에 60조원 쏟아붓는다

 

정부 경제활력대책회의

경제 지표 하나둘 나빠지자
인공호흡 하듯 재정풀기 총력
총선前 경제심리 회복 안간힘

"재탕한 정책이 대부분인데…<
경제효과 낼지 의문" 지적도

 

     정부가 올해 신도시 건설과 철도·도로 등 공사에 60조원의 공공기관 투자를 집중한다. 이 같은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기간을 최대 7개월로 단축한다. 연초 미국과 이란 간 충돌 등 외생변수로 더 불안해진 국내 경제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조치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주재하며 "공공기관의 투자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최소 10개월 이상 걸리는 예타 기간을 최대 7개월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예타는 공공기관의 총사업비 1000억원 이상 대규모 신규 사업이 진행되기 위한 절차다.

쌍용건설

 


edited by kcontents

공공기관 예타 기간 단축과 함께 정부는 역대 최고 수준의 재정 조기집행 계획도 밝혔다.

홍 부총리는 "상반기 조기집행 목표를 역대 최고 수준인 62%로 설정했다"며 "특히 국민체감이 큰 일자리 사업은 1분기 중 37%를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총 4개의 안건이 상정됐는데 두 번째 안건인 중동 위기 대응을 제외하면 모두 경기 활성화 수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내용들이다.

첫 번째 안건인 재정 조기집행 및 공공기관 투자 확대 계획에는 극단적인 '재정 앞당겨 쓰기' 정책들이 포함됐다. 중앙·지방정부가 공동으로 비용을 부담하는 매칭사업에서 지자체 예산이 편성도 안 된 시점에 국비를 먼저 지출하고, 총 8조원 규모인 재정일자리 사업을 2~3개월 앞당겨 1월부터 시행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세 번째 안건은 경제활성화를 최우선 목표로 내세운 2020년도 경제정책방향의 구체적 시행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네 번째 안건은 국회 입법을 기다리지 않고 행정부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경제활력대책 논의였다. 단적으로 외국인 현금지원 대상에 '첨단 기술·제품'을 추가하는 외국인투자촉진법 개정안이 국회 통과에 어려움을 겪자 정부는 대안으로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법률 개정이 안 되더라도 외국인투자위원회에서 허용할 수 있는 현금지원 분야에 첨단 기술·제품을 추가하면 사실상 정부의 재정 투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정부와 여당은 앞서 이번주 고위 당정청회의, 국무회의 등을 통해 상반기 중 역대 최고 수준의 투자·지출을 집행하겠다는 메시지를 반복하고 있다. 이를 놓고 1분기 중 경기부양과 경제심리 회복에 총력을 다해 4월 총선을 맞이하려는 여당과 정부의 선거전략이란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말 정부가 2019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 달성을 호언장담했지만 연말 침체된 국내 경기 분위기로 볼 때 실제로 달성했는지는 불투명한 탓이다.

정부·여당 입장에서는 이를 만회하기 위해 연초에 성과지표를 좋게 하고 싸늘한 민간경제 부문에 대한 심리적 인공호흡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총선이 끝나고야 발표되겠지만, 각종 동향조사·경제심리 설문 등의 경제지표가 수시로 발표될 예정"이라며 "2019년에는 사상 첫 1%대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고 전반적으로 좋은 성적표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여당 입장에서는 지난해의 기저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1분기에 최대한 긍정적인 지표를 끌어낼 유인이 충분한 상황"이라 설명했다. 지난 2일 열린 한국은행 시무식에서 이주열 총재도 "2019년에 2% 성장률 달성이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정부가 발표하는 대부분의 경제활력 방안들이 기존 발표된 정책들을 반복하는 수준이어서 원하는 만큼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대표적인 것이 60조원 규모의 공공기관 투자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표된 2020년도 경제정책방향의 경기활성화 방안을 상징하는 정책이었는데, 한 달도 지나지 않은 8일 또다시 경제활력 대표 정책으로 활용됐다.
[이지용 기자 / 문재용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