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결산] 서울시민, 내년 경제 이슈 1위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
서울시민이 뽑은 2020년 경제 이슈 1위‘청년실업 및 고용문제’
서울연구원『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20년 주요 경제 이슈』발표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 93.3으로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 ‘고용상황전망지수’는 72.8로 1.6p 상승, 3분기 연속 상승세 ‘현재생활형편지수’와 ‘현재경기판단지수’ 모두 상승 서울시민, 내년 경제 이슈 1위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 2위는 ‘부동산 경기’ |
서울연구원(원장 서왕진)은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20년 주요 경제 이슈’(정책리포트 제290호)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19년 4/4분기 93.3으로 전 분기 대비 1.1p 증가하였고, ‘순자산지수’와 ‘고용상황전망지수’도 상승하였다. ‘소비자태도지수’는 고용지수의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된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미래연구원
edited by kcontents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19년 4/4분기 93.3으로 전 분기 대비 1.1p 증가하였고, ‘순자산지수’와 ‘고용상황전망지수’도 상승하였다. ‘소비자태도지수’는 고용지수의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된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소비자태도지수는 100을 넘으면 경제전망이나 소비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반대
[그림 1]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0.5p 상승한 84.9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미래생활형편지수’도 전 분기 대비 0.9p 상승한 89.1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가계소득 증가, 보유자산 가치 상승, 가계부채 감소 등의 이유로 1년 후 가구 생활형편이 호전될 것으로 보는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림 2] 서울의 생활형편지수
2019년 4/4분기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0.4p 상승한 84.6,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0.9p 상승한 71.9로 조사되었다.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1/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상승하였다.
[그림 3] 서울의 내구재와 주택 구입태도 지수
<서울시민의 2020년 경제 이슈 1위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 2위 ‘부동산 경기’>
내년 서울시민의 경제 이슈 1위는 1순위 기준으로 ‘청년실업 및 고용문제’(28.0%)로 조사되었으며, 그다음은 ‘부동산 경기’(9.9%), ‘소비심리 및 내수경기’(7.7%), ‘주 52시간 근무제’(6.8%), ‘소득양극화’(6.3%), ‘생활물가 상승’(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4] 2020년 서울시민의 경제 이슈
전반적으로 서울시민은 대다수 경제 이슈가 내년에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13개 경제 이슈 중 개선 전망 점수가 기준치(100)를 웃도는 이슈는 ‘4차 산업혁명 대응’ 1개이고, 나머지 이슈들은 기준치를 밑돌았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이 200점 만점*에 102.9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에너지 정책’(95.3점), ‘청년실업 및 고용’(90.7점), ‘남북경협’(88.6점), ‘주식 시장’(87.3점) 등의 순이며,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54.8점으로 개선이 가장 힘들 것으로 보았다.
* 올해 대비 내년 경제 이슈 개선 전망은 2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전혀 개선되지 않음’ 0점, ‘별로 개선되지 않음’ 50점, ‘그대로’ 100점, ‘약간 개선’ 150점, ‘매우 개선’ 200점을 부여하여 환산
[그림 5] 2020년 경제 이슈별 개선 전망 점수
서울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