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인도 수주 유망 한국 철도 차량 제작사들


대만이 반한 현대로템 전동차


임산부 개별 좌석 디자인 호평
추가수주 가능성 커져


대만 열차에는 원래 임산부석이 없다. 올해 처음으로 임산부 개별좌석이 추가된 전동차가 등장했다. 현대로템이 지난 13~15일 대만 타이베이 중앙역에서 열린 ‘대만 레일 심포지엄’에서 공개한 전동차(사진)다.


현대로템은 이 전동차를 지난해 6월 대만 철도청으로부터 수주했다. 수주 물량은 520량으로 9098억원 규모다. 대만 국민에게 이 전동차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로템이 선보인 전동차는 교통약자를 배려하고, 미래 지향적인 디자인과 대만 교통문화를 세심히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른 열차에서 사각형으로 설계된 장애인 화장실은 원형으로 바뀌었다. 휠체어 바퀴 동선을 고려해서다. 대만인들이 자전거를 많이 탄다는 점에 주목해 자전거 거치대도 기존보다 두 배로 늘렸다. 대만 유명종합지 빈과일보는 “대만 철도청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차가 될 것”이라고 호평했다.

현지 반응이 뜨거워 내년 대만 철도청의 추가 수주 기대감도 높아졌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현지 호평을 이어나가 대만에서 추가 수주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대로템은 지난해 대만에서 전동차 외에도 무인 경전철 80량을 수주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한경닷컴

 


전동차 2위 다원시스의 자신감...印 수천억 수주 노린다


철도부품 국산화로 경쟁력 갖춰
내년 기술이전 방식 2건 참여
국내서도 선전...현대로템 추격


국내 2위 철도차량 제조업체인 다원시스(068240)가 내년 인도 시장 수주에 도전한다. 수주잔고 1위인 현대로템(064350)과 비교하면 턱없지 부족하지만 부품 국산화 등으로 가격경쟁력을 갖춰 수주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관측이다.

 

 

다원시스가 제작한 서울시 2호선 새 전동차 모습. /사진제공=다원시스


9일 업계에 따르면 다원시스는 내년 초 인도 철도청이 발주하는 2건의 수주에 도전할 계획이다. 2건의 수주액은 총 3,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다원시스는 인도 수주전을 위해 지난 10월 인도 철도청 산하기관에 218억원 규모 알루미늄 차체 객차 제작 수주 때 일부 기술이전을 하는 등 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다원시스는 이때가 인도 시장 첫 진출이었다. 특히 다원시스는 핵심 철도 부품을 국산화 또는 내재화 해 경쟁사보다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는 후문이다. 실제 다원시스는 열차종합제어장치(TCMS), 견인제어장치(VVVF Inverter), 보조전원장치(SIV), 방송표시기, 차체, 냉방장치 등을 자체 기술력으로 만들고 있다. 핵심 부품인 TCMS는 세계적으로도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다.

다원시스의 한 관계자는 “철도시장이 노후화된 인도에 기술이전 등을 조건으로 내걸고 수주에 참여하려고 한다”며 “기술이전에 따른 잇점과 부품 국산화에 따른 가격 경쟁력 등으로 수주 가능성에 기대가 커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원시스는 골리앗 현대로템과 경쟁하며 꾸준히 성장해 왔다. 이 과정에서 다원시스와 현대로템은 국내 지하철 전동차 수주 등을 놓고 법정 공방은 물론 감정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다원시스는 지난달 한국철도공사와 3,821억원 규모 전기동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회사 설립 이후 단일 계약 중 최대 규모다. 다원시스 수주잔고는 9,489억원에 달한다. 6조7,000억원에 육박하는 현대로템과 비교할 수 없는 수치지만 다원시스가 이렇게 까지 커진 데는 경쟁사 대비 원가율이 낮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원시스의 원가율은 강력한 경쟁사 현대로템보다 낮은 수준이다. 올해 3·4분기 기준 현대로템의 원가율은 107% 수준이다.

 

 

 

100원 매출을 내기 위해 107원을 쓴다는 의미로 수주를 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다. 이는 현대로템은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높고 부품을 아웃소싱 하면서 외부 영향에 취약한 편이다. 반면 다원시스는 자체 부품 생산을 통해 상대적으로 원가율을 낮출 수 있었다. 다원시스의 원가율은 80% 수준이다.


다원시스의 인도 수주 도전이 기대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인도가 중국을 견제하는 상황이어서 중국 업체들이 철도분야 수주를 따내기 쉽지 않아 다원시스 등 한국 업체에 유리한 국면이 될 수 있다는 관측 때문이다. 국내 시장의 성장 한계로 인도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꾀해 온 다원시스의 노력이 수주 성공으로 결실을 맺을 지 관심이다.
박호현 기자 greenlight@sedaily.com 서울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