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건설산업 호황의 빛과 그림자 VIDEO: Ethiopia, Construction Industry


에티오피아 건설산업 호황의 빛과 그림자

조은범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에티오피아 건설산업이 호황임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문제점 산적 


건자재 구하기도 쉽지가 않아 

큰 상업 빌딩 신축의 경우 준공에 10년 씩 걸리기도 


1. 에티오피아 건설산업 동향


인프라 확대 수요는 건설 경기 부흥의 주동력으로 작용

 에티오피아는 수도인 아디스아바바를 포함해 인프라가 극히 낙후돼 향후 인프라나 도시 개발의 잠재력은 매우 큰 편임. 인프라 건설의 확대는 경제 활동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으며, 건설산업과 경제 및 사회 발전 간의 연계가 중요시됨.


constructionreviewonline.com

edited by kcontents


에티오피아의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는 WB(세계은행), AfDB(아프리카개발은행), EIB(유럽투자은행) 등의 MDB(다자개발은행)와 단일국으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유상차관과 PPP로 추진되며 도로 건설 및 개보수, 발전소 건설(수력, 풍력, 태양광, 지열), 송전망 건설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음.


에티오피아는 국가 핵심 경제 개발 전략인 Growth and Translation Plan(GTP)-II 목표 달성을 위해 건설, 제조, 전력 분야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것으로 예상




도시 개발 및 건설 부문의 성장은 GTP-II 달성을 위한 최우선 의제로 남아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주요 분야로 간주됨. 또한 도로 및 철도 건설을 통해 운송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며, 투자와 무역 확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됨.

 

건자재 및 건설 기계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인도, 이탈리아 등

에티오피아의 건자재 및 건설 기계 시장은 대체로 저가 제품에 있어서는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국 제품이나 터키, 인도 제품이 많이 수입되며 고품질의 제품의 경우 미국과 이탈리아, 독일을 포함한 유럽 제품이 강세임.


한국 제품의 경우 굴삭기 및 드릴, 브레이커 제품군에서 일정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기존 이탈리아, 독일 등에서 수입되는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을 공략 중

 

에티오피아 건설 분야의 2019~2028년 평균 성장률은 8.4%로 전망

2010년 초반 시작된 에티오피아의 경제성장은 인프라 개발과 건설업을 주축으로 활황세를 보이고 있음. 꾸준한 건설경기 활황세는 에티오피아의 가시적인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


최근까지 에티오피아의 건설산업은 실질적으로 2자리수 성장을 기록해왔으며, 내년에도 두자리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에티오피아 건설산업 실질 성장률 전망(단위: %)

지표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실질 성장률(예상)

12.3

10.7

9.8

9.4

9.0

8.2

7.6

5.2

6.0

5.3

자료: Fitch Solutions(Ethiopia Infrastructure Report Q4 2019)


건자재 및 장비 수입 시장은 2017년까지 크게 성장하다가 18년 들어 소폭 감소


에티오피아 건자재 및 장비 수입 동향(단위: USD 백만)

지표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총 수입액

157.9

182.9

221.3

240.9

244.7

240.3

자료: Euromonitor  


인프라 건설과 더불어 아디스아바바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상업용, 주거용 빌딩 건설도 지속적으로 활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특히 최근 들어 아디스아바바에서는 기존의 대형 주택이나 판자촌을 헐고  2~3베드룸 규모의 고층 아파트형 주거 빌딩을 건축하는 경우가 많이 늘고 있으며, 상업용 신축 빌딩 역시 건축 붐임.


2. 에티오피아 주요 인프라 동향


도로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티오피아 도로청(ERA, Ethiopian Roads Authority)을 중심으로 노후 도로 보수 및 신규 도로, 고속도로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GTP-II는 110,414km에 불과한 도로를 2020년까지 22만km로 확충할 목표를 수립했으며, GTP-II가 시행되고 난 이후 도로 분야의 투자가 증가했음.




에티오피아 정부는 1997년부터 2014년까지 4차로 시행된 RSDP(Road Sector Development Program)을 통해 도로 인프라 개발에서 큰 성장을 이뤘으며 현재 5차 프로그램까지 진행 중에 있음.


에티오피아 도로건설 계획(RSDP)(단위: km, %, 억 달러)

차수

기간

총 연장

달성률

소요 금액

RSDP I

1997년 7월~2002년 6월(5년)

8,709

98

6.5

RSDP II

2002년 7월~2007년 6월(5년)

11,589

141

10.7

RSDP III

2007년 7월~2010년 6월(3년)

12,395

93

23.2

RSDP IV

2010년 7월~2015년 6월(5년)

85,859

88

84.1

RSDP V

2015년 7월~2020년 6월(5년)

9,917(~16년)

49

98.6(예상)

자료: 에티오피아 도로청(ERA)


철도

에티오피아 철도 공사(ERC, Ethiopia Railway Corporation)는 철도 인프라 및 서비스를 구축해 에티오피아와 인접국의 항구에 대한 효율적인 연결을 촉진하려고 함. 그에 따라 에티오피아의 철도 인프라 개발을 위한 Addis Ababa Light Rail Transit(LRT)과 National Railway Network of Ethiopia(NRNE) 계획을 발표함.


NRNE 계획 아래 에티오피아 주요 도시와 지부티 항구를 연결하는 약 5060km의 8개의 철도를 건설하는 중임.


에티오피아 철도건설 계획(NRNE)

분류

철도 노선

길이(km)

Route 1

Addis Ababa-Modajo-Awash-Dire Dawa-Dewanie

656

Route 2

Modjo-Shashemene-Arbaminch-Knoso-Moyale including Shashemene-Hawassa and Konso-Weyto

905

Route 3

Addis Ababa-Ijaji-Jimma-Guraferda-Dima including Jimma-Bedele(direct to Boma and further extension to south Sudan)

740

Route 4

Ijaji-Nekemet-Assosa-Kumruk

460

Route 5

Awash-Kmbolcha-Mekele-Shire

757

Route 6

Fenoteselam-Bahirdar-Wreta-Weldia-Semera-Elidar

734

Route 7

Wereta-Azezo-Metema

244

Route 8

Adama-Indeto-Gasera

248

Total

 

4,744

자료: ERC




LRT는 아디스아바바 내 약 34km의 경철도 건설 프로젝트임. 프로젝트는 China Railway Group Limited(CREC)에 의해 시행됐으며, 중국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차관을 받음. 2015년 9월 도심으로부터 남쪽 지역의 산업 단지까지 운행되는 서비스가 시행됐으며, 2015년 11월 동쪽 지역과 서쪽 지역을 운행하는 서비스가 시행됨.


에너지

에티오피아 국가 에너지 정책은 수력발전을 위한 자원 개발, 석유와 천연 가스의 탐사 및 생산 강화, 교통, 산업, 농업, 가정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풍력, 태양열, 수력 발전 등 대체 에너지 자원의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음.


GTP-II에 따라 1만km 이상의 송전-배전망을 건설해 발전 용량을 1만 7346MW로 늘리고 2020년까지 에티오피아의 90%까지 전기를 배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음.


에티오피아 정부와 이탈리아의 Salini Costruttori사에 의해 2011년부터 나일강 유역에 건설되고 있는 Grand Ethiopia Renaissance Dam(GERD)은 완공 시 약 6000MW의 전력을 생산하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댐으로 자리잡을 것임. 하지만 르네상스 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송전-배전할 수 있는 인프라의 부재로 대부분은 케냐와 남수단으로 전력의 대부분을 수출할 것으로 전망됨.




3 에티오피아 건설 산업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 건설 경기의 호황

 - 인프라 건설 확대

 - 시장 개혁 및 세금 우대

 - 열악한 인프라로 인한 프로젝트 진행 지연

 - 중국 등 소수 국가의 시장 지배

 - 가격에 민감한 시장

Opportunities

Threats

 - 수출입 운송 인프라 확대

 - WB, AfDB 등과의 원활한 관계

 - 주요 인프라 건설 이후 산업 가치의 향상

 - L/C 개설 및 결재에 장기간 소요

 - 지부티 항에 대한 의존으로 인한 시장 규모 대비 과다한 물류비용

자료: Fitch Solutions


4. 전문가 의견 및 시사점

한국의 T사와 거래를 하고 있는 에티오피아 중장비 회사 A사의 대표 K씨는 현재 에티오피아의 외화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함. 그는 거래를 위한 외화를 원하는 만큼 얻을 수가 없어 원활한 수입거래를 할 수 없으며, 부족한 외화로 인해 수출 사업에도 종사하고 있지만 충분한 양의 외화를 얻을 수 있지 않다고 언급함.


하지만 최근 에티오피아의 정부 개혁으로 인해 건설 사업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며, 정부와 협업하는 회사들의 밝은 미래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터키 건설업체 B사는 에티오피아의 불안정한 전력 수급 및 외화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함. 현재 에티오피아의 전력 송-배전 상황이 좋지 않다고 언급했으며, 이는 건설업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함. 또한 지부티항뿐만 아니라 에리트레아, 케냐 등 타 국가 항구의 조속한 개발을 촉구함.


한 신축 상업 빌딩의 소유자는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자사 빌딩 옆의 건설 초기의 상업 빌딩에 대해 완공까지 10년은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그 이유로는 수입 규제로 인한 건자재의 원활하지 못한 공급과 또한 각종 규제와 관료주의적 행정을 꼽았음. 실제로 무역관 담당자가 보기에도 아디스아바바 시내 여기저기에 짓다가 여러가지 어려움으로 공사가 중단된 부지를 찾아볼 수 있을 정도임. 자기 빌딩에 대해서도 빌딩용 변압기의 설치를 관련된 기관에 요구했으나 8개월이 지나도록 아직 설치를 못 받고 있다고 밝힘.


constructionreviewonline.com

edited by kcontents




건설 과정의 투명성 부족, 정치경제적 상황, 건설 현장에서 예상치 못한 기존 인프라의 문제(도로, 전기, 상하수도 등)로 인해 건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일은 비일비재하며 공사비 조달에 문제가 발생해 공사가 중단된 프로젝트도 다수 존재


그러나 위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건설을 비롯한 건설시장은 에티오피아의 경제 성장을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내륙 국가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도로 및 철도 인프라의 건설은 운송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시키며, 내륙 운송을 통한 투자 유치와 인근국으로의 수출 및 시장진출 확대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또한 이와 같은 건설산업 성장세에 따라 건자재나 건설 장비의 수요도 지속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됨.

 

현재 중국산 저가 제품이 지배적이나 저가의 불량 제품에 대한 불만이 끊이지 않음. 건설 장비에 대해서 기술력에 기초한 미국, EU 등 선진국이 강세를 보이지만 한국의 제품 또한 고품질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시장 진출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자료: 담당자 인터뷰 등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kotra




Ethiopia’s Booming Construction industry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