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하수관의 노후..."지하엔 재난사고의 위험 상존"


하수관 길이 지구 세 바퀴 반…하지만 40%는 도로 밑 '복병'

    2017년 기준으로 국내 하수도 보급률은 93.6%다. 국내 인구 중 90% 이상이 공공하수도 서비스를 받는다는 뜻이다.
 
좁은 국토에 실핏줄처럼 깔린 하수관 길이도 총 15만㎞에 이른다.
지구 둘레가 4만㎞인 점을 고려하면, 국내 하수관 길이는 지구를 세 바퀴 반을 돌고도 남는다.

지난해 10월 7일 오후 울산시 동구 서부동 방어진순환도로 일부분이 내려앉아 시 관계자들이 땅을 파낸 후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울산시는 도로 아래 하수관로 파손으로 물이 새면서 지반이 내려앉은 것으로 보고 관로 교체 공사를 진행했다. [울산시 제공=연합뉴스]


 
하지만 문제는 이처럼 긴 하수관 가운데 상당 부분이 20년 이상 지난 '노후관'이라는 점이다.
 
지구 한 바퀴 반은 '노후관'

지하시설물 노후화 현황,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환경부는 15일 "전국 하수관의 노후화가 상당한 수준이고, 이로 인한 지반 침하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며 "전국 하수관 가운데 20년이 지나 결함 발생 가능성이 높은 노후 하수관은 전체의 40%인 6만㎞에 이른다"고 밝혔다.

6만㎞는 지구 둘레 한 바퀴 반이나 된다.
30년 이상 된 것만 3만4000㎞(23%)에 이른다. 


 
특히, 다른 지하 시설물에 비해서도 설치 후 20년 이상이 지난 비율이 높다.
상수관의 경우 설치 후 20년이 지난 비율이 35%, 가스관 35%, 열 수송관 26% 등이다.
 
도로 지반 침하의 원인

노후 하수관으로 인한 도로 함몰 과정 [중앙포토]

하수관 노후화는 지반 침하로 연결된다.
하수관이 낡아 깨지거나 이음새가 어긋나게 되면 하수관 위쪽의 토양이 결함 부위를 통해 하수관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상부의 흙이 하수관으로 들어오면, 다시 하수를 통해 씻겨 내려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 땅속에 동공(洞空)이 생긴다. 



동공이 생기고 난 다음 차량 통행 등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도로 등 지반 침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지반침하 발생 사례를 보면, 가장 큰 원인이 하수관 손상으로 나타났다.
2014~2018년 지반침하 1143건 중 하수관 손상이 460건(40.2%), 상수관 손상이 214건(18.7%), 굴착공사 부실이 61건(5.3%)으로 집계됐다.
 
로봇과 CCTV로 정밀조사

로봇을 활용해 하수관 정밀 조사와 보강 공사를 진행하는 모습. [중앙포토]

하지만, 20년 이상 된 노후관의 전면 교체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하수관 1㎞를 교체하는 데 대략 10억원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정밀 조사 후 필요한 부분만 교체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확보한 국고 73억원을 전국 지자체에 지원해 연말까지 노후 하수관 3103㎞를 정밀 조사하기로 했다.
 
조사 대상 지자체는 부산·대구·인천·울산 등 4개 광역시와 경기도 동두천시 등 22개 시·군이다

하수관 보수 로봇 [중앙포토]

'동영 이엔씨'의 하수관 보수 맞춤형 로봇. [중앙포토]

정밀 조사에서는 하수관에 로봇 등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조사 장비를 투입한 후 하수관 내부를 촬영하고, 지상에서 화면으로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다.

또, 균열 등 하수관 상태를 평가해 5등급으로 구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정밀 조사 결과 긴급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결함 하수관은 국고를 우선하여 지원해 교체하거나 부분 보수할 방침이다.
 
강복규 환경부 생활하수과장은 "올해 정밀 조사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연차적으로 노후 하수관 4만㎞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수관 보수작업 과정 [중앙포토]

이를 위해 환경부는 2025년까지 하수관로 예산 중에서 유지관리 비중을 50%까지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하수관로 정비 사업의 국고 보조율도 신설 하수관이 30~70%, 개량이 20~50% 수준으로 신설 하수관에 대한 보조율이 더 높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중앙일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