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I. 4월 산업활동 동향
(생산측) 4월 전산업생산*은 전월비 0.7% 증가(전년동월비 0.7%)
* 통계청이 각 산업별 생산지수(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공공행정 등)를 가중평균하여 작성한 지표(한국은행 GDP와는 작성방식 등에서 차이)
* 全산업생산(전월비,%): (’18.12)△0.3 → (‘19.1)1.1 → (2)△2.7 → (3)1.5 → (4)0.7 <전년동월비> 0.4 0.9 △1.9 △0.5 0.7
광공업의 경우 광업(△4.3%)에서 감소하였으나, 제조업(1.7%)과 전기·가스업(0.2%)이 늘어 전월비 1.6% 증가(전년동월비 △0.1%)
* 광공업생산(전월비,%): (’18.12)△0.8 → (‘19.1)0.2 → (2)△3.7 → (3)2.1 → (4)1.6 <전년동월비> 0.7 △0.2 △3.8 △2.3 △0.1
SBS 뉴스
edited by kcontents
서비스업은 전문·과학·기술(2.5%), 교육(1.6%), 정보통신(1.5%) 등이 늘어 전월비 0.3% 증가(전년동월비 +1.5%)
* 서비스업생산(전월비,%): (’18.12)△0.1 → (‘19.1)1.3 → (2)△1.5 → (3)0.5 → (4)0.3 <전년동월비> 1.4 2.4 △0.2 0.8 1.5
(지출측) 소매판매와 건설투자는 감소 전환, 설비투자는 증가 유지
(소매판매) 가전제품, 통신기기 등 내구재(△4.2%),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2%),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0.2%) 판매가 모두 감소하며 전월비 1.2% 감소(전년동월비 +1.4%)
* 소매판매(전월비,%): (’18.12)△0.2 → (‘19.1)0.3 → (2)△0.5 → (3)3.5 → (4)△1.2 <전년동월비> 3.1 4.3 △1.9 2.4 1.4
기재부
edited by kcontents
(설비투자) 운송장비(△2.7%) 투자는 감소했으나, 기계류(8.1%) 투자가 늘어 전월비 4.6% 증가(전년동월비 △6.3%)
* 설비투자(전월비,%): (’18.12)△2.8 → (’19.1)1.9 → (2)△10.4→ (3)10.1 → (4)4.6 <전년동월비> △15.1 △17.0 △26.9 △15.6 △6.3
기 계 류(전월비,%): (’18.12)△3.3 → (’19.1)4.9 → (2)△11.8 → (3)3.9 → (4)8.1
운송장비(전월비,%): △0.6 △4.9 △6.8 26.5 △2.7
기계수주는 공공수주(22.3%)와 민간수주(4.0%) 모두 늘어나며 전월비 4.6% 증가(전년동월비 △0.2%)
* 기계수주(전월비,%): (’18.12)25.6 → (’19.1)△15.7 → (2)△6.9 → (3)13.8 → (4)4.6 <전년동월비> 14.9 △4.6 1.9 △5.7 △0.2
(건설기성) 건설기성(불변)은 건축(△2.7%) 및 토목(△3.0%) 공사 실적이 모두 감소하며 전월비 2.8% 감소(전년동월비 △5.6%)
* 건설기성(전월비,%): (’18.12)2.2 → (’19.1)3.5 → (2)△6.5→ (3)8.9 → (4)△2.8 <전년동월비> △9.3 △10.7 △12.2 △2.8 △5.6
건 축(전월비,%): (’18.12)2.1 → (’19.1)5.6 → (2)△5.2 → (3)3.1 → (4)△2.7
토 목(전월비,%): 2.7 △2.6 △10.9 28.7 △3.0
건설수주(경상)는 전월비 18.0% 감소(전년동월비 +23.8%)
* 건설수주(전월비,%): (’18.12)17.2 → (’19.1)△15.8 → (2)△21.4 → (3)66.9 → (4)△18.0 <전년동월비> 3.1 △25.5 △22.5 22.6 23.8
(경기지수)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비 보합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8.12)99.2 → (’19.1)99.1 → (2)98.6 → (3)98.5 → (4)98.5 <전월차(p)> △0.1 △0.1 △0.5 △0.1 0.0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비 보합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18.12)98.9 → (’19.1)98.6 → (2)98.3 → (3)98.2 → (4)98.2 <전월차(p)> △0.2 △0.3 △0.3 △0.1 0.0
Ⅱ. 평가 및 대응
(평가) 4월 산업활동 생산 지표는 3월에 이어 증가세를 유지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전월비 6.5%), 석유정제(11.2%), 자동차(2.5%) 등을 중심으로 증가
* 생산 증가율(전월비,%) : <반도체> (’19.1)1.6 (2)△2.0 (3)3.7 (4)6.5<석유정제> △0.3 △0.7 △0.7 11.2
기재부
edited by kcontents
서비스업 생산은 전문ㆍ과학ㆍ기술서비스업(3.2%) 등을 중심으로 증가
그러나, 소매판매는 전월 높은 수준의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내구재, 비내구재, 준내구재 판매가 줄어들며 감소 전환
* 유형별(3→4월,%) : (내 구 재) 7.8→△4.2 (준내구재) 0.7→△0.2 (비내구재) 2.6→△0.2
설비투자는 운송장비(항공기 등) 감소에도 불구, 기계류(반도체 제조용기계 등) 투자에 힘입어 증가 유지
* 반도체제조용기계 수입(일평균, 백만달러, 관세청) : (’19.3)35.6 → (4)42.0
건설투자는 건축과 토목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들며 감소 전환
(대응) 재정집행 가속화와 함께 조속한 추경 국회 통과 및 집행 준비에 전력을 다하면서 미중 무역갈등 등 리스크 점검ㆍ관리에도 만전
투자ㆍ수출ㆍ소비 등 경기보강 과제를 적극 발굴하여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반영
기재부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