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큰 사건·사고에 유독 취약 VIDEO: If You're A Compassionate Person, You May Be Experiencing 'Vicarious Trauma'


If You're A Compassionate Person, You May Be Experiencing 'Vicarious Trauma'

NATALIE GIL

9 MARCH 2019


5 Pathways for Healing Compassion Fatigue/Crisis and Trauma Resource Institute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큰 사건·사고에 유독 취약


    직접 충격을 받아야만 트라우마가 생길 것 같지만, 어떤 경우엔 간접 체험만으로 우울, 불안 수위를 높이고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준다. 이를 간접 트라우마(vicarious trauma)라고 한다.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 인류애를 잃게 만드는 끔찍한 범죄 등 많은 사건들이 단지 보고 듣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에게 충격을 입힌다. 어떤 사람들이 간접적인 트라우마에 더 취약할까?


2014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향하는 여객기가 미사일에 맞아 격추되면서 탑승자 298명 전원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 상당수가 네덜란드인이었고 이 사건은 당시 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큰 화제가 됐다고 한다.


때마침 네덜란드 흐로닝언대의 심리학자 버투스 제로니머스 교수 연구팀은 네덜란드 사람들의 정신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를 진행중이었다. 참가자들은 한 달 간 매일 하루에 세 번 씩 정서 상태와 신체적 건강 상태를 보고하고 있었는데 그 사이에 여객기 격추 사건이 일어났다. 원래의 연구 목적에는 없었지만, 과거의 트라우마가 아닌 현재 진행형인 트라우마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사건 전 후를 기준으로 사람들의 정서 상태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우선 사건 발생 전에 비해 발생 후 참가자들의 긍정적 정서(활기참, 즐거움)는 다소 감소하고 부정적 정서(짜증, 슬픔)는 증가한 경향이 나타났다. 100점 만점에서 3점 정도의 작은 변화였지만,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는 큰 사건사고가 사람들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인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나아가 연구자들은 어떤 사람들이 간접 트라우마에 취약한지 살펴봤다. 연구자들은 다섯가지 기본 성격 특성 중 ‘신경증(부정적 정서성, 부정적 단서에 민감·예민하며 기본적으로 걱정과 불안이 많은 특성)’이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간접 트라우마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 듣는 것만으로도 간접적인 트라우마가 생길 수 있다. 픽사베이 제공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이 충격적인 사건을 접한 후 정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충격적인 사건을 접한 후 긍정적 정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거나 ‘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이고 활기찬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긍정적 정서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은 어쩌면 본인이 겪은 위험에 대해서는 예민하지만 ‘타인’이 겪은 위험에 대해서는 되려 둔감한 것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자신을 향한 위험에 주의를 곤두세우느라 조금 멀리 떨어진 위험까지 신경 쓸 에너지는 없는 것일까?




다른 가능성으로는 타인의 괴로움에 지나치게 공감하는 경우 공감적 과각성(empathic arousal)이 나타나 번아웃을 겪게 된다. 따라서 되려 공감을 ‘덜’ 하게 된다는 연구들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어쩌면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사회적 파장이 큰 사건을 접하면 과각성이 일어나 애써 이를 무시하고 그 결과 비교적 평온한 감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외향성이 긍정적 정서 감소와 관련을 보인 것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이들이 사회 활동을 더 활발히 하므로 사건의 디테일에 대해 더 많은 사람들과 많은 시간 이야기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역시 추측이므로 정확한 이유는 아직 알 수 없다.


참고로 간접 트라우마가 대중적인 수준에서 발생하는 예는 크게 두 가지 사례로 나뉜다. 예를 들어 대통령, 유명 정치인, 사상가, 지도자, 연예인 등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의 죽음이 하나이고 부정 부폐 사건이나 비행기 추락, 테러 같은 사회가 어느 정도 공정한 룰과 예측 하에서 돌아갈 것이라는 믿음과 안전감을 앗아가는 사건들이 나머지 하나다.  


이렇게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가져오는 사건들은, 이를 직접 경험한 사람은 소수라고 해도, 그 사건을 접하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준다. 그리고 그 충격을 기반으로 이대로 있으면 안된다는 위기감과 변화에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곤 한다. 예컨데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았거나 부정부패 등으로 인해 큰 인명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제라도 법규를 가다듬고 책임을 엄히 물자는 여론이 커지는 등 집단적인 트라우마가 결과적으로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한국의 경우 세월호 사건이나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는 추악한 성폭력 사건들이 여기에 해당될 것 같다. 충격을 원동력으로 사회를 바꿔나가되, 충격에만 잠식되지 않게끔 하는 마음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Jeronimus, B. F., Snippe, E., Emerencia, A. C., de Jonge, P., & Bos, E. H. (2018). Acute stress responses after indirect exposure to the MH 17 airplane cras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박진영 심리학 칼럼니스트 parkjy0217@gmail.com 동아사이언스


edited by kcontents


Tuning out the suffering and destruction around us is as easy for some people as switching off their phones and disengaging from the news cycle. For others, however, who work in close proximity to death, destruction and other trauma, it's nigh on impossible to get distance, and this can wreak havoc on their mental health.


If you regularly meet trauma survivors or encounter upsetting incidents, torture or other devastation in your work, you may be experiencing 'vicarious trauma', also known as secondhand trauma. Defined by the British Medical Association as "a process of change resulting from empathetic engagement with trauma survivors," symptoms can include intense emotional involvement with your patient, client or the issue at hand; a lingering anger and/or irritation with the situation(s) you're encountering; bystander guilt, shame and self-doubt; a loss of hope, pessimism and cynicism; and difficulty sleeping.




LA Times journalist Sonali Kohli went viral on Twitter on Thursday with a thread in which she revealed she was taking three weeks off work to recover from the mental health impact of writing about mass shootings and deadly fires. "About a year ago, after covering two mass shootings and deadly fires across California, my therapist told me I ha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I should take a month away from work to address them, before they became PTSD. I did not listen," she wrote.


 

SlidePlayer

edited by kcontents


Her logic, as an office-based journalist, was that her "secondary trauma couldn’t be as bad as it was for the journalists in the field, or the people living it." So she took on "a new project on the high schools surrounded by the most homicide". Needless to say, reporting on further killings of children and mass shootings, while already showing PTSD symptoms, was the wrong decision for Kohli's mental health.


Many more journalists, who have covered stories ranging from sexual assault and misconduct to terror attacks, showed their support and said they could empathise. But vicarious trauma is by no means confined to journalism – sufferers can include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as the BMA highlights, as well as counsellors, social workers, charity sector workers, and more.

Leonie Harvey-Rolfe, 30, was signed off work for a month by her GP last June while working as a service coordinator at Golden Key in Bristol, where she would regularly meet women who had endured daily violence, abuse, poverty, homelessness and addiction. Her work was what is described in the sector as 'holistic', meaning she was expected to support women in potentially every element of their lives.


It's only now, months later, that she's begun referring to the experience as vicarious trauma. "No one person assigned it [the term] to me, it has been a gradual process of recognising the impact my previous work has had," Harvey-Rolfe tells Refinery29, adding that she found it difficult to "establish [her] boundaries" when dealing with such complex issues. "When do you say 'no' when potentially everything could be argued to be in your remit? And services around you are being cut so severely that your role is needed more and more every day, not just by clients but by professionals, too."


View Full Text

https://www.refinery29.com/en-gb/2019/03/226433/vicarious-trauma-secondary-traumatic-stress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