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잡곡도 몸에 맞는 걸로../장수에는 고 탄수화물-저 단백 식단이 좋아 Regulation of the Elongation Phase of Protein Synthesis Enhances Translation Accuracy and Modulates Lifespan

정월대보름...잡곡도 몸에 맞는 걸로..


   음력 1월15일은 정월대보름이다. 정원대보름에는 오곡밥과 묵은 나물, 견과류를 먹으며 우리 몸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고루 섭취할 수 있어 좋은 풍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잡곡이 각종 영영성분이 가득하여 ‘밥상 위의 건강식품’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잡곡이라고 해서 무조건 내 몸에 좋은 것은 아니다.


이투데이

edited by kcontents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나물 만드는 법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723427

edited by kcontents


내 몸에 맞는 잡곡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잡곡별로 어떤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자.




보리

최고의 자연 강장제인 보리는 몸을 보하고 오장을 튼튼히 해주는 식품이다.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이 많아 혈중 지질 수치를 낮추며,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준다. 쌀과 보리만 지을 때는 쌀과 보리 비율을 7:3으로 섞어 먹는 것이 몸에 제일 좋다. 다른 곡물에 비해 섬유질이 많아 배변에도 도움이 된다.


현미

먹을 때 오래 씹어야 하는 현미는 식이섬유가 많아 적게 먹어도 포만감을 느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체내 콜레스테롤을 정상화시켜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좋다. 또한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 노화를 늦춰준다.


현미를 즐겨먹는다면 미네랄이 결핍될 수 있으니 채소나 우유를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콩(서리태)

서리태는 당도가 높고, 기능성 물질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비만, 노화 예방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혈관 건강과 노폐물 제거에 도움이 된다.


비타민 B1, 레시틴,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성분인 이소플라본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갱년기 여성의 건강에 도움이 되며, 시스테인 성분이 있어 탈모 예방에도 좋다.


찹쌀

여름철에 즐겨먹는 삼계탕에는 찹쌀을 함께 넣어 요리한다. 왜냐하면 찹쌀이 위벽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소화가 잘 되므로 위를 편하하게 해주는 곡물이기 때문이다.


찹쌀에는 지방이 적고, 칼슘과 철분, 섬유소의 함량이 적으므로 대추를 넣어 약밥을 해먹으면 궁합이 잘 맞는다.


밥상머리뉴스

edited by kcontents


귀리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 푸드 중 하나인 귀리는 흰쌀과 비교해서 탄수화물은 2배, 식이섬유는 12배나 높게 들어 있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또한 단백질은 쌀의 2배 정도이며, 라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있으며,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폴리페놀 등의 항상화 성분이 풍부해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현미의 4배가 넘는 칼슘을 함유해 성장기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에도 도움을 주는 영양 식품이다.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을 예방해주고, 칼륨과 마그네슘 또한 풍부해 관절염과 골다공증에 좋다. 또한 식유섬유의 함량이 높아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고, 배변 활동을 도와 변비와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팥에 들어있는 사포닌은 이뇨작용을 하고, 피부와 모공의 오염물질을 없애주어 아토피 피부염과 기미 제거에 도움을 준다. 또한 팥은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부기를 빼주고 혈압 상승을 억제해주는 효능이 있는 좋은 식재료이다.


당뇨병, 고지혈증이 있다면?

식단의 서구화로 인해 당뇨병, 고지혈증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데 통밀, 통밀쌀, 보리는 혈당을 조절하고, 고지혈증을 예방한다. 특히 껍질 부분에 다량의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다.


다이어트, 변비가 있다면?

팥, 수수, 율무에는 섬유소가 많고 포만감이 높아 다이어트, 변비 개선에 좋은 잡곡이다.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면?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찹쌀, 비위를 튼튼하게 하는 차조, 체내의 기를 북돋워주는 기장은 소화불량 개선에 효능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장수에는 고 탄수화물-저 단백 식단이 좋아


   단백질은 줄이고, 탄수화물은 늘리는 식단이 수명을 연장하고 뇌 건강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언 헬스 앤 메디컬 리서치 연구소의 크리스토퍼 프라우드 박사는 ‘유피아이’와의 인터뷰에서 “특정 단백질을 너무 많이 먹으면 왜 수명이 줄어드는지 이유를 알게 됐다”고 밝혔다.


프라우드 박사는 “초파리와 유충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단백질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켜 몸에 ‘불량 단백질’을 축적시키고 이에 따라 조기 사망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고 탄수화물 식품 중 하나인 메밀과 고구마


건강에 좋은 고탄수화물 식품 12가지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5624

edited by kcontents


그는 “어떻게 단백질 섭취를 줄이는가가 장수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우리가 추천하는 것은 단백질 섭취를 줄이면서 동시에 탄수화물 섭취는 늘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탄수화물은 오랫동안 건강하지 못한 식단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다른 영양소와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하는가와 ‘좋은’ 탄수화물과 ‘나쁜’ 탄수화물을 잘 구별해서 섭취하는 것이 관건으로 나타났다. 좋은 탄수화물은 과일, 채소, 통곡물, 씨앗류 등에 들어있다.


이번 연구 결과(Regulation of the Elongation Phase of Protein Synthesis Enhances Translation Accuracy and Modulates Lifespan)는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최신호에 실렸다.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코메디닷컴


Regulation of the Elongation Phase of Protein Synthesis Enhances Translation Accuracy and Modulates Lifespan



 

Summary

Maintaining accuracy during protein synthesis is crucial to avoid producing misfolded and/or non-functional proteins. The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TORC1) pathway and the activity of the protein synthesis machinery are known to negatively regulate lifespan in many organisms, although the precise mechanisms involved remain unclear. Mammalian TORC1 signaling accelerates the elongation stage of protein synthesis by inactivating eukaryotic elongation factor 2 kinase (eEF2K), which, when active, phosphorylates and inhibits eEF2, which mediates the movement of ribosomes along mRNAs, thereby slowing down the rate of elongation. We show that eEF2K enhances the accuracy of protein synthesis under a range of conditions and in several cell types. For example, our data reveal it links mammalian (m)TORC1 signaling to the accuracy of translation. Activation of eEF2K decreases misreading or termination readthrough errors during elongation, whereas knocking down or knocking out eEF2K increases their frequency. eEF2K also promotes the correct recognition of start codons in mRNAs. Reduced translational fidelity is known to correlate with shorter lifespan. Consistent with this, deletion of the eEF2K ortholog or other factors implicated in translation fidelity in Caenorhabditis elegans decreases lifespan, and eEF2K is required for lifespan extension induced by nutrient restriction. Our data uncover a novel mechanism linking nutrient supply, mTORC1 signaling, and the elongation stage of protein synthesis, which enhances the accuracy of protein synthesis. Our data also indicate that modulating translation elongation and its fidelity affects lifespan.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0982219300314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