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후 10만 북 결핵 환자 어쩌나"
"통일 후 10만 북 결핵 환자 어쩌나"
감염병의 천국, 북한
"북한의 질병 문제는 곧 남한의 질병 문제"
경원선 복원 사업 등 남북 교류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의료계에서도 평화의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19일 대한감염학회는 '2018년 남북 교류 활성화 대비 감염병 대응 심포지엄'을 열고, 남북 의료 교류에서 감염병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북한의 질병 문제는 곧 남한의 질병 문제"
고대안암병원 김신곤 교수는 "북한의 질병 문제는 북한의 문제만은 아니라며 의료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말라리아 문제나 북한 대기오염이 남한에도 영향을 주는 등 좁은 면적에서 서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갑자기 통일이 될 경우 북한의 열악한 보건의료 실태가 위험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어린이 결핵환자/중앙일보
WHO “북한 결핵 사망자 한 해 동안 두 배로”
https://www.rfa.org/korean/in_focus/human_rights_defector/TBdeath-11062017144523.html
국제기구 북한 결핵 퇴치 지원 중단, ‘슈퍼 결핵’ 창궐 우려
http://news.joins.com/article/22531319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통일 대비 보건 분야 대처 방안'보고서에 따르면, 통일 시 북한 인구 8%가 남한으로 내려올 것으로 예상된다. 남쪽으로 내려오는 북한 인구 200만 명 가운데 보균자 비율이 5%라고 가정했을 때, 결핵 환자 10만 명이 남하하는 것이다. 치료 및 예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2년 후 100만 명이 결핵에 전염될 수 있다.
감염병의 천국, 북한
탈북 의사 최정훈 씨에 따르면 북한은 여전히 감염병에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다. 감염병 발생 시 감염의 연결 고리를 차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먼저 무상 진료 체계가 무너진 현실에서 병원을 자주 찾지 못하기 때문에 감염원의 조기 적발이 어렵다. 또 발생한 환자나 의료인에 대한 식량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격리 조치조차 불가능하다.
북한의 대표적인 감염병인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콜레라는 낡고 오염된 상하수도 시설로 전파, 확산된다. 발진티푸스와 말라리아처럼 이와 모기 등 해충을 매개체로 감염되는 감염병은 쾌적한 환경 위생이 관건이다. 최 씨는 "현실적으로 북한이 당장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인 데다 북한 정부가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도 뚜렷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의약품을 지원한다고 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외부에서 지원한 백신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전기 등 에너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같은 이유로 겨울철 실험실 적정 온도조차 유지하지 못해 검사 결과 오류로 감염병 진단에서 오진하는 경우도 많다.
감염병 퇴치 사업 필요해
김신곤 교수는 현재 의료 교류에서 위생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라이프 스트로(Life Straw)' 등 적정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라이프 스트로는 섬유 조직 필터와 요오드 필터, 활성탄으로 만들어져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해주는 휴대용 정수 빨대다. 기생충이나 세균을 걸러낼 수 있어 오염된 물 때문에 질병이 걸리기 쉬운 국가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원격 진료 또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북한은 2009년 'U헬스'라는 원격 진료 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U헬스는 2013년 210개의 병원을 연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우리나라는 원격 진료 서비스가 불법이나 이를 시행하기 위한 환경은 양호하다. 김 교수는 인공지능 빅 데이터 원격 진료 등을 활용해 북한의 보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희진 기자 (miro22@kormedi.com) 코메디닷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