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아 돼가는 대한민국 취업현상..."공시생 규모 44만명...국가적 비효율"


기형아 돼가는 대한민국 취업현상..."공시생 규모 44만명...국가적 비효율"


공시선택 동기, 54.5% '직업 안정성'

'국가봉사'는 2.9% 불과

기재부 과장 등 논문

공무원 쏠림현상에 공시생 70.5% 부정적


   우리나라의 공무원시험준비생(공시생) 규모가 약 44만 명으로 추정됐다.


공시생의 54.5%는 공무원시험을 택한 이유로 '직업 안정성'을 우선으로 꼽았고, 48%는 '하루 10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답했다.


중앙뉴스

edited by kcontents


건국대 박사과정 김향덕씨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박사과정 이대중씨(기획재정부 과장)는 '공무원시험준비생 규모 추정 및 실태에 관한 연구' 논문을 지난달 30일 '현대사회와 행정 28권(KCI)'에 게재했다.


이 과장은 8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공무원시험 쏠림 현상으로 각종 부작용이 나타나는 데도 정확한 공시생 규모조차 파악되지 않는 것을 보고 직접 연구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논문 결론에서 "직업 선택의 자유가 보장돼야 하겠지만, 과도하게 공무원시험에 쏠리는 현상은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비효율 측면에서 고려돼야 할 부분"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쏠림현상 완화를 위해서는 개인 차원을 넘어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또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과 민간기업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며, 공무원시험이 미래상에 맞는 인재채용에 적합한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전날 치러진 국가공무원 9급 공채(4천953명 선발) 필기시험에는 15만5천388명이 응시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공시생 규모 44만명

공시생은 평상시 대학교·대학원 재학이나 학원 수강 등을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지만, 공무원시험 원서를 접수하는 순간 '실업자'로 분류되고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면서 아르바이트를 하면 '취업자'로 분류된다.


이처럼 공시생의 상황에 따라 분류가 달라 통계를 추출하기 어렵고, 공무원시험 종류가 다양한 것도 규모 추정을 어렵게 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4월 발표한 '공시의 경제적 영향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는 공시생을 25만7천명으로 추정했다.


이번 논문은 공시생을 '국가직·지방직·특수직·교원 등 공무원 신분이 부여되는 각종 공무원채용시험을 준비하고 실제로 해당 공무원채용시험에 지난 1년 동안 1회 이상 응시한 자'로 정의하고 규모를 추정했다.


공시생 규모는 ▲공무원시험 경쟁률 추정방법에서는 50만명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활용방법에서는 32만명(가장 소극적 방법) ▲공무원시험 출원인원 합산 후 중복인원을 뺀 '시험응시자 계산방법'에서는 49만명으로 추정됐다.


논문 저자들은 이들 세 가지 방법으로 추정한 인원의 평균치인 44만명을 공시생 규모로 내놓았다.

'공시생 44만명'이라는 규모는 우리나라 청년 인구(만20∼29세·644만5천명)의 6.8%를 차지한다.


2018학년도 수능 응시자(59만3천여 명)의 약 75%에 이른다.



공시생 413명 '시험준비실태' 설문

논문 저자들은 공시생 413명을 대상으로 공무원시험준비 실태 설문조사를 했다.


공무원시험 준비를 처음 결심한 시기를 묻자 대학교 3∼4학년 때라는 응답이 34.1%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학졸업 또는 유예기간 23.5%, 직장·사회생활 중 20.6%, 대학교 1∼2학년 재학 중 15.3%, 군 복무 중 6.5% 등의 순으로 답했다.


공무원시험 준비를 실제 시작한 나이는 평균 만 24.5세였다.


또 공무원시험 준비를 시작한 동기에 대해서는 54.5%가 '직업 안정성'이라고 답했고, 그다음은 연금 등 '안정된 보수' 21.3%, 구직난 등 '청년실업 심각' 14.3% 등의 순이었다. '국가봉사' 응답은 2.9%에 그쳤다.


응답자들의 하루평균 공부시간은 8.7시간, 합격까지 예상 소요기간은 24.3개월로 나타났다.


하루평균 공부시간에 대한 응답은 13시간 이상 11.9%(49명), 10∼12시간 35.8%(148명), 7∼9시간 23.5%(97명), 6시간 이하 28.8%(119명) 등이다.


공무원시험 준비경험이 타 진로에 도움이 될 것 같으냐는 질문에 긍정적 응답은 15.7%, 부정적 응답은 59.8%로 나타나 부정적 응답이 훨씬 많았다.


불합격에 대한 스트레스 관련 질문에는 '매우 낮다·낮다' 응답자는 1.9%(8명)에 불과했고 '보통'은 9.2%(38명), '높다'는 29.9%(123명), '매우 높다'는 59.1%(244명)로 각각 나타났다.


평균 스트레스 지수는 5점 만점에 4.5점을 기록했다.


공무원 쏠림현상에 대해서는 70.5%가 부정적으로 답했고, 대안을 물은 데 대해선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46.4%, 기업 근무환경 개선 31.3%, 노동환경 개선 12.4% 순으로 응답했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noanoa@yna.co.kr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