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월 고용동향
취업자 37.1만명 증가
취업자수는 건설업 고용 증가세가 확대되고 제조업 고용부진이 다소 완화되며 증가폭 확대(1월 24.3 → 2월 37.1만명)
고용률(15~64세)은 65.6%로 45개월 연속 상승, 실업률(5.0%)은 소폭 상승(+0.1%p)하였고 전북 등 구조조정 지역의 상승세 지속
출처 온라인매체
edited by kcontents
<취업자수>
2월 취업자는 기저효과(‘16.2월 +22.3만명), 건설업 고용 증가세 확대 등으로 37.1만명 증가
* 취업자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11) 33.9 (12) 28.9 (‘17.1) 24.3 (2) 37.1
건설업은 건설기성 증가세 유지, 기저효과 등으로 크게 증가
* 건설업 취업자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2)△0.6 (12) 8.6 (‘17.1) 8.5 (2)14.5
* 건설기성(전년동기비, %) : (’16.2/4)15.8 (3/4)14.5 (4/4)17.7 (‘17.1)14.4
제조업은 구조조정 연관 업종의 고용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나, 수출․생산 회복 등으로 취업자 감소폭이 다소 완화
* 제조업 취업자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11)△10.2 (12)△11.5 (‘17.1)△16.0 (2)△9.2
서비스업은 보건․복지(+7.5만명), 교육서비스(+6.6), 도소매(+6.8), 숙박음식(+5.8) 등을 중심으로 30만명대 증가세 지속
* 서비스업 취업자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11)31.1 (12)34.5 (‘17.1)32.3 (2)32.2
자영업자의 경우 장년층, 실직자 등이 유입되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중심으로 증가세 확대
* 자영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10)12.4 (11)14.1 (12)15.5 (’17.1)16.9 (2)21.3
<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 8.1 10.2 10.6 10.5 13.7
<고용지표>
15~64세 고용률은 65.6%로 0.6%p 상승(‘16.2월 65.0%)하며 45개월 연속 상승(동월기준 역대 최고치)
경제활동참가율(62.2%) 상승(+0.4%p), 실업률은 5.0%로 상승(+0.1%p)하였고 전북 등 구조조정 지역의 실업률 상승세도 지속
* 경제활동참가율(%) : (’16.2)61.8→(‘17.2)62.2, 실업률(%) : (’16.2)4.9→(‘17.2)5.0
* 구조조정 관련지역 2월 실업률(%) : (울산)4.3 (전남)5.7 (전북)4.7 (경남)3.7
변동(전년동월비, %p) △0.2 +0.5 +1.3 +0.3
<청년층>
청년층은 인구감소 효과로 취업자가 소폭 감소하였으나
고용률 상승세 지속(+0.2%p)
* 청년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11)△1.9 (12)0.7 (‘17.1)△1.3 (2)△0.5
* 청년 인구증감(전년동월비, 만명) : (‘16.11)△8.0 (12)△8.6 (’17.1)△5.2 (2)△5.6
구직활동 정체로 실업자가 감소하며 청년 실업률 하락(△0.2%p)
* 청년지표(16.2→17.2, %) : (경활율)47.4→47.5 (고용률)41.4→41.6 (실업률)12.5→12.3
- 2월 청년 실업률은 졸업, 공무원 원서접수 등 계절적 요인으로 다른 달에 비해 높은 수준
* 월평균 청년 실업률(‘11~‘16년, %) : (2월 제외) 8.4 (2월) 10.1(+1.7%p)
* 9급 공무원 원서접수자(2.1~6) 역대 최다(‘16년 22.2 → ’17년 22.8만명)
2월 고용이 상당폭 개선되었으나 대내외 불확실성, 심리 위축 등에 따른 내수부진, 구조조정 영향 등 하방요인 상존
24조원 경기보강 및 재정 조기집행, 소비․투자 활성화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여 경기․고용 위험에 적극 대응
청년ㆍ여성 취업연계 강화 등 일자리 중심 국정 운영을 지속하면서 3월중 청년 일자리 대책 보완방안 마련
[전문]
2월 고용동향 보도참고자료_최최종.hwp
기재부
케이콘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