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억불 규모 '케냐 지열(Geothermal) 발전소프로젝트' 수주 가능성 높다


朴대통령 아프리카 순방 계기 한·케냐 정상회담

총 4000㎿ 규모 케냐 원전시장 진출 가능성도 높아져

현대엔지니어링, 210㎿ 규모 지열발전소 3기 수주 도전

케냐 '과학기술인력양성' 기관에 KAIST 모델 이식

한국형 산업단지 조성도 추진


   박근혜 대통령의 케냐 방문을 계기로 4억3,000만달러(약 5,120억원) 규모의 지열발전소 프로젝트를 우리 기업이 수주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A view of the Olkaria II geothermal power plant in Kenya's Rift Valley. Phot

출처 geni.org

edited by kcontents 


약 80만㎡(24만평) 규모의 한국형 산업단지 조성도 추진돼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의 아프리카 및 미국, 유럽 시장 진출의 거점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프리카 3개국 순방 케냐를 방문한 박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우후루 케냐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이같은 내용의 경제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나이로비(케냐)=뉴시스】전진환 기자 = 아프리카를 순방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간) 케냐 나이로비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에 도착, 모하메드 

외교부장관의 영접을 받으며 공항을 나오고 있다. 

2016.05.30. amin2@newsis.com 16-05-30


케냐는 지난 2008년 국가발전전략 '비전 2030'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중소득국 진입과 신흥 산업국가로의 전환을 목표로 전력, 도로, 항만, 철도 등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추진중이다


이런 가운데 현대엔지니어링은 케냐가 올해 입찰 예정인 총 210㎿ 규모 지열발전소 3기 수주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일본 도시바와 컨소시엄을 구성, 280㎿ 규모 지열발전소 2기를 2014년 준공한 바 있어 박 대통령의 지원을 통해 추가 수주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한·케냐는 박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전력·원자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지열발전소 수주를 지원하는 동시에 케냐의 중장기 원자력발전 프로젝트 참여를 겨냥한 것이다.


케냐는 2033년까지 총 4000㎿ 원전 도입을 목표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원자력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 원자력 발전소를 수출했던 경험을 살리면 케냐 원전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청와대는 보고 있다.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은 사전 브리핑에서 "케냐는 동아프리카 지역의 최대 인프라 프로젝트 개발국으로 이번 정상회담 계기 전력·원자력 MOU를 통해 상당히 많은 프로젝트가 예상된다"며 "케냐는 현재 전력 자급률이 20%인데 2030년 100%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다 산업에서의 전력 수요도 급증해 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우리 기회가 크다"고 말했다.


400만달러 규모의 은조이아(Nzoia)강 홍수조기 경보시스템 구축사업, 1억4,000만달러 규모의 몸바사 상수도 공급시설 등 한국 기업이 참여를 희망하는 물관리 인프라 사업 분야 협력도 정상회담에서 논의돼 수주 전망을 밝게 했다.


케냐에 한국형 산업단지를 조성, 우리 제조업의 수출 거점으로 육성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80만㎡ 규모로 업종은 섬유, 피혁, 식품가공이 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2건의 산업단지 협력 MOU를 체결했다.


케냐는 동남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동아프리카공동체(EAC),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TFTA) 등에 모두 가입한 동아프리카 물류·교통의 허브다. 특히 케냐는 미국의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 혜택을 받아 대미(對美) 무관세 수출도 가능하다.


안 수석은 "한국형 산업단지 조성은 우리의 산업 발전 과정에서 축적한 산업단지 조성 역량과 운영 노하우를 이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중소·중견기업들이 아프리카와 미국, 유럽 등의 시장 진출에 거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인력 양성 교육기관인 카이스트(KAIST) 모델도 케냐에 이식된다. 케냐는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위해 우리의 카이스트와 유사한 '과학기술원' 설립을 추진중이다.


이에 따라 카이스트는 케냐 정부의 요청으로 지난해 타당성조사를 실시했으며 박 대통령의 이번 순방을 계기로 양국간에는 과학기술 협력 관련 MOU도 체결됐다. 케냐 과기원이 설립될 경우 우리 카이스트 모델이 아프리카에 적용되는 첫 사례가 된다.


안 수석은 "케냐에 카이스트를 설립토록 한다는 것은 우리 경제성장과 산업 발전에 토대가 됐던 과학기술 육성 체제를 케냐에 이식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의약품 유통관리체계 협력 MOU 등이 체결됨에 따라 케냐에서 유통되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의 빠른 습득이 가능해졌다. 이는 우리 제약업계의 케냐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마련된 것이라고 청와대는 전했다.


이밖에도 양국 정부는 전자정부 협력 MOU를 체결, 2017년부터 3년간 한·케냐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운영키로 함에 따라 우리 전자정부 기술의 수출길도 열었다. 

【나이로비=뉴시스】김형섭 기자  ephites@newsis.com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