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소 건강에 관심이 많은 A씨(23세, 여)는 최근 몸 컨디션이 좋지 않아진 후 각종 질병에 걸렸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과거에도 가슴이 답답한 증상으로 병원을 찾아 심장병 검사를 해 봤지만 정상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자신이 말로만 듣던 ‘건강 염려증’이 아닌지, 또 ‘염려’되기 시작한다. 건강 염려증(Hypochondriasis)이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신체적인 징후나 증상에 대해 잘못된 해석을 내려서 자신이 심각한 병에 걸렸다는 생각에 집착하는 장애이다. 의학적인 평가를 철저히 하고 난 뒤에도 증상을 충분히 설명해 줄 원인을 밝혀 내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자신에게 병이 없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건강 염려증의 원인은 낮은 자존감, 부적절한 자기감, 지각, 인지적 장애에 대한 방어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죄책감과 자기 비하 때문에 신체적인 고통을 심리적인 속죄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환자 역할을 스스로 자처함으로써 여러 가지 곤란한 상황을 모면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책임과 의무의 도피처가 된다. 자기애적인 성향과도 관련이 깊다.
이런 증상 있다면 ‘건강 염려증’ 의심 환자들은 자신의 증상에 대한 설명이 막연하고, 심장병, 벌떡거리는 가슴 등과 같이 모호하면서 극적인 표현을 한다. 이런 신체적 증상들을 특정 질병 때문이라고 믿고 있으며, 증상의 의미, 근거, 원인에 대해 굉장히 꼼꼼하게 체크하고 의사에게 꼬치꼬치 따진다.
관심은 오로지 자신의 신체 증상에만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자신의 증상에 대해 믿어 주지 않는다고 주변 사람들에게 화도 잘 낸다. 반복적인 신체검사, 여러 가지 검사를 자주 하며 질병에 대해 보고 듣는 것, 누가 아프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것에 대해 굉장히 놀라는 반응을 보인다.
또 자신의 신체 내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에 민감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에서도 병에 관한 것이 주요 화젯거리이다.
정신과 치료 꺼리므로 종합적 접근이 중요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을 느낀다. 환자는 어떻게 해서든 자신에게 신체적 병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내과나 외과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받은 상태에서 정신과 치료를 받으려고 한다. 따라서 종합병원에서 규칙적으로 신체검사를 해 가면서 불안이나 우울, 대인 관계 문제, 스트레스 대처 기술 습득 등을 시행하는 편이 좋다.
건강 염려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건강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줘야 한다. 아이의 작은 병이나 가벼운 증상에 대해 부모가 지나친 관심을 보이거나 걱정하는 것은 금물이다.
대범한 태도를 갖게 하고 공부나 일에 몰두하거나 운동을 하는 등 취미를 가져 병에 대해 집착하는 것에서 벗어나게 해 주면 도움이 된다. 또 평소 자기 관리를 잘해 건강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