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아파트 40% 서울 중심, "재건축 사업 본격적 속도 낼 듯"

 

 

 

 

전국의 30년 이상 노후 아파트 물량 중 40%가 집중된 서울을 중심으로 향후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인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재건축 사업이 추진되면 이주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전세가격이 올라 서울 전세시장의 불안도 덩달아 커질 가능성이 있다.


1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기준으로 30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의 누적 물량은 전국적으로 43만9860가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서울의 노후아파트 물량은 16만7277가구로 전체의 38.0%를 차지한다. 그 뒤를 부산(5만9396가구·13.5%), 경기도(4만8667가구·11.1%), 인천(3만8922가구·8.8%) 순서로 이었지만 서울과의 물량 격차가 큰 편이다.


이처럼 노후 아파트 물량 상당 부분이 서울에 집중된 상황에서 지난 9월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대책을 계기로 서울지역 재건축 사업 진행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손은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주택 재건축 준공물량은 8514가구로 2008년 고점(5만9000가구)과 비교해 약 15% 수준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연이어 발표된 주택시장 활성화 대책과 재건축 규제 합리화 방안에 힘입어 앞으로는 재건축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정부의 발표대로 재건축 관련 규제가 완화될 경우 서울·수도권 지역 주택의 재건축 가능 시점이 크게 앞당겨진다는 분석이다. 손 책임연구원은 “현행 기준으로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경우 1987년 이후에 준공된 아파트의 재건축 가능 연한이 많이 남아 빠른 재건축 사업 추진이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개정안이 통과돼) 재건축 연한 상한이 기존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되면 서울·수도권 지역 주택 중 1980년대 후반 이후에 준공된 공동주택의 재건축 가능시점이 최소 2년에서 최대 10년 정도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되면 서울 전세시장의 불안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


손 책임연구원은 “재건축이 추진되면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주변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수요가 늘어난다”면서 “서울 전세가격을 상승시키고 전세 물량 부족을 초래해 전세시장의 불안감을 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처럼 재건축 사업 추진에 있어 긍정적인 기대감이 생기면 주택시장 전반으로 회복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최근 주식시장에서는 건설주의 주가가 최근 2개월간 온탕과 냉탕을 넘나들었다. 정부가 부동산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9월 초부터 중후반까지는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건설주가 전반적으로 강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국내 주택시장 회복 기대감에도 해외 사업장 수익성 악화에 따른 3분기 실적 우려가 불거져 최근 주요 건설주의 주가가 떨어졌다. 8월 말 대비 최근 삼성물산(-4.8%), 대우건설(-17.3%), 현대건설(-11.4%), 현대산업(-6.4%), GS건설(-14.4%), 대림산업(-20.6%)의 주가는 평균 12.5% 하락했다.
서울경제 디지털미디어부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