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증시 상승률 빅5는 모두 'ooo'
관세 충격 무풍지대 평가받아
기계공학을 전공한 A 박사는 요즘 주변에서 “고맙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작년 지인들이 어떤 주식을 사야 할지 물어볼 때마다 로봇주를 추천했는데, 새해 들어 로봇주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i5ueW/btsL7cma3H0/53oGu9nyriB8JPKQFrDAk0/img.jpg)
3일 국내 로봇주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타격을 받는 와중에도 강세를 보였다. 로봇 산업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요소로 부각되면서 투자자 관심이 집중됐기 때문이다.
이날 로봇 관련주인 하이젠알앤엠은 장중 한때 17% 넘게 오르며 상장 이후 최고가(4만6200원)를 기록했다. 최근 삼성전자 자회사로 편입된 레인보우로보틱스도 주당 30만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31만3500원)를 찍었다. 결국 하이젠알앤엠은 이날 6.6% 오른 4만1050원에 마감했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3.3% 오른 30만9500원에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피, 코스닥이 각각 2.5%, 3.4% 하락한 약세장이었지만 로봇주 매수세는 꺾이지 않았던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JSdpO/btsL6lKXdjM/h69GDWsF7tQvL1pk7HLScK/img.jpg)
올해 상승률 빅 2는 로봇株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코스닥 2600여 상장사 중 상승률 1위 종목은 하이젠알앤엠(197%)이었다. 다음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112%), 에스피시스템스(106%), 고영(103%), 한국무브넥스(96%) 순이었다. 수익률 상위 5개 종목이 모두 로봇 관련주다.
하이젠알앤엠은 작년 6월 공모가 7000원에 상장한 새내기 기업이다. 1963년 LG전자 모터사업부에서 시작해 2008년 독립했다. 로봇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엑추에이터(근육 관절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scAVw/btsL7M1BCvg/Sfy3Dp034oC1UmP3kh8mNk/img.jpg)
올해 주가 상승률 2위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지난달 삼성전자의 연결 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외국인들도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면서 코스닥 시장에서 올해 외국인 순매수 1위(1129억원)를 기록했다.
올해 코스닥 외국인 순매수 2위인 성광벤드(459억원)나 3위인 파마리서치(431억원)와 비교해도 금액이 압도적으로 커서 로봇 산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과 기대감을 엿볼 수 있다.
증권가 “로봇, 트럼프 2기 주요 테마”
증권가에선 로봇주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테마로 꼽고 있다. 글로벌 산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로봇 성장세에 불을 댕길 것이란 설명이다.
![](https://blog.kakaocdn.net/dn/vFS5S/btsL76leD9W/59dZqSYHw9ybb1c4XhQaE0/img.jpg)
이상헌 iM증권 연구원은 최근 펴낸 ‘트럼프 2.0 시대 개막’ 보고서에서 “트럼프 2기에는 고령화와 인건비 상승과 같은 사회 구조적 변화, 리쇼어링(자국 이전)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로봇 도입이 가속화할 것”이라며 “사람 형태를 모방한 휴머노이드 로봇은 물건 운반과 정리, 위험물 처리, 구조 활동 등 쓰임새와 잠재력이 훨씬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등 대기업들이 AI 기술을 물리적으로 구현할 플랫폼인 로봇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로봇주들이 급등하면서 과열 가능성을 경고하는 전문가가 늘고 있다. 작년 6월 상장 이후 공모가 대비 486% 급등한 하이젠알앤엠은 이날 한국거래소가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했다.
로봇 업종이 미래 성장 산업이지만 지금과 같은 높은 주가를 정당화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현재 시가총액이 6조원에 육박해 코스닥 시총 기준 5위이지만, 2021년 상장 이후 한 번도 수익을 내진 못한 적자 기업이다.
설태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로봇이 상용화되려면 시간이 상당히 걸릴 것”이라며 “단순히 기대감에 집중하기보다는 로봇 분야에서 AI 도입으로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들에 주목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이경은 기자 조선일보
![](https://blog.kakaocdn.net/dn/b7nFzO/btsL6hIIWRl/K88waQUOghWipIxqZ9cVn0/img.jpg)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