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원전시장에 진출하는 방법

 

정부 간 교류/협력을 통한 규제 완화 필요

현지화 전략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 중요

 

인도의 전력 생산 및 전력 소비 동향

 

원활한 전력 공급은 인도의 사회 경제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인도에서는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전력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이런 증가하는 국내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 용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NDTV edited by kcontents
 

인도 중앙전력청(CEA)의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에서 1인당 전력 소비량은 2012년의 0.914MWh에서 2022년에는 1.331MWh로 증가했다. 2023년 기준, 최대 부하(피크 부하) 가용 능력은 239,931MW로, 실제 최대 수요량인 243,270MW에 비해 3,339MW(1.4%) 부족했다. 최대 전력 수요는 지난 2014년의 148,170MW 대비 2023년에는 243,270MW로 64% 증가했다. 2031년이면 최대 전력 수요는 약 366,000MW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설치 전력 용량은 약 732,000MW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현재 설치된 전력 용량인 441,970MW대비 290,000MW가 증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2024년 3월 기준 인도의 총 발전 용량은 약 441,970MW이다. 인도의 전력 발전은 석탄 에너지가 주도하고 있으며, 석탄을 활용한 발전용량은 국가 전체 전력 생산의 약 50%를 차지한다. 아직까지 인도에서는 전력 발전에 있어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원자력 발전은 인도 전체 에너지 생산의 약 2%에 불과하지만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인도 정부의 장기 전략을 위해 굉장히 중요한 발전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 정부는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와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전력 발전에서 청정 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태양열,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원자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를 통한 발전 용량을 늘려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동시에,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노력을 단행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인도의 전력 발전 부문에서 청정 에너지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 중요성은 점차 커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원전 현황과 미래 계획

인도 정부는 비화석(non-fossil) 에너지원을 통한 발전 용량을 현재의 199,000MW에서 2030년까지 500,000MW로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풍력, 태양열, 수력 및 바이오매스 등을 포함한 재생 에너지 계획이 진행 중이지만 정책 입안자들은 에너지 저장의 용이성 문제로 인해 원자력 발전을 점점 더 검토하는 추세에 있다. 원자력 에너지는 지속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비화석 에너지원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도 높아져가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인도는 원자력 발전 용량을 대폭 확대하고자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인도의 원자력 발전 부문은 현재 7개의 발전소에 걸쳐 총 23개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설치 용량은 8,080MW이다. 현재 인도가 보유한 원자로 종류로는 BWR, iPHWR, VVER 등이 있다. 인도는 원자력 발전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11개의 원자로를 건설 중이며, 이를 통해 국가 전력망에 약 8,700MW 정도가 추가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러시아와 공동으로 건설 중인 쿠단쿨람(Kudankulam) 원자력 발전소, 라자스탄(Rajasthan) 및 카크라파르(Kakrapar) 원자력 발전소 등이 포함된다. 인도가 계획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 개발 프로젝트는 이를 통해 향후 20년 동안 최대 36,900MW까지 용량을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 러시아, 미국 등과 대외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EDF와 공동 추진 중인 마하라슈트라의 자이타푸르(Jaitapur) 원자력 발전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인도의 Small Modular Reactors-SMR(소형 모듈 원자로) 현황 및 향후 로드맵

최근 인도에서 소형 모듈 원자로(SMR)는 원자력 에너지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떠오르는 솔루션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인도 정부는 SMR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토착 기술을 개발하고 글로벌 전문가와 협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SMR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적극 활용하고자 원자력부(DAE)를 통해 국제 기관과의 파트너십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올해 인도 정부는 연방 예산안에서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위한 예산을 우선순위로 지정하여 2047년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선진형 전력발전’에 있어 SMR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SMR의 개발 및 연구를 위해 인도 정부에서는 원자력부에 약 29억 8천만 달러 상당의 예산을 배정했으며,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민간 투자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2024 INBP 원전 전시 컨퍼런스

한편, KOTRA 뭄바이무역관에서는 한국의 원전 기자재 수출 확대를 위해 지난 11월 21일 - 22일 간 뭄바이 CIDCO 전시장에서 개최 된 'INBP(India Nuclear Business Platform) 인도원전 전시 컨퍼런스'에 참가했다. 동 행사는 인도 유일의 원전 관련 컨퍼런스 및 전시회로, 인도 정부의 원전 관련 정책방향과 업계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다. 한국, 러시아, 프랑스 등 주요 원전수출국의 다양한 기업들이 본 행사에 참여했다.

 

특히, 금년 행사에는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경상남도, 한국수력원자력발전 등 국내 유관기관 5개와, 두산에너빌리티, 삼홍기계 등 국내 원전 관련 기술 기업 14개사가 참가하였으며, TATA Power, NTPC, NPCIL, BHEL, L&T 등 현지의 주요 기업들과 일대일 B2B 상담이 이루어졌다. KOTRA에서는 중장기적으로 원전 수출 지원을 지속 확대해 갈 예정이다. 행사장 한 편에서는 인도 원전 시장 진출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진행 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2024 INBP 원전 전시 컨퍼런스, 「인도 원전 시장 진출 세미나」 주요 내용>

인도 화력발전공사
(NTPC)
◇ 인도는 2023년 기준, 442GW 수준의 발전 설비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약 55% 가량은 화석 연료로부터 조달
◇ NTPC는 이 중 약 76.5GW의 발전량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 11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추가 건설 중
◇ 재생에너지 인프라 보급 확대를 위해 민간 자본과 협업(JV)을 채택하였으며 TATA 등 30여개 민간 기업이 참여 중
◇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50%까지 확대할 계획. 특히 태양광, 풍력, 수소와 함께 원전 비중을 확대하고자 UCIL
(인도우라늄공사)을 통한 핵원료 확보, 원전 추가건설* 등을 지속 추진
* 라자스탄 Banswara 원전 4기(각 700mw PHWR) 건설에 대한 정부 승인 확보
◇ 인도 원전의 안전 규정 등에 부합하는 SMR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 선진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들과의 협력도 확대할 예정
◇ Atomic Energy Act 개정 및 파일럿 프로젝트 착수(~3년), 파일럿 프로그램 본격 시행 및 확대 운영으로 완성도 제고(3~7년),
원전 허브로서 위상 강화 및 원전 부품, 기술 등 수출(7~15년차)
인도원자력공사
(NPCIL)
◇ 인도는 지난 35년간 쌓아온 가압중수로(PHWR)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전성 제고 및 건설 공기 단축을 위한 원자로 등의 모듈화에 성공
◇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 대응 및 탄소중립을 위해 러시아, 프랑스 등과 협력하여 추가원전 건립을 추진 중이며, 건설기간 5년 미만의
소형원자로(BSR, SMR)개발 및 글로벌 협력도 적극 추진 예정
◇ 민간 자본에 대한 진입제한을 해제하여 원전 신기술 개발 및 보급을 확대하고자 AERB 등 관계기관과 규정 개정 등 진행 중
◇ 인도 원전은 안보 및 안정성의 문제로 정부가 소유권(Ownership)을 가지고 독점 운영중이며 민간 참여는 향 후 4~5년 간의 학습과정을
거쳐 신뢰를 쌓은 후 진행하는 것이 바락직하다는 입장
인도국립고등연구
(NIAS)
◇ 인도 정부의 2070년 탄소중립(Net Zero Emission) 목표 이행을 위해 2050년까지 100GW 규모 원전 건설이 불가피하며 이는 현재의
발전량을 12배 늘려야 하는 수준
◇ 신속한 원전 보급을 위해 시공간 제약이 덜한 SMR이 핵심적이며, 정부의 방사성 물질 및 보안에 대한 통제 하 원전의 민간 소유
허용에대한 논의도 가능
◇ 2032년까지 노후 화력발전소를 대체할 80GW 규모의 새로운 초임계 화력발전소(Supercritical TPP) 건설도 원전 보급과 함께 추진 필요
현지 법무법인
(Pheonix Legal)
◇ 인도 원자력법(Atomic Energy Act 1962), 원자력에너지규칙(2004), 외국인직접투자법(Foreign Exchange Management Act 1999)에
의해 인도 기업만이 JV 형태의 원전 조달/건설에 제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구조
◇ 또한 인도의 손해배상책임법(Civil Liability for Nuclear Damage Act) 제 46조 (공급업체 대상 소송) 및 제 17조 (공급업체 책임소재)
및 규칙 24조 (구상권) 등 원전 공급업체에 불리할 수 있는 규정들이 존재하고 있어 민간 참여를 위축
◇ 인도의 원전 법령 안에서 인도 원전 공급업체들이 과도한 법적 책임이나 재정적 손실 위험을 줄이는 방안으로 다음의 4가지를 제안
1. 인도 원자력 보험풀(Indian Nuclear Insurance Pool)을 통한 보장
2. 공급업체가 제3자로부터 직접적인 소송을 당하지 않도록 계약을 통한 면책조항 명시
3. 계약상 과실 판단 관련 절차 내용 명시
4. 책임 제한 조항(Limitation of Liability Clause) 및 계약 구조화(Contract Structuring)

[자료: KOTRA뭄바이무역관]

 

행사 참가기업(Vividh Hi-fab Private Limited) 인터뷰

 

Q1. 현재 인도의 원전 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회와 도전과제는 무엇인가요?

A1. 인도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원전 관련 공급업체가 부족하다는 점이 도전과제입니다. 이러한 결핍으로 인해 원전 관련 프로젝트 실행 및 납품에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수 장비 및 재료, 특히 원자력 시설의 건설 및 운영에 필수적인 고강도 재료의 가용성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그러나 동시에 해외 기업들에게는 수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수 장비와 첨단 소재에 전문성을 갖는 기업들은 인도에서 많은 진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Q2. 향 후 5년 동안 인도 원전 시장이 어떻게 발전할 것으로 보십니까?

A2. 인도 정부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 에너지 발전 용량을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중점 분야 중 하나는 BSR(Bharat Small Reactor, 인도형 소형 원자로)과 소형모듈형원자로(SMR)의 개발과 배치입니다. 이러한 소형 원자로는 대형 원전 설치가 어렵거나 그리드 연결이 제한적인 지역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훌륭한 대안이 됩니다. 또한 인도 정부에서는 700MW 가압중수로(PHWR) 건설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전 기술을 중심으로 향 후 10년 동안 인도 정부는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국제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원전 분야 관련 투자유치 또한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정책 완화를 통해 민간/국제 기업들의 시장 진출이 보다 용이해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Q3. 인도의 원자력 부문에서 가장 필요한 외국 기술이나 제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3. 발전용 터빈과 소형모듈현원자로(SMR), 방사성 유리체를 처리하고 원자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특수 펌프, 원자력 시설에서 사용되는 배관 시스템, 파이프, 밸브 등의 부분에서 많은 기술 수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Q4. 한국의 원자력 기술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까?

A4. 한국의 원전 분야는 인도와 협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생각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INBP와 같은 행사는 지식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앞으로 이러한 행사를 통해 양국이 원전 기술에 대한 교류를 확대해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5. 한국 기업이 인도 원전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핵심 전략은 무엇일까요?

A5. 한국 기업은 현지화에 집중하고 인도 정부의 Make in India 정책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외국기업이 NPCIL과 같은 인도의 정부기관과 협력하기 위해서는 현지화된 공급망이나 제조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도 정부 기관에서는 현지에서 제조된 부품 및 솔루션을 우선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도에 제조시설을 설립하거나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으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주요 이해 관계자와 신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6. 인도 원전 시장에 진출을 고려하는 한국기업에게 조언 해주실 말씀이 있습니까?

A6. 인도 원전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기업은 AERB(Atomic Energy Regulatory Board) 및 NPCIL(Nuclear Power Corporation of India)의 승인을 획득하여 특정 기술 및 인증을 취득해야합니다. 이를 통해 인도 정부의 엄격한 안전 규제 기준을 통과해야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프로젝트 소유자 또는 개발자가 요구한 사양을 철저히 준수하여 한국기업이 제공하는 장비 및 솔루션이 프로젝트의 고유한 요구사항과 완벽하게 호환될 수 있어야 합니다.

 

 

 

시사점

인도는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원자력 발전 부문의 확장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인도 정부의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으로 인해 외국의 원전 관련 공급업체는 진출 장벽에 직면해 있다. 메이크인 인디아 정책은 인도 원전의 핵심 기관인 NPCIL(Nuclear Power Corporation of India Limited)과 직접 공급 계약시 최소 50%의 현지 제조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국 공급업체가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거나 인도에 법인을 설립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벽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인도 원자력 시장은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 부문에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정부 간 협력이 중요해 보인다.

 

단기적으로 한국의 원전 공급업체는 현지의 규제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인도기업과 합작 투자 또는 인도에 자회사를 설립하는 데 중점을 두고, L&T, BEHL 및 Megha Engineering과 같은 주요 인도 민간 부문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는 방식을 통해 시장 접근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 정부 간 교류(G2G) 채널을 활용하는 것 또한 중요한데, 이는 한국과 인도 정부간의 양자 협정이 원자력 프로젝트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기업들은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술과 연관된 협력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인도 당국과 공동 개발 및 배치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한국 공급업체는 인도 현지에 제조 시설을 설립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며, 인도 정부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원자력 부품 생산에 중점을 두어 인도의 원자력 공급망에 깊숙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MR 및 Generation-IV 원자로와 같은 첨단 원자력 기술을 인도 파트너와 공동 개발하면 전략적 이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경제·무역 인도 뭄바이무역관 이준호 2024-12-13 출처 : KOTRA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