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 반년 만 하락전환...서울도 하락 추세 ㅣ “강남 부자들, 부동산 급락 노리며 현금 비축”

 

서울 대장 아파트도 뚝 뚝…전국 아파트값 반년 만에 하락전환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전국 아파트 가격이 반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이 21일 발표한 ‘11월 셋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1% 떨어졌다.

 
비즈워치 edited by kcontents

 

전국 아파트 가격이 내려간 것은 지난 5월 둘째주 이후 27주 만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와 같은 0.6% 상승률을 기록, 35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경기도가 보합(0.00%)를 기록했고, 인천은 구도심 등이 하락하며 0.04% 내려 하락 전환했다.

이에 따라 수도구너은 .01% 올라 전 주(0.03%)보다 상승폭을 줄였다.

 

 

대출 규제 강화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이 같은 부동산 가격 조정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은 “대출을 옥죄며 매수 원동력이 떨어졌다”라며 “지방 매매가 하락폭이 커진 가운데 수도권 상승폭이 점점 축소되면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 전환했다”고 풀이했다.

 

실제, 서울 일부 지역 대장 아파트의 하락 거래가 눈에 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트리마제’는 지난달 전용 126㎡가 전월 대비 8억원 내린 59억원에 손바뀜했다. 서초구 대장 아파트인 서울 서초구 반포동 ‘원베일리’ 역시 지난달 59㎡가 33억원에 거래돼 전월 38억3000만원보다 5억원 넘게 떨어졌다.

 

서울 25개 자치구별로는 강남구(0.15%), 서초구(0.11%), 용산구(0.11%), 종로구(0.10%) 등이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강북(0.01%), 동작(0.01%). 광진(0.02%), 동대문(0.02%), 금천(0.02%)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뉴시스 edited by kcontents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역세권·신축 등 인기 단지는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된다”면서도 “그외 단지는 대출 규제에 따른 관망세 확산과 매물 적체가 감지된다”고 전했다.

 

 

 

지방은 전주 대비 0.04% 떨어진 가운데 5대 광역시와 8개도가 각각 -0.05%와 -0.03%를 기록했다.

매매가격과 달리 전국 전셋값은 0.03% 올라 상승세를 유지했다. 다만, 상승폭은 전주(0.04%)보다 줄었다.

 

서울은 0.04% 올랐지만 전주(0.05%)보다는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07%→0.05%)도 상승폭이 둔화됐으며, 지방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서울 강남구는 전주보다 0.11% 오르는 등 주거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다만 대출 금리 인상과 일부 지역에서의 대규모 신규 입주 등으로 전체적으로는 상승폭이 감소했다는 게 한국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전체 가구 수가 1만2032가구에 이르는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를 앞둔 서울 강동구는 0.02% 내려 2주 연속 하락했다. 인근의 송파구(-0.05%)도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배윤경 기자 bykj@mk.co.kr 매일경제

 

“강남 부자들, 부동산 급락 노리며 현금 비축”

김영한 대신증권 강남금융센터장

 

“요즘 강남 부자들은 부동산 급락 기회를 노리며 자산의 절반가량은 현금으로 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나머지 돈들도 단기 채권 등에 묶어 놓고 즉시 출금 준비를 하는 거죠.”

 

부자들의 투자 성향은

단기성 자금 운용에 집중

 

 
조선일보

김영한(44·사진) 대신증권 강남금융센터장은 지난 19일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최근 강남 고액 자산가들의 재테크 트렌드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대신증권은 이달 초 서울 강남 지역에 흩어져있던 3개 센터를 통합한 대형 점포를 새로 열었다. 강남권 법인 자산과 초고액 자산가를 중심으로 세무·투자 컨설팅 등 자산 관리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취지다. 통합 센터의 자산 규모는 4조3000억원 수준으로, 10억원 이상 자산을 맡긴 고객 수만 425명이다. 김 센터장에게 강남 고액 자산가들의 투자법에 대해 물었다.

 

 

–최근 국내 증시가 크게 흔들리고 내수는 부진하다. 요즘 강남 부자들의 재테크 방식은 무엇인가.

 

“1년 이내, 필요한 순간에 돈을 뽑아쓸 수 있는 단기성 자금 운용에 집중하는 이들이 많다. 이런 대기 자금들은 궁극적으로는 부동산 투자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강남 고액 자산가들은 서울 소재 주요 아파트나 경기 거점 지역 신도시 부동산의 가격 변동을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다. 타이밍이 오면 자금을 집중적으로 투여한다. 그러다 보니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비중이 절반은 되고, 나머지는 MMF(머니마켓펀드)나 만기 3~6개월짜리 단기 채권에 묶어둔다.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게 중요한 것이다.”

 

–수익률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는 말인가.

 

“그렇다. 기대 수익률이 물가 상승률 대비 2~3%포인트 높은 수준이어도 만족하는 분들이 많다. 큰 폭의 자산 증식보다 안정적인 수성을 원하는 것이다. 자산 배분 쪽에서 보자면 국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만기 보유보다 금리 인하기에 팔아 시세 차익을 실현하는 게 목적이다. 다만 여기서도 신용 리스크가 떨어지지만 이자를 많이 주는 회사채보다 안전도가 높은 국채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브런치  brunch.co.kr/@2002cta/20  edited by kcontents


–세대별로 부자들의 투자 성향은 어떻게 다른가.

 

“세대별로 투자 성향이 다른 것도 있지만 투자 성향을 더 분명하게 가르는 것은 그들이 이룬 부의 원천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부동산 투자로 성공한 이들은 경험에 기반한 정형화된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 등이 많다. 반면 가상 화폐나 창업 등으로 부를 이룬 이들은 경험보다는 전문가나 외부 정보를 바탕으로 한 투자 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좀 더 위험성 있는 투자 성향도 후자 집단이 더 높다.

 

–21년 잠실WM(자산관리)센터장을 맡은 이후 강남 지역의 고액 자산가들을 계속 상대하고 있다. 공통된 성공적 투자 원칙이 있나.

 

“고액 자산가들일수록 작은 투자 손실을 크게 생각하고 구멍들을 없애려 한다. 반면 코로나 시기에 제법 큰돈을 벌어본 청년들은 작은 손실을 가볍게 여기는 성향이 크다. 가령 국내 주식 투자로 300만~400만원 정도를 잃었다고 해도 ‘손절 매도하고 다른 가상 자산이나 테마주 투자로 만회하지’라는 식으로 가볍게 넘긴다. 수십 년 장기 투자에서 이런 투자 심리는 반드시 버려야 한다. 손실들이 한두 군데씩 쌓이면 큰 손실이 되기 때문이다.”

김승현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