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나! 중동 전운 확산 기미...건설 '제2중동붐' 브레이크 걸리나
이-팔분쟁에 건설업계 긴장…'제2중동붐' 찬물 끼얹나
전면전 확산 가능성↑…현지 진출 건설사들 "상황 예의주시중"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 무력충돌이 격화하면서 해외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양측간 분쟁이 전면전으로 번져 중동 정세가 악화될 경우 국내 건설사들의 '제2 중동붐'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한화 건설부문 중동사업 수행
당장 사업차질 없지만 추후 발주지연·공사비 미지급 리스크↑
인니 등 동남아시장 대안 급부상…신수도 이전사업 진출기회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마스의 이번 이스라엘 공격은 미래 첨단사업과 전후 인프라 복구 등이 활발히 논의되던 중동 건설시장에 적잖은 충격파를 던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쟁이 이스라엘 주변 국가들로 확전되면 국내 건설사들이 중동에서 진행중이거나 참여 예정인 프로젝트가 발목을 잡힐 가능성도 점쳐진다.
현재 하마스는 레바논·이라크·시리아 등 반이스라엘 세력에 동참을 촉구하며 '휴전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 사우디 얀부 석유화학 플랜트 기본설계(FEED) 수주
edited by kcontents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으로 팔레스타인 희생자들이 급증할 경우 주변 아랍 국가들이 하마스를 지원하는 시나리오도 전개될 수 있다.
건설업계는 추후 확전 가능성을 우려하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해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양측 사망자가 벌써 1000명을 넘는 등 이전의 국지적 분쟁과는 다른 양상이지만 주변국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무엇보다 하마스 배후로 지목됐던 이란이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제5차 중동전쟁'으로 번질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분쟁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공사비를 제때 정산받지 못하거나, 현지 정부의 사업 발주가 무기한 연기되는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현재 중동 지역에 진출한 건설사로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한화 건설부문 등이 있다.
삼성물산·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0억달러(1조3500억원) 규모의 네옴시티 '더 라인' 터널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현대건설은 올해 6월 사우디 국영 석유기업인 아람코가 발주한 50억달러(6조7600억원) 규모의 '아미랄 석유화학 플랜트 공사'를 수주했다. 이밖에 아람코의 파드힐리 가스전 및 자푸라 가스전 2단계 프로젝트 추가 수주도 노리고 있다.
대우건설은 '수주 텃밭' 이라크에서 '알포 신항만사업 공사'를 통해 총 9건, 약 37억8000만달러(5조1105억원) 규모 사업을 수주했다. 이라크정부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추후 알포 신항만 관련 후속공사 수주도 추진중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주요 사업장이 있는 이라크는 이스라엘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아직 회사 차원 대책을 세울 단계는 아니다"면서도 "추후 확전 가능성이 있는 만큼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발주처의 공사비 미지급 문제로 중단됐던 98억7000만달러(13조3442억원) 규모 '비스마야 신도시 개발사업' 재개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분쟁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해외수주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질 것으로 보인다.
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 통계를 보면 올해 8월 말 기준 해외건설 수주금액은 219억3242만달러로 전년동기 182억9653만달러보다 20% 증가했다. 해당 기간 해외건설 수주 실적이 200억달러를 넘은 것은 2018년 이후 5년만이다.
지역별로 보면 중동 수주액이 74억973만달러로 1년새 2배이상 증가하며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중동 리스크가 장기화할 경우를 대비해 동남아시아 등 대체 시장 진출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가장 주목받는 곳은 인도네시아다. 현재 인도네시아 정부는 2045년까지 40조원을 들여 수도를 보르네오섬 누산타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부도 앞서 3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원팀코리아'를 파견하는 등 국내 기업의 신수도 이전사업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 건설사중에선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현지 최대 부동산 개발회사인 시나르마스랜드와 업무협약을 체결, 스마트홈 및 신재생 에너지기술 수출을 추진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해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신수도 이전사업 예산중 정부 예산은 20%에 그치고 나머진 민간투자로 조달할 것으로 예상돼 국내 기업들의 진출 기회가 상당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내년 2월 인도네시아 대통령선거 결과에 따라 사업 일정이 밀릴 수 있고 현지 국영기업들의 영향력이 상당해 전망을 낙관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박정환 기자 pjh85@newdailybiz.co.kr 뉴데일리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