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실거주' 거짓말한 집주인...갱신 거절한 세입자에 보상?

 

1, 250만원 지급 판결

 

    실거주 명목으로 전세 세입자의 계약 갱신 요구를 거절한 뒤 전세보증금을 3배가량 올려 재임대한 아파트 집주인에 대해 법원이 손해배상 판결을 내렸다.

 

15일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따르면 인천지법 민사59단독은 임차인 A씨가 아파트 임대인 B씨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약 125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런! '실거주' 거짓말한 집주인...갱신 거절한 세입자에 보상?
news.sbs.co.kr edited by kcontents

 

인천에 사는 40대 A씨는 2019년 B씨 소유의 아파트에서 보증금 1억원에 2년 동안 살기로 하는 계약을 맺었다. 임대기간 만료를 3개월여 앞둔 무렵 A씨는 계약갱신을 기대했으나 B씨는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 거절을 통보했다. 임대인은 본인이나 직계존속이 실거주할 경우에 한해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권을 거절할 수 있다.

 

 

 

A씨는 부랴부랴 새 전셋집을 찾아 나섰지만 쉽지 않았다. A씨는 두세 달 전세계약 연장을 요구했으나 이마저도 거절당했다. 결국 전셋집이 아닌 보증금 1억원에 월세 30만원을 주기로 하고 다른 곳으로 이사했다.

 

이사 후 B씨가 실제로 거주하는 것인지 미심쩍었던 A씨는 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B씨 소유 아파트에 대한 확정일자 부여현황 등을 확인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동 주민센터는 갱신을 거절당한 임차인 등 ‘주택 임대차와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주택의 확정일자 부여일, 보증금 등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신분증과 해당 주택의 임대차계약서를 갖고 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임대차 정보제공 요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확인 결과 B씨 아파트에는 다른 전세세입자가 살고 있었다. 보증금은 1억원의 3배에 달하는 3억5000만원이었다. 만약 A씨의 계약갱신을 받아들였다면 B씨가 받을 수 있는 보증금은 최대 5% 인상된 1억500만원이었다.

 

A씨는 대한법률구조공단을 찾아 도움을 요청했다. 공단 측은 주택임대차보호법 관련 규정에 따라 손해배상액을 산정했다. 임대인이 갱신을 거절해 얻은 이익인 보증금 차액 2억5000만원에 법률이 정한 이율 2.5%, 임대기간 2년을 적용한 손해배상액수는 1250만원이었다.

 

 

 

 

금리 인상이 멈추면 부동산은 어떻게 되나

* 금리와 부동산의 이해 금리와 부동산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금리가 낮을수록 대출을 받기 쉬워지고 대출 이자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부동산 구매에 대한 유인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npaper.tistory.com

 

법원은 이를 고스란히 인정해 B씨에게 이행권고 결정을 내렸고, B씨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아 그대로 확정됐다.

 

소송을 수행한 공단 소속 김장선 변호사는 “임대인이 임차인의 정당한 계약 갱신 요구를 편법으로 거절한 경우 임차인은 자신의 권리보호를 위해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가영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