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엥겔 계수(Engel's Coefficient)

총지출에서 식료품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 값이며, 이 값이 저소득 가계에서 높고 고소득 가계에서 낮다는 통계적 법칙을 엥겔의 법칙(-法則, 독일어: Engelsches Gesetz)이라 한다.

위키백과

 

 

엥겔지수 높을수록 취약계층 생계 위협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G5 vs. 한국)

코로나 직전(’19년) 대비’21년 엥겔지수 상승 폭:한국1.4%p vs. G50.9%p

* 엥겔지수:한국11.4%(’19년)→12.8%(’21년)vs.G5평균10.7%(’19년)→ 11.6%(’21년)

 

[상승요인] 식품물가 급등, 취약한 식량안보, 소비성향 약화 등

①[식품물가]코로나 이후 식품 물가상승률:한국 5.2% vs. G51.7%

②[식량안보]한국 곡물 자급률 주요국(미국·영국·일본·EU+한국) 중 최저(19.4%)

③[소비성향]한국 평균소비성향 코로나 이후(‘19년 대비 ‘21년) 3.9%p 하락

* 소비성향이 약화될수록 내구재 소비 축소 경향→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 비중 상대적 증가

- 엥겔지수 높을수록 취약계층 부담 가중→ 자급능력 확충 등 식품물가 안정노력 필

 

주)엥겔지수: 가계 전체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 포함)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

 

코로나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올라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 이후 엥겔지수 증가 폭(’19년 대비 ’21년) :한국 +1.4%p vs. G5(평균) +0.9%p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세계일보 edited by kcontents
 
한경연이 주요국별(G5+한국)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 직전이었던 2019년 11.4%에서 2021년주1) 12.8%로 1.4%p 상승하여 같은 기간 G5 국가 평균(0.9%p)보다 가파르게 올랐다.

* 주1)엥겔지수 상승 폭 비교기간은 ’19년부터 OECD DB가 관련 통계를 제공하는 가장 최근 시점인 ’21년(’22년은 데이터가 부재로 비교 제외)

 

2019년 대비 2021년 주요국별(G5+한국) 엥겔지수 상승 폭은 ?한국+1.4%p, ?영국+1.2%p, ?독일+1.0%p, ?일본+0.9%p, ?프랑스+0.8%p, ?미국 +0.4%p로 나타나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 중 최대로 상승주2)하였다.

* 주2)비교대상 국가를 OECD(33개국, 데이터가 부재한 칠레·콜롬비아·코스타리카·뉴질랜드·스위스는 제외)로 확대해도 한국의 엥겔지수 상승 폭은 33개국 중 8번째로 높은 수준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엥겔지수 상승요인

 

① [높은 식품 물가상승률(’20~’21년 연평균)]:한국 5.2% vs. G51.7%

한경연은 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승한 이유로 국내 식품물가가 급등한 점을 꼽았다. UN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20~’21년)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5.2%(’20년 4.4%, ’21년 5.9%)를 기록하여 G5 평균(1.7%, ’20년 1.9%, ’21년 1.5%)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비교대상 국가별 연평균 식품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한국5.2%, ?미국 3.5%, ?독일 2.8%, ?프랑스1.3%, ?일본 0.6%, ?영국 0.5% 수준으로 한국의 상승률이 가장 가팔랐다주3).

* 주3)OECD와 비교해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3개국 중 4번째로 높은 수준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요인②[취약한 식량안보]:한국 곡물 자급률 주요국(미국·영국·일본·EU+한국) 최저(19.4%)

한경연은 한국의 경우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등 식량안보 수준이 낮아, 코로나와 같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식품물가가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곡물 자급률’(곡물 소비량 중 국내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9.4%에 그쳐 주요국(미국·영국·일본·EU주4)+한국) 중 최저 수준이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그룹에서 발표하는 ‘식량안보지수’주5) 역시, 한국의 순위는 2022년 세계 113개국 중 39위에 불과하여, G5 국가인 ?프랑스(4위), ?일본(6위), ?영국(9위), ?미국(13위), ?독일(19위)에 비해 식량안보가 취약했다.

 

* 주4) G5 중 프랑스·독일은 개별 국가 통계가 제공되지 않아 EU 전체와 비교

* 주5) 식량 공급능력(Availability)·경제적 부담능력(Affordability)·품질·안전(Quality and Safety) 등을 고려해 산출되며, 지수값이 클수록 양질의 상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음을 의미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요인③[소비성향 약화]:한국 평균소비성향 코로나 이후(‘19년 대비 ‘21년) 3.9%p 하락

한국은 코로나 기간(’19.4분기~’21.4분기),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이 2019년 4분기주6) 71.2%에서 2021년 4분기 67.3%로 3.9%p 감소했다.

한경연은 이처럼 한국 가계소비 자체가 둔화한 것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가계는 소비성향이 약화될수록 내구재 등 非필수적 소비를 줄여나가는 만큼, 전체소비 중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식료품 소비지출은 코로나 직전이었던 2019년 4분기 9.9%에서 2021년 4분기 10.7%로 0.8%p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자동차(△0.9%p), ?의류·신발(△0.4%p), ?통신장비(△0.2%p) 등의 내구재 소비는 감소하였다.

 

* 주6) 가계 가처분소득 통계(통계청 가계동향조사)는 분기통계만 제공되므로 평균소비성향은각 연도별 4분기 기준으로 비교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엥겔지수 높을수록 취약계층 생계 위협→ 자급능력 확충 등 식품물가 안정노력 필요

한경연은 식품가격 급등 등으로 엥겔지수가 높아지면, 저소득층의 생계가 특히 어려워진다고 진단했다. 가처분소득의 크기가 작은 저소득층은 식료품 지출 비용이 증가하면 가처분소득 중 식료품 구매를 제외한 다른 목적의 소비로 사용가능한 자금(가용자금)의 비율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욱 크게 하락한다. 이처럼 식품가격 급등은 저소득층의 식료품 지출 부담 증가는 물론, 식료품 외 지출 여력까지도 크게 낮춰 생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한경연 측의 설명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식료품 지출 비용 상승률(’19.4분기대비’21.4분기)은 저소득층(1분위 가구 기준, 22.6%)이 고소득층(5분위 가구 기준, 20.1%)의 1.1배 수준이었지만, 식료품비 증가에 따른 가용자금 감소율은 저소득층(5.7%)이 고소득층(1.2%)의 4.8배 수준에 달했다.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식품가격이 오를 경우 저소득층의 피해가 커진다”라며,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식품물가 상승 폭을 최소화하여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경연 관리자

 

OECD 주요국 엥겔지수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16일 발표한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엥겔지수는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포인트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OECD 주요국(G5) 평균(0.9%포인트)보다 가파른 상승세다.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G5 중 가장 커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