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앓는 한국인 526만명...“15㎏ 빼면 정상 혈당 찾는다”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요즘 당뇨병은 ◯◯형... “15㎏ 빼면 정상 혈당 찾는다”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팩트 시트 2020′ 발표
당뇨병 앓는 한국인 526만명
2010년보다 환자 수 2배 급증
당뇨병 전단계 판정을 받았다며, 24시간 혈당 측정기를 몸에 붙이고 다니는 중년 남자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혈당 관리 한다며 이것 저것 가려먹는 어른신들도 많아졌다. 실제로 국내 당뇨병 환자는 최근 수년간 크게 늘면서 526만명이 됐다. 이들은 당뇨병 진단을 받았거나, 혈당약을 먹고 있는 환자를 집계한 수치다. 당뇨병 전단계로 취급하는 고혈당 그룹(공복혈당 100~125mg)은 약 1497만 명이다. 우리나라 국민 2000만 명이 이미 당뇨병 환자거나 당뇨병 직전 위험에 놓였다. 혈당 관리가 한국인 건강 최대 이슈가 됐다.
50대 남성에서 급증
최근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당뇨병 팩트 시트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여섯 중 한 명이 당뇨병 환자다. 학회가 2012년 팩트 시트를 발행할 당시 2050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 환자수(591만 명)를 30년 당긴 꼴이 됐다. 2010년 당뇨병 환자수가 312만 명임을 감안하면, 10년 새 2배 가까이 늘었다.
8~9년 전 당뇨병 유병율은 14.5%에 올랐다가 이후 내려가며 주춤했지만, 최근 3년 다시 급증하면서 유병률이 16.7%가 됐다. 특히 50대 남자의 당뇨병 발생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이들이 전체 남성 환자의 30%를 차지한다. 여성은 70대(39.7%)에서 가장 많다. 늘어난 중장년의 과체중과 비만이 당뇨병 급증으로 이어지는 형국이다. 복부비만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가 열 명 중 여섯이다. 20년 전만 해도 당뇨병 환자의 평균 체중은 정상 범위에 속했다. 과거 저체중 출생 등으로 췌장 부실형 당뇨병이 대세였다면, 과체중, 비만형 당뇨병으로 전환된 것이다.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 비율이 높고 이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당화혈색소(혈당관리 지표), 혈압, 콜레스테롤 등이 적정 수준으로 관리돼야 하는데, 그런 환자는 10명 중 1명(9.7%)에 그쳤다. 당화혈색소가 목표 범위인 6.5% 미만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자도 넷 중 하나(24.5%)에 불과했다.
초기에 살을 최대한 빼야
비만형 당뇨병이 대세가 되면서 체중 조절이 혈당 관리 관건이 됐다. 2017년 세계당뇨병연맹 학술대회에서 처음 발표된 대규모 당뇨병 관해 연구가 그러한 추세를 이끌고 있다. 당뇨병 관해란 혈당 관리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당뇨병 약제 없이 권장치인 6.5%미만에 도달한 상태를 말한다.
넉 달간 초저열량 식사요법을 시행하여 적극적인 체중감량을 시도 했을 때, 감량이 많을수록 당뇨병 관해 성공율이 높았다. 15kg이상 체중감량을 한 경우 86%에서, 최소한 10kg이상 감량을 한 경우 73%에서 관해가 이뤄졌다. 적극적인 체중 감량이 성공적인 혈당 관리를 이끌었다는 의미다. 적정 혈당 관리를 위해 운동보다는 일단은 체중 감량이 더 시급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체중 감량을 시도하지 않은 그룹은 단 한 명도 15kg이상의 감량에 성공하지 못했고, 당뇨병 관해도 4%에 그쳤다.
- 놀라운 백년 수명의 '간' Transplanted livers can keep going for a total of more than 100 years, according to new research
- 극단적인 죽음의 공포감 엄습...'공황 장애(Panic disorder)'란
edited by kcontents
최근 열린 대한당뇨병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은 고려대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경진, 김남훈 교수 연구에서도 새로이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조기에 당화혈색소 수치를 목표 수준까지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장기간 안정적인 혈당 관리뿐 아니라, 합병증 위험도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뇨병학회 권혁상(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홍보이사는 “정상 공복 혈당(100mg 미만) 범위라도 90대보다는 80대가 당뇨 병에 걸릴 확률이 더 낮다”며 “당뇨병 초기 단계에서 적극적인 체중감량 활동과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최신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당뇨병 관해에 이를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 받는다”고 말했다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