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샌드댐 기술 개발 성공" 건설기술연구원

더보기

Construction, Science, IT, Energy and all other issues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top search bar on  blog!

건설,과학,IT, 에너지 외 국내외 실시간 종합 관심 이슈 발행  
[10만이 넘는 풍부한 데이터베이스]
블로그 맨 위 상단 검색창 통해  유용한 정보를 검색해 보세요!

 

마른 모래에서 물이 콸콸

 

건설연, 물 공급 소외지역을 위한 모래를 활용한 

샌드댐 기술 개발 및 강원도 춘천시에 샌드댐 설치 성공 

 

증발, 결빙에 강하고 깨끗한 수질의 물 공급 가능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 이하 건설연)은 가뭄 시 급수차가 동원되어야만 하는 물 공급 소외지역에 물이 끊기지 않도록 공급할 수 있는 모래저장형댐(이하 샌드댐)을 환경부 연구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시공된 바 없어

 

"국내 최초 샌드댐 기술 개발 성공" 건설기술연구원
춘천시 북산면 물로리에 시공된 바이패스형 샌드댐

 

 

 

두 배 출력 내는 획기적인 부유식 역회전 풍력 터빈 VIDEO: Floating contra-rotating wind turbine delivers twice the energy of today's largest turbines

빛을 알아서 찾아 충전하는 태양광 로봇 VIDEO: HACKADAY PRIZE 2022: A SUN-CHASING ROBOT

 

우리나라의 상수도 보급률은 97.5% 이지만, 미보급지역과 소규모 수도시설(5,920개소) 지역은 가뭄 시 취약지역으로서 안정적인 수원 확보가 중요하다. 

 

샌드댐(Sand Dam)이란 아프리카 지역과 같은 건조 지역에서 연간 드물게 발생하는 홍수를 저류시켜 흙 입자를 침전시킨 후, 그 속에 저장된 물을 건조 시에 활용하는 시설로 우리나라에는 아직 시공된 바 없다. 샌드댐은 모래 안에 물이 저장되므로 증발 손실이 적고, 모래층을 통과하여 수질이 개선되고 겨울에는 흙 속에 물이 저장되어 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에 샌드댐에 대한 수요가 있는 장소로는 주로 산간 계곡 지역이다. 통상 이런 지역 주민들은 소규모 취수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극한 가뭄 시 식수부족으로 인해 급수차가 동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일례로 2016년 2월, 춘천시 계곡물 결빙과 수원 고갈 때문에 춘천시 물로리 등 9개 마을에 소방서와 춘천시 급수 차량 지원을 통해 식수를 공급하였다. 

 

이에 건설연 수자원하천연구본부 연구팀은(팀장: 정일문 박사) 춘천시 북산면 물로리 지역에 국내 최초로 바이패스형(Bypass Type) 샌드댐을 시공하였다. 바이패스 방식이란 하천 옆 바닥이나 변두리의 자갈, 모래층에 함유되어 있는 물인 복류수를 간접 취수하는 방식을 말한다. 빠르게 흐르는 계곡을 직접 막을 경우 댐 유실 같은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 취수의 방식을 적용하였다. 즉, 계곡 하천 옆 소규모 취수원 하부에 샌드댐을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에 모래를 채운 후 그 아래에 모래층을 통과한 물을 공급하는 배관 시설을 설치하였다. 

 

샌드댐 건설로 인해 평상시의 공급유량은 평균 일 150톤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수질 역시 식수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극한 가뭄이 오더라도 최소 10일 이상은 연속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가뭄 대응책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샌드댐 시설은 올해 말 춘천시에 이관되어 영구적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국내 최초 샌드댐 기술 개발 성공" 건설기술연구원
춘천시 북산면 물로리에 시공된 바이패스형 샌드댐

 

 

 

신재생 에너지가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 How has the Move to Renewable Energy Impacted the Construction Industry?

탈원전...나라를 말아 먹으려고 작정한 문재인...원전 수명 연장 미국은 절반, 한국은 0기

 

김병석 원장은 “개발된 샌드댐의 실증으로 여름과 겨울철의 극한 가뭄 및 결빙 시에도 깨끗한 수질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 성과는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 수요대응형 물 공급서비스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상시가뭄지역의 지하수 최적 공급관리를 위한 IoT 기반 인공함양 well network 기술 개발(단장: 김규범 대전대 교수)”의 2세부 과제인 "다단식 Sand 댐 - 취수원 연계 활용고도화 기술 개발(2018~2022, 팀장: 정일문 박사)”과제를 통해 개발되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