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현실..."72세까지 일해야 쉴 수 있다"

 

    나는 과연 언제부터 ‘먹고사니즘’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을까. 돈의 구속에서 벗어나 노동에 휘둘리지 않는 진정한 ‘시간 부자’는 언제 가능할까.

 

누구나 아름다운 무대 퇴장을 꿈꾸지만 현실은 냉혹하다. 적자 노후에 대한 걱정이 커지면서 한국의 보통 가장(家長)들은 72세는 되어야 밥벌이에서 풀려나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몸 담았던 주된 직장에선 49세에 쫓겨나고, 그 뒤로 어떻게든 23년 넘게 돈을 벌어야 하는 게 우리나라 가장들의 현실이다

 

대한민국의 현실...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 은퇴 연령(effective age of labour market exit)은 평균 72.3세로, 초고령 사회인 일본보다도 높았고, OECD 국가 중에선 1위였다.

 

실질 은퇴 연령이란, 근로자가 어떤 형태로든 월급을 받는 일을 완전히 그만두고 경제활동에서 물러나는 나이를 뜻한다. OECD는 어떤 형태로든 돈을 받고 일하면 그 사람은 은퇴자가 아니라고 본다. OECD 평균은 65세였고, 룩셈부르크에선 61세, 스웨덴·미국에서도 60대 중반이면 은퇴한다.

 

 

 

박지혜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연구원은 “한국 남성들이 노동 시장에서 완전히 퇴장하는 나이는 평균 72.3세로,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즉 공식 은퇴 시점(62세) 이후에도 10.3년 넘게 일하고 있다”면서 “실질 은퇴 연령이 계속 늦어지는 것은 경제적인 노후 준비가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국은 평균 13년 가량 일하는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에도 제2의 일자리를 찾아 일해야 하는 극한 인생의 나라다 보니, 노동 시장에 머물고 있는 고령자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70세의 경제활동 참여 비율은 지난 2010년 38%였지만 2021년에는 44.4%로 높아졌다<표 참고>.

 

노후 생활의 버팀목이 되어야 할 연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연금을 본격적으로 받을 수 있다고는 하지만, 많아 봤자 월 평균 80만원 정도다. 65세 고령자의 경우 공·사적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73%에 달하지만, 평균 연금액은 68만원에 불과했다.

 

재취업 직장에서의 대우는 생각만큼 좋지 않다. 미래에셋그룹 조사에 따르면, 5060세대가 주된 일자리에서 물러나 새로운 직장에 재취업하게 되면, 평균 소득이 36.9% 감소해 근로 소득이 뚜렷하게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를 갑자기 줄이긴 어렵기 때문에 흑자였던 가계 구조는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일터를 떠나지 못해 전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이에 은퇴하지만, 100세 시대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을 만큼 가계 재정 상황이 탄탄해지지 않는 것도 문제다.

 

박지혜 연구원은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경제적 자유를 찾아 일찍 은퇴하겠다는 파이어(FIRE)족이 많지만, 실제 우리 현실에선 은퇴 연령이 점점 늦어지고 있다”면서 “72세라는 은퇴 나이도 노후 준비가 충분해서라기 보다는 건강이 나빠져서 어쩔 수 없이 노동 시장에서 퇴장하는 것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일흔살 넘어서까지 일하지 않고 안정적인 노후를 맞이하려면, 현역 시절에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에 충분히 가입해서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박 연구원은 덧붙였다.

 

그런데 한국 남성들이 전세계 최장 은퇴 연령 기록을 보유한 이유는 건강보험료 폭탄을 피하기 위한 도피성 재취업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경기도에 사는 60대 남성 이모씨는 “은퇴 후에 건강보험 지역 가입자가 되면, 낡은 아파트 한 채만 있어도 월 30만원씩 건보료로 내야 한다”면서 “직장보험 가입자는 건보료 부담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거동이 자유롭다면 죽을 때까지 일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일 중심으로 사는 ‘회사형 인간’이 많은 한국 사회 특성상, 남성들 스스로가 늙어서도 계속 일하고 싶어하기도 하다. 삶의 터전은 회사가 전부였는데, 은퇴했다고 해서 바로 집으로 바꾸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 동안 지역 사회에서 탄탄한 네트워킹을 만들어 활동 중인 아내의 눈에 ‘삼식이 남편’이라고 보여질까봐 두려운 이유도 있다.

 

대한민국의 현실...

이달 초 조선닷컴이 SM C&C 설문조사 플랫폼 ‘틸리언 프로(Tillion Pro)’에 의뢰해 50~60대 여성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는데, ‘남편의 퇴사 이후 행복도가 어떻게 변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1%가 ‘불편하다’고 답했다. 10명 중 6명은 ‘그 동안 가족을 위해 일했으니 이제 푹 쉬시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남편이 계속 밖에 나가서 일하길 내심 바라는 것이다. 일본에서도 은퇴한 후에 가장 사랑받는 남편은 노후 준비 잘해둔 남편, 요리 잘 하는 남편, 아내 말 잘 듣는 남편이 아니라 ‘집에 없는 남편’이라는 말도 있다.

 

건물 관리인으로 출퇴근하는 60대 재취업자 장모씨는 “취미 활동도 하루 이틀이고 막상 집에 있으면 좀이 쑤시니까 (이렇게 건물 관리인이라도) 일할 수 있어서 좋다”면서 “집에 있어봤자 라면이나 얻어먹을 텐데 이렇게 밖에서 돈 벌면서 먹고 싶은 것 사 먹을 수 있는 지금이 훨씬 좋다”고 말했다.

이경은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