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설공단, 야간 도로공사 현장 굴삭기 접근방지 LED안전선 등 개선책 도입 ㅣ 효과없는 '건설현장 안전대책' 현실화 방안 마련해야

“야간 도로공사현장 안전사고 막는다”

서울시설공단‘안전사고와 거리두기’개선책 도입


굴삭기 접근방지 LED안전선 설치로 운전자 사각지대 해소 등 ‘건설장비와 거리두기’ 

주행차량 과속시 알려주는 이동식 과속 경보장치 도입해 ‘교통사고와 거리두기’ 나서

소규모 공사장 확대 도입 예정… “공사현장 사고예방 위해 최선 다할 것”


    서울시설공단 (이사장 조성일, www.sisul.or.kr)은 사고에 취약한 야간 도로공사 현장에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사고와 거리두기’ 개선책을 도입해 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도심지 소규모 야간공사현장은 대부분 좁고 어두워 건설장비와 작업자들의 동시작업으로 충돌사고 발생위험이 높다. 또한, 야간도로 특성상 교통량이 많지 않아 과속차량들로 인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야간 도로공사 현장에 도입된 ‘안전사고와 거리두기’ 개선책은 건설공사 관계자들과 통행 차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됐다. 주요 내용은 ‘굴삭기 접근방지 LED안전선’ 및 ‘이동식 과속 경보장치’의 설치다.




우선, 공단은 야간 도로 공사현장 내 굴삭기와 작업자의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장비와 거리두기’를 시행한다. 이를 위해 ‘굴삭기 접근방지 LED안전선’을 공사현장에 설치한다. ‘굴삭기 접근방지 LED안전선’은  공사현장의 필수 장비인 굴삭기의 운전자 사각지대(좌우, 후면)에 LED조명을 부착하여 접근방지를 안내하는 안전선을 노면에 빛으로 투사하는 장비다. 공단은 안전선 도입을 통해 굴삭기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음으로 공단은 ‘교통사고와 거리두기’도 시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식 과속 경보장치’를 도입한다. ‘이동식 과속 경보장치’는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표출해 교통통제 시 운전자의 자발적인 감속 및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장비다. 

  

고성능 레이더를 통해 공사현장 앞을 지나는 차량이 제한속도를 초과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송출하게 된다. 또한, 현재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점멸․경고 하게 된다.(제한속도 조정 : 50,60,70,80[km/h])


이번 야간 도로공사현장 ‘안전사고와 거리두기’ 개선책은 신반포로 가로등 개량 공사현장을 비롯해 현재까지 4개 야간 도로공사 현장에 시범적으로 설치되었다. 공단은 내년 상반기까지 공단에서 실시하는 모든 소규모 야간공사 현장에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공단은 시민들 및 공사관계자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야간 도로공사 현장 안전사고와 거리두기’ 관련 소개영상을 제작해 서울시설공단 유튜브(https://youtu.be/QKrHiU8rtPE)에 이날 공개했다.




서울시설공단 조성일 이사장은 “이번 개선책 도입으로 소규모 야간 공사현장의 안전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설공단은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불편사항을 개선하고 시민 및 근로자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설공단은 최근 공사장 임시통행로 개선, 밀폐공간 스마트 안전 경보시스템 도입 등 공사현장 안전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공사감독3처 서울시설공단


건설현장 안전대책 현실화 방안 마련해야


    우리나라 전체 산재 사망자 중 건설현장 사망자가 절반 정도를 차지할 만큼 건설현장 안전문제는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에 지난달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건설현장 추락사에 대해 후진국형 사고라며 획기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 예산과 인력 등을 추가적으로 투입할 것을 주문했다.


건설현장 추락사 빈도 가장 높아


신아일보

edited by kcontents


건설현장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안전시설 미비, 개인 보호장비 미착용 등 안전수칙 미준수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 건설현장 추락사 중 75%가 중소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대규모 건설현장에 비해 안전관리가 소홀하고 안전설비 투자가 미흡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문제는 매번 대형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고질적인 문제해결이 아닌 후속 조치 마련에만 급급하다는 것이다. 사고 발생 후에 일부 후속 조치만 하고 나면 또 다시 이런 일이 반복된다.


매년 같은 일을 겪으면서도 건설현장의 사고건수와 재해자 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종합대책을 내놔도 정작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는 현장실무를 모르는 ‘탁상행정식 정책’과 안전에 대한 안일한 태도로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결합돼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강력한 단속과 현장 근로자들이 스스로 확립하는 안전의식이 절실하다. 그동안 감독은 현지시정·계도정비·조사관찰 등의 계도 위주로 ‘수박 겉핥기식’으로 진행됐다. 이제는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현실적인 제도인 상시 관리·감독이 필요한 시점이다.




물론 감독자들이 365일 24시간 내내 현장을 감독을 할 순 없다. 건설현장 사고는 찰나의 순간으로 생명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현장 근로자들이 스스로 안전의식을 확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내 안전은 스스로 지켜야 한다. 너나 할 것 없이 스스로 안전관리 기준을 철저히 이행해 앞으로 건설현장 작업자가 사망했다는 안타까운 사연은 더 이상 들리지 않게 해야 한다.

기계설비신문


http://www.kme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80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