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 가뭄 대형건설사, 이제 리모델링까지 눈돌려
대형사는 리모델링, 중견사는 미니 재건축… 한계단씩 내려가는 건설업계 수주현장
서울 등 대도시 재건축시장에 한기가 가시지 않자 건설사들이 저인망식 수주에 나서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은 그동안 관심을 두지 않던 리모델링시장으로 속속 진입하는 중이고, 중견 건설사들은 사업 규모가 작은 지방 소규모 재건축 사업과 가로주택 정비사업을 수주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서울 광진구 상록타
ㅣ워 아파트 리모델링사업 투시도 /HDC현대산업개발 제공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마감한 용인 현대성우8단지 아파트 리모델링사업 시공사 입찰에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다. 당초 경쟁구도를 형성했던 두 건설사는 전략적인 제휴를 맺고 공동수주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리모델링을 공동수주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용인 현대성우8단지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은 현재 1239가구인 단지를 1424가구로 증축하는 것이다. 공사비는 약 3400억원 정도다. 주택 리모델링 사업 경험이 전무한 현대건설은 사업장 관리와 영업 노하우를 얻고, 포스코건설은 안정적으로 사업을 수주하고 자금 조달 등의 부담을 나누려는 전략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최근 사업비는 708억원인 서울 광진구 상록타워 아파트 리모델링사업을 수주했다. 모두 200가구, 1동짜리인 아파트를 지하 4층~지상 24층, 1개 동, 229가구로 증축하는 사업이다.
토지를 새로 다지고 건물도 완전히 새로 짓는 재건축·재개발사업과 달리 건물만 증축하는 리모델링사업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편이다. 이 때문에 아파트 브랜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기술력은 보유한 건설사들이 최근 4~5년 동안 리모델링시장의 일감을 휩쓸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리모델링시장에서도 최상위권 건설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진 분위기다. 서울 등에서 재건축 규제가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 탓이 크다. 정부가 공공분양과 공공임대주택 등에 무게를 싣는 부동산 정책을 강행하면서, 서울 주요 재건축 예정 단지들이 속도를 내지 못해 사업 발주도 급감했다.
시공능력평가 2위인 현대건설을 비롯해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건설, 인지도가 높은 아파트 브랜드인 ‘자이’를 보유한 GS건설, ‘아이파크’ 브랜드를 보유한 HDC현대산업개발 등 10위권 대형 건설사 중 절반이 리모델링 시장에 발을 들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사업조합이 설립되기 전부터 홍보에 나서는 양상도 리모델링시장에서 볼 수 있게 됐다. 아직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단계인 수원 영통구 신나무실주공5단지를 두고는 GS건설,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효성중공업 등이 일찌감치 현수막을 내걸었다.
지난 10월 말 진행된 서울 성동구 금호동 벽산아파트 리모델링사업조합 창립총회에는 포스코건설, GS건설 등이 화환을 보내는 등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건설사들이 리모델링시장과 사업비가 적은 재건축사업까지 영업 범위를 늘리자, 중견 건설사들은 사업비가 백억원 단위인 소규모재건축,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미니 재건축’과 지방으로 수주 범위를 확대했다.
반도건설은 지난달 28일 부천 역곡동 동성아파트 재건축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90가구, 1동짜리 단지인 이 아파트는 공사비는 223억원을 들여 115가구, 2개동으로 증축된다.
한신공영은 370억원짜리 강릉 매화·이화본동 아파트의 소규모재건축사업을 수주했고, 극동건설은 경기 이천의 95가구짜리 보은아파트와 연립주택을 묶어 221가구, 3개동짜리 아파트로 짓는 소규모재건축사업의 시공권을 따냈다.
최근 시공사를 선정하는 미니 정비사업장에도 중견 건설사들이 몰려든 상태다. 지난달 말 입찰을 마감한 경북 포항 학잠1구역 재개발사업의 경우, 현장설명회에 참여한 10여개 건설사 중 우미건설과 KCC건설이 제안서를 제출했다.
미니재건축사례 강동구청
edited by kcontents
이달 22일까지 입찰을 진행하는 대구 범어동 삼일맨션 소규모재건축사업에는 코오롱글로벌, KCC건설 등 6~7개 중견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단독·다세대주택(빌라)가 대상인 자율주택정비사업, 200가구 미만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재건축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미니 재건축 사업에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 적용된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정비구역 지정이나 조합 설립 승인 등 절차가 까다로운 재개발·재건축사업보다 규제가 적고, 용적률 완화와 기금 융자 금리 인하 등 유인책이 제공된다. 이 때문에 토지 등 부동산의 가격이 높지 않고 주택이 노후한 지역에서 관심이 많은 편이다.
유한빛 기자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04/2020120402566.html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