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권 도시재생] 창동역,복합환승센터·GTX 교통거점으로 거듭난다


[서울동북권 도시재생]①창동역, 복합환승센터·GTX 품고 교통거점으로


주거 외 자족기능 낮았던 지역…급행철도 완공되면 `수도권 관문'

복합환승센터에 업무·상업문화시설 대규모 조성…랜드마크 기대


    수십 년간 베드타운으로만 여겨지던 서울 동북권 지역이 새로운 경제 중심지로 부상하기 위해 기지개를 켜고 있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창동(도봉구)·상계(노원구) 지역을 주축으로 한 광역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비상을 준비 중이다.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환승정류장 투시도[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 동북권은 그동안 주거 인구 규모와 비교해 경제기반과 생활·문화 인프라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이 가운데 창동·상계 지역은 교통 요지인 데다 인근에 대학·연구소가 많아 발전 잠재력이 풍부한 곳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창동역 복합환승센터가 예정대로 건립되고 광역급행철도(GTX)-C 노선이 완공되면 이 지역은 수도권 동북부의 교통 거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복합환승센터는 광역교통 환승 기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근에 들어설 창업·문화산업 단지인 '씨드큐브 창동'·문화시설·수변공원(중랑천) 등과 연계돼 지역 경제·문화 활동의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위치도


오래된 `베드타운' 동북권…경제기반 부족·시설 노후

지금의 서울 동북단인 도봉구·노원구는 1970년대 초까지 경기도였다가 서울 성북구로 편입됐고, 인구가 늘면서 1973년에 도봉구가, 1988년에는 노원구가 각각 떨어져나와 신설됐다.


1980년대 교통 기반이 구축되고 택지 개발이 본격 이뤄지면서 주거 인구가 급격히 늘기 시작했다. 1985년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면서 서울 도심에 직장을 둔 이들 중 이곳에 터를 잡고 출퇴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1989년에는 상계택지에 16개 단지 4만여 가구가 입주한 데 이어 1991년 동부간선도로, 1996년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됐다.


자연스럽게 이 지역의 중심은 지하철 1·4·7호선과 동부간선도로가 교차하는 창동역(1·4호선)·노원역(4·7호선) 일대가 됐다. 행정구역으로는 도봉구 창 4·5동과 노원구 상계 2·6·7·10동이다.


지하철 환승역을 중심으로 유동 인구가 늘면서 주요 상업시설도 들어섰다. 도봉구 창동역과 노원구 노원역을 중심으로 들어선 상권은 인근 성북구와 강북구까지 배후지역으로 삼고 있다. 이들 동북 4구의 인구를 합하면 161만명에 달한다.


구별로는 도봉구 32만9천560명(올해 7월 기준), 노원구 53만2천905명(올해 1월 기준), 강북구 30만9천996명(올해 9월 기준), 성북구 44만2천471명(올해 1월 기준)이다.


이 지역과 맞닿은 동북1권(동대문·중랑·성동·광진)의 139만명(올해 1월 기준)을 합하면 배후 인구가 300만명이나 된다.


하지만 이 권역은 주거 밀집 지역으로, 서울의 외곽 '베드타운' 성격이 강하고 경제 기반이나 문화ㆍ의료시설 등 자족 기능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울시의 2017년 `창동·상계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동북 4구의 총사업체 수는 8만7천403개로 서울 6개 권역 중 서북권 다음으로 적었고, 인구 대비 사업체 수는 0.05개로 전체 권역 중 가장 적었다.


사업체 종사자 수도 33만7천709명으로 전체 권역 중 일자리가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시설인 공연장 수(16곳)도 전체 권역 중 가장 적었고, 종합병원(6곳)은 서북권 다음으로 부족했다.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중심 지역 재생 `시동'

서울시는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2014년)에서 이 지역을 '지역중심'에서 '광역중심'으로 격상해 신성장 산업기반을 육성하기로 했다. 이 계획에서 창동·상계 권역은 청량리·왕십리와 함께 동북권의 양대 중심축으로 설정됐다.


이어 2017년에는 창동·상계 일대 약 98만㎡ 구역을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하고, 도시경제 기반형 활성화 계획을 고시했다. 수도권 동북부 일자리·문화의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비전과 생활·여가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특히 시는 이 지역 개발 계획의 핵심인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에 역점을 두고 있다. 창동 도시개발구역 내 2지구(1만2천894㎡)에 연면적 9만5천902㎡에 지하 6층∼지상 28층 규모로 업무·상업·문화 복합시설과 환승 관련 시설을 함께 짓는다는 계획이다.




센터 내에 창업 오피스·지원시설과 판매시설·문화시설을 구축하는 한편, 광장·소공원 등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인프라도 조성한다. 아울러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도심 역세권 공공주택도 300세대 규모로 공급한다.


단지 내 업무시설을 활용해 일자리와 주거가 결합한 복합개발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이 같은 계획을 조속히 실행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지정을 신청했다. 이는 공공이 주도해 쇠퇴지역 내 주거·상업·산업 등 기능이 집적된 지역거점을 신속히 조성하는 지구단위 개발사업으로, 재정 지원과 통합심의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이 사업의 지정 신청이 받아들여지면 내년 하반기 사업시행계획을 내고 정부 인가를 받아 2022년 상반기 착공할 계획이다. 준공 목표는 2026년이다.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지하 단면 조감도


GTX 날개 달고 수도권 교통거점 부상 기대

창동역에는 GTX-C 노선이 지나는 정차 역이 건립된다. GTX-C 노선은 경기 북부 덕정과 경기 남부 수원을 잇는 74.2㎞에 이르는 구간으로, 전체 10개 정류장 중 창동역을 포함한 5개가 서울시 내 정차역이다.




GTX-C 노선이 개통되면 창동역은 수도권 동북부의 광역교통 중심이자 관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후 인구는 경기 동북부(의정부·양주·동두천·포천·남양주) 인구 130만명까지 합해 약 430만명에 달하게 된다.


이에 서울시는 창동역 복합환승센터를 GTX-C 정차역과 연계해 환승 기능을 한층 더 강화할 방침이다.


시는 복합환승센터 부지의 광장과 소공원의 지하공간 1∼3층을 활용해 GTX-C 대합실을 연면적 4천725㎡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지상 1층에는 환승정류장을 만들고 지하 2∼3층에는 주차대수 276대 규모로 환승주차장도 조성한다.


또 기존 지하철 1·4호선과 GTX 노선 간의 환승이 편리하도록 양쪽 플랫폼 간의 수직 연결 동선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계획이 실행되면 창동역 복합환승센터는 수도권 동북부에서 가장 두드러진 랜드마크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mina@yna.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01030161500004?section=economy/all&site=major_news03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