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단축 행동적 요인들 Study identifies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dying


수명을 단축시키는 행동적 요인 10(연구)


    평균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조기 사망하게 하는 사회적, 행동적 원인을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스탠퍼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1992년~2008년 사이에 1만3600여명의 미국 성인들의 자료를 분석했고, 2008년~2014년 사이에 사망한 사람들 중 57개의 사회적, 행동적 요인을 조사했다.


Credit: CC0 Public Domain


 

Study identifies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dying


Smoking, divorce and alcohol abuse have the closest connection to death out of 57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analyzed in research published today 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The study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3,611 adults in the U.S. between 1992 and 2008, and identified which factors applied to those who died between 2008 and 2014.




"It shows that a lifespan approach is needed to really understand health and mortality," said Eli Puterm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s school of kinesiology and lead author of the study. "For example, instead of just asking whether people are unemployed, we looked at their history of unemployment over 16 years. If they were unemployed at any time, was that a predictor of mortality? It's more than just a one-time snapshot in people's lives, where something might be missed because it did not occur. Our approach provides a look at potential long-term impacts through a lifespan lens."


View full text

https://medicalxpress.com/news/2020-06-social-behavioral-factors-dying.html 


edited by kcontents


연구 결과, 사망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10가지 요인이 △흡연 △이혼 △알코올 남용의 역사 △최근의 재정적 어려움 △실직 △과거 흡연 △낮은 삶의 만족도 △결혼하지 않은 것 △정부가 저 소득자들에게 주는 식품 할인 구매권을 받은 적이 있는가 하는 것 △부정적 정동(정서, 감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Neuroscience News



edited by kcontents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신체운동학과 교수인 엘리 퍼터먼 박사는 “이번 연구는 건강과 사망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명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연구팀은 단지 사람들이 현재 실직 상태인지 여부가 아니라 직업이 없었던 16년간의 경력을 조사했다.


퍼터먼 박사는 “우리의 접근법은 수명 주기 렌즈를 통해 잠재적이며 장기적인 영향을 볼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미국인의 기대 수명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 30년 동안 침체돼 있지만 그 이유는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생물학적 요인들과 의학적 조건들은 죽음의 위험에 주요한 요인들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연구팀은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그리고 행동적 요인들에 초점을 맞췄다.


퍼터먼 박사는 “삶에서 더 많은 부정적인 것들을 보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는 개념 즉 부정적 정동과 같은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새롭고 목표가 정해진 중재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Predicting mortality from 57 economic, behavioral,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는 ‘프로시딩스 오브 더 내셔널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스(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실렸다.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코메디닷컴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