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생존자 절반, 장기적 불면·우울 시달려..."코로나도 마찬가지 일것" MERS survivors sustain lasting PTSD from stigma: stud


메르스 생존자 54%, 장기적 불면·우울 시달려 (연구)


   메르스를 경험한 생존자 중 과반수가 완치 후에도 정신건강 문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미루어 짐작해봤을 때, 코로나19 환자 역시 완치 후 정신건강을 돌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신형식, 서울대학교병원 박혜윤·박완범, 서울의료원 이해우, 단국대학교병원 이정재, 충남대학교병원 김정란 연구팀은 2015년 메르스 당시 생존자 148명 중 63명의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RS survivors sustain lasting PTSD from stigma: study

Social stigma against victims of infectious disease detrimental to mental health, COVID-19 confirmed patients also at risk




Victim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 suff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ue to social stigma,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aid Monday, prompting a renewed look at how COVID-19 confirmed patients are framed in the popular narrative.


SNUH, together with National Medical Center, conducted a follow-up study on the psychological aftereffects of EID on 63 Koreans who had contracted and survived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 2015.


View full text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200601000774


edited by kcontents


연구에 따르면, 메르스가 완치된 생존자 63명 중 34명(54%)은 1년 후에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문제를 겪었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42.9%, 불면증이 28%, 우울증이 27%, 중등도 이상의 자살사고가 22.2%였다.


생존자들은 △감염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높게 인지할수록 △감염 당시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위험도가 높았다. 메르스로 가족이 사망했을 때는 우울증 위험이 올라갔다. 과거 정신과적 치료력이 있는 경우에는 두 가지 위험도가 모두 높았다. 반면, 감염의 심각도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사진=demaerre/gettyimagesbank]




코로나19는 메르스와 이환율 및 치사율, 정부와 사회의 대처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어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감염증의 심각도보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감염증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지하는지가 환자들의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책임자인 이소희 박사는 “코로나19로 환자와 격리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코로나19 경험자가 정신건강 문제를 겪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박혜윤 교수는 “감염자에 대한 낙인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감염증 사태에서 사별이나 불안 등 심리사회적 어려움이 있는 환자를 적극적으로 지지해주면 정신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BMC 공공의료(BMC Public 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코메디닷컴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