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건축이 우등생을 만든다"


[한은화의 생활건축] 좋은 건축이 우등생을 만든다


한은화 건설부동산팀 기자


    사람이 공간을 만들지만, 공간은 되려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 힘은 꽤 세다. 2013년 영국 샐퍼드대 교수진이 국제저널(SCIE) ‘건축과 환경(Building and Environment)’에 등재한 연구 결과다.


학교 건물과 학습률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일명 신경건축학의 영역이다. 건축이 얼마나 우리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즉 학교 건물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영국 내 7개 학교, 34개 교실에서 학생 751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이 학습 진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학습 진도 차이가 평균 25%가량 벌어졌다. 디자인이 가장 뛰어난 교실과 엉망인 교실에서 공부한 학생의 학습 진도 차이는 일반적인 학생이 한 학년 동안 공부하는 양에 달했다.


서울의 한 학교 교실의 모습. 반세기 넘게 그대로다. [연합뉴스]


머리 위에 직접 조명이 있고 장판 바닥에 철제 의자가 있는 교실을 쓰는 학생은 집처럼 안락한 교실을 쓰는 학생보다 수업 참여도가 낮았다. 학습량도 적었다. 반세기 동안 좀처럼 바뀌지 않는 한국의 교실을 돌아보게 한다. 여전히 ‘판옵티콘’처럼 딱딱한 교실에서 아이들은 감시당하며 공부한다. 이 사례를 저서 『공간 혁명』에 인용한 미국 건축평론가 세라 윌리엄스 골드헤이건은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성인이 되도록 돕는 시설을 만들면서 학습 환경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이유는 중요성을 몰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한 반복되는 건축 환경적 타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스스로 건축하지 않더라도, 사람은 살면서 늘 건축을 경험한다. 공공건축물만 해도 한 해 12만 채 넘게 지어진다. 공사비만 26조5700억원(통계청·2016년 기준)에 달한다. 민간을 아울러 건축 산업으로 봤을 때 그 규모는 더 크다.

 

건축 관련 정책 마련과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가 응당 필요하다. 프랑스·캐나다·일본 등 선진국들은 이미 1940년대부터 도시 및 건축 관련 국책 연구기관을 뒀다. 한국은?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정부 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통과됐다. 24번째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건축 도시 공간연구원’이 첫발을 내딛게 됐다. 2007년 국무총리실 산하 국토연구원의 부설 연구소로 출발했던 건축 도시 공간연구소가 13년 만에 독립 연구기관으로 승격했다.

 

연구기관 하나로 뭐가 달라지겠느냐 싶겠지만, 중요성을 알게 됐다는 것만으로 변화는 시작됐다. 건축은 가깝고, 생활 속에 늘 있다. 관심을 가져야 우리 삶이 달라질 수 있다.

한은화 건설부동산팀 기자 중앙일보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