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강화가 무조건 좋다?..."과유불급!" 코로나19, "면역력 생겨도 80일뒤 재감염 가능" New review discusses findings on coronavirus immunity


"면역력 높이세요!"라는 위험한 소리


면역체계서 중요한 건 균형·조화

퓰리처상 NYT 기자가 취재한 자가면역질환의 모든 것


"면역계 과열로 통제불능 되면 그 어떤 외부 질병보다도 위험"


우아한 방어|맷 릭텔 지음|홍경탁 옮김|북라이프|504쪽|2만원


   "면역력을 높이세요!"


여기저기 광고에서 떠들어댄다. 저자는 단언한다. "틀렸다." 면역계에 관한 가장 널리 알려진 오해는 초강력 면역계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미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를 진두지휘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앤서니 파우치(이 책에선 '앤서니 포시'라 표기) 미국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 소장은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제약회사 광고를 듣고 이렇게 말했다. "웃을 뻔했지요. 무엇보다도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건방진 소리입니다. 그럴 수가 없습니다. 만일 면역력을 높이는 데 성공한다면, 나쁜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면역 치료를 통해 암을 치료하여 매우 좋은 결과가 나왔다 하더라도 임상시험에서는 아주 끔찍한 부작용이 나타나거든요. 면역 치료는 암을 억제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면역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들을 잔뜩 집어넣습니다."




때로 방패가 창이 된다. 면역계가 자기 세포나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이 이 책의 주제다. 뉴욕타임스 기자로 2010년 퓰리처상을 받은 저자는 지난해 출간한 이 책에서 말한다. "우리의 면역계는 과열을 조심해야 한다. 마치 통제에서 벗어난 경찰국가처럼, 방치된 면역계는 부지런히 성장하여 그 어떤 외부의 질병보다도 위험해진다." 질병은 자리를 잡고 성장한 다음 자신이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면역계를 속인다. 면역계가 전체 방어 체계를 기만하여 질병이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미국 인구의 무려 20%, 즉 5000만명이 자가면역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 중 75%가 여성이며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낭창, 크론병, 과민대장증후군(IBS) 같은 질환을 앓고 있다. 자가면역은 미국에서 심혈관 장애와 암 다음으로 많은 질병이다.


저자의 죽마고우 제이슨도 자가면역 질환자다. 제이슨은 2010년 면역계에 림프종이 생기는 호지킨병 진단을 받았다. 제이슨의 몸은 면역계를 이용해 암을 마치 소중하고 건강한 새 조직인 것처럼 보호하게 했다. 걷잡을 수 없이 자라나는 종양과 싸우며 고통받던 제이슨은 2015년 최신 면역 치료제를 사용해 억제된 몸의 면역계를 풀어주는 면역 치료를 받았다. 처음엔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보였다. 7㎏에 달했던 종양이 사라지고 없었다. 그러나 병은 곧 재발했고 등뼈가 부러지는 등의 합병증이 제이슨을 덮쳤다. 저자는 "면역 치료로 균형에서 벗어난 몸이 '과잉 보상'을 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제이슨이 여생을 신장 투석을 하며 살거나 장기 손상으로 죽을 것이란 말이 들려왔다. 그리고 곧 그는 세상을 떠난다. 친구의 부고 기사를 쓰면서 저자는 생각한다. "어쨌든 면역 치료 덕분에 제이슨은 1년을 더 살았다. 하지만 그가 죽은 마당에 그게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제이슨, 류머티즘성 관절염 환자인 린다, 루푸스를 앓는 메러디스, HIV에 걸린 밥 등 자가면역 질환자 네 사람의 사례를 치밀하게 취재해 들려주며 저자는 "면역계라는 '우아한 방어'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균형과 조화'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약은 인간의 생존을 가능케 한 정교한 균형을 유지하게 하려는 관점에서 사용되어야지, 약을 이용해 면역계를 의도적으로 억제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젊은 코로나 환자들의 주요 사망 요인으로 추정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대표적인 예다. 2006년 제약회사 테네게로가 실시한 면역 치료제 임상시험에 참여한 건강한 여섯 명이 여덟 시간 만에 모두 중환자실에 들어갔다. 면역계가 활성화돼 면역계에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 사이토카인이 급속히 배출되면서 염증 반응 등으로 인체가 급격하게 공격당했기 때문이다.


 

면역이 지나치게 강하면 외부의 질병보다 더 위험하다. 면역계가 과열되어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은 심혈관 장애와 암 다음으로 많은 질병이다/Health Essentials - Cleveland Clinic

edited by kcontents


백신도 성급하게 만들 일이 아니다. 잘못된 조합은 우리를 보호해 주는 대신 죽일 위험을 수반한다. 1930년대 소아마비 백신 초기 테스트에서 임상시험에 참여한 어린이 300명이 마비된 사례가 있다. 저자는 말한다. "혁신이 우리의 '우아한 방어'망에 날개를 달아줄 때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은 시험은 우리에게 위험이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우리 자신이 면역계를 엉망으로 만든 것이다."




탄탄한 취재와 유려한 내러티브가 지식과 감동을 주는 책이다. 백신·투약 등 역병의 시대, 우리 모두의 고민을 곱씹게 한다. 면역학의 역사를 다룬 부분도 흥미롭다. 친구의 병 때문에 면역학에 천착하게 된 저자는 면역계가 '배신'을 일삼는 이유를 이렇게 결론 내린다. "면역계가 우리를 개별적으로 방어하도록 진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면역계는 우리의 유전형질과 종을 전반적으로 방어하도록 진화했다. 면역계는 우리가 재생산을 하여 자손을 돌볼 때까지 우리를 살아 있게 하는 특별한 일을 한다. 그리고는 우리를 치워버리는 더 좋은 일을 한다." 원제 An Elegant Defense.

곽아람 기자 조선일보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2/2020052203752.html


인류는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 듯…"면역력 생겨도 80일뒤 재감염 가능"


    면역은 몸이 외부에 있는 병원체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들어 독소를 중화하거나 병원체를 죽이는 현상이다.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해준다. 질병마다 면역의 효과 정도, 유지기간 등은 모두 차이가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경우 아직 그 비밀이 밝혀지지 않았다. 영국 연구팀이 코로나19에 대한 면역은 시간이 지남이 따라 줄 것이며 회복 80일 이후 다시 감염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폴 켈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대 바이러스유전학과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 면역 관련 연구결과 40여개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일반 바이러스학 저널’ 21일자에 발표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NIAID 제공



New review discusses findings on coronavirus immunity


A new review discusses the findings from over 40 studies on coronavirus immunity and what they could mean for the Covid-19 pandemic.


Written by top UK virologists, the article discusses the existing knowledge about immune responses to SARS-CoV-2 and other coronaviruses, and how this could be used to inform virus control strategies. The review, which is free to read in the Journal of General Virology (JGV), collates the available scientific evidence in a number of key areas, including how long immunity to coronaviruses lasts and the prospect of antibody testing.


View full text

https://www.news-medical.net/news/20200522/New-review-discusses-findings-on-coronavirus-immunity.aspx


edited by kcontents


코로나19 면역에 대해 많이 알려진 것이 없다. 면역 반응이 얼마나 좋은지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면역 수준을 알아야 하는 것은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고 감염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코로나19에 이른바 ‘집단 면역’ 대응법을 내세웠던 스웨덴은 면역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이런 대응법에 실패를 맛봤다. 


집단면역은 집단의 ‘상당’ 부분이 전염병에 대한 면역을 가진 상태를 뜻한다. 인구 내 60%가  면역을 가지고 있으면 전염병의 전파가 느려지거나 멈추게 된다는 것이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집단면역 형성이 중요해진다. 공기전파가 가능한 홍역의 경우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21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지난 4월 말까지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에서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비율이 전체 인구의 7.3%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스웨덴 정부 정책의 실효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스웨덴 정부는 지난 4월 당시 5월 초까지는 스톡홀름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6월 중순까지는 40∼60%의 집단면역 수준에 도달한다고 추정했다.


Business Insider

edited by kcontents


켈럼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인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이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 4종을 재검토함으로써 코로나19 면역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며 관련 40여개 논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코로나19가 향후 몇 년간 지속해서 발생하는 5번째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가 될 수 있다고 봤다. 현재까지 확인된 인간 코로나바이러스는 7종이다. 메르스나 코로나19, 사스처럼 중증폐렴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 3종과 감기와 비슷한 가벼운 증상을 코로나바이러스 4종이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 4종과 같이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도 향후 몇 년간 계속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 근거로 코로나바이러스의 면역력이 시간이 갈수록 떨어진다는 점을 들었다. 연구팀은 “사스와 메르스의 경우 병의 중증도와 같은 요인이 얼마나 면역력이 지속되는 지에 대해 영향을 준다”면서 “공통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면역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증상이 가벼운 코로나바이러스 4종의 경우, 회복 80일만에 재감염이 발생하는 사례도 보고됐다”고 덧붙였다.


켈럼 교수는 “코로나19 면역은 일반 대중부터, 정책 입안자, 과학자들 모두의 관심사”라며 “코로나19 면역 수준을 아는 것은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는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동아사이언스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