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4차 산업혁명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최영진 4차위 지원단 단장, 4차산업혁명 페스티벌 강연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됐다.

데이터·5G·인공지능(AI) 등을 통해 유례없이 빠른 변화의 시대가 열렸다. 대한민국 입장에서도 4차 산업혁명은 이전에는 없던 기회다. 역사상 처음으로 선진국들과 같은 선에서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 됐기 때문이다.

긴박한 순간이다. 한순간의 결정이 퍼스트무버로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도, 멀찍이 뒤처져 선두 그룹의 행보를 부러워만 할 수도 있다. 이처럼 긴박한 상황일수록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정부가 중요하다.

devisionx.com

edited by kcontents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2017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신설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을 심의·조정하고, 규제·제도 혁신 및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역할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아 2년간 쉼 없이 달려왔다.

최영진 4차산업혁명위원회 지원단 단장은 오는 17일 코엑스에서 열리는 ‘4차산업혁명 페스티벌’에 참석해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비전과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이날 최영진 단장은 4차 산업혁명의 의의를 설명하고, 4차위가 추진한 대정부 권고안에 대해 소개할 계획이다. (☞ 행사 페이지 바로 가기)

4차 산업혁명에 정부가 왜 중요한가

4차 산업혁명은 산업은 물론 우리 사회를 혁명적으로 바꿀 수 있다. 가령 자율주행차에 올라 지난 밤 미처 다 보지 못한 드라마를 보며 출퇴근하거나, 병원에 가지 않고 화상으로 의사에게 진단을 받는 모습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의 모습이다.

다만 이 같은 혁명적인 변화는 산업과 사회 각 분야에 따라 다른 속도로 추진된다. 정부 주도 전략이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다양한 분야의 변화를 각각의 구성원에게 맡길 경우, 각 산업·사회의 변화가 국가 전체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4차 산업혁명이 이끄는 변화의 이면에는 ‘불확실성’이라는 위기도 존재한다. AI의 발전이 일자리를 대체하고, 해외 기업의 경쟁력 배가에 우리 기업이 도태할 가능성도 있다. 위기를 사전에 방지하고, 지속적인 혁신을 가속하기 위해서도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우리 정부는 ‘미래 예측보다는 도전과 시행착오를 통한 혁신’을 앞세워 우리 기업 및 사회 구성원의 변화를 지원하겠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4차위가 권고한 4차 산업혁명 대응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4차위는 ▲사회 ▲산업 ▲지능화 혁신을 주제로, 세부 권고안을 수립했다.

우선 사회 혁신을 위해서는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가 전통적인 노동자와 구별되는 만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이라는 목표 아래 인재가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산업 혁신을 위해서는 ▲바이오·헬스 ▲제조 ▲도시 ▲금융 ▲모빌리티·물류 ▲스마트시티 ▲농수산식품 등 6개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전략을 수립했다.

구체적으로 바이오·헬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 합리화 및 데이터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조 분야에서는 개방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산업 플랫폼과 제조 빅데이터 구축 지원이 필요하고, 금융 분야에서는 기업의 성장력을 복합적으로 평가·투자해 변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images.app.goo.gl

edited by kcontents

이밖에도 ▲모빌리티·물류 분야는 자율주행에 대응하기 위한 청사진 마련 ▲스마트시티 분야는 민관합동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지속성 있는 사업 추진 지원 ▲농수산식품 분야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 지원 등이 과제로 지목됐다.

지능화 혁신을 위해서는 ‘기술-데이터-스타트업’ 협업 체계의 중요성을 말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인공지능·데이터·사이버보안·블록체인 등을 강화하기 위한 인재 및 제도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향한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우리보다 한발 앞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한 미국·일본·독일·중국 등은 획일화된 전략과 자본으로 혁명적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우리의 4차 산업혁명 전략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정부 차원의 로드맵과 함께 국민적 공감대 형성도 필요한 시기다. (☞ 행사 등록 바로가기)
선민규 기자 zd net korea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