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제2의 과천·광명 되나"/ 남쪽으로 몰리는 뭉칫돈


"제2의 과천·광명 되나"… 규제 느슨한 수원에 주택수요 몰려


     경기도 수원의 주택시장이 심상치않다. 수원은 삼성전자라는 거대한 수요가 있지만, 노후화된 주택과 생활인프라 탓에 집값은 경기도 안에에서도 그다지 비싸지 않았던 지역이었다. 하지만 부동산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걸 노린 수요자들이 도시정비사업 바람이 부는 영통·팔달구를 중심으로 몰리며 주택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원 아파트 매매가는 11월 25일 기준으로 한 주간 0.24% 상승했다. 전주(0.34%)보다 상승폭이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영통구와 팔달구를 중심으로 집값 상승폭이 가파르다. 7월 초부터 11월 25일까지 수원 아파트 매매가는 1.84% 올랐는데, 팔달구와 영통구가 각각 2.63%, 3.89% 상승하며 강세를 이끌었다. 경기도 시·군·구 중 영통구보다 많은 오른 곳은 과천시(10.10%), 성남 수정구(5.33%), 광명시(4.92%), 하남시(5,07%) 정도다. 같은 기간 경기도 전체로는 평균 0.83% 오르는데 그쳤다.


코오롱글로벌이 경기도 수원에 공급하는 ‘수원 하늘채 더 퍼스트’ 견본주택을 찾은 방문객들. /코오롱글로벌 제공


청약시장에서도 과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27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코오롱글로벌의 ‘수원 하늘채 더 퍼스트’ 1단지 청약경쟁률은 평균 88.16대 1을 기록했다. 이는 2010년 광교신도시 분양 당시를 제외하면 약 10년 만에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같은 날 1순위 청약이 진행된 2단지 역시 42.881대 1의 평균 청약 경쟁률이 나왔다.


수원 주택시장이 요동치는 건 우선 새집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를 제어할만한 부동산 규제도 상대적으로 덜하다 보니 시장 반응이 즉각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원에서는 수도권 2기 신도시로 계획된 광교신도시와 신도시급으로 조성된 권선구 호매실지구 정도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새 아파트가 없었다. 최근 수원역 인근에 ’수원역 푸르지오자이’ 등의 새 아파트가 공급됐지만, 여전히 도심 새 아파트 물량은 부족하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원에서 입주 10년 이상 된 아파트 비율은 67.5%다.


이런 상황에서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거주환경이 좋아질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 당장 내달 현대건설이 수원 팔달구 팔달6구역 재개발하는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을 분양한다. 수원시 따르면 9월 18일 기준으로 재건축은 15곳, 1만382가구가 사업을 추진 중이고, 이중 관리처분계획인가를 2곳이 받았다. 재개발은 11곳이 추진 중인데, 관리처분계획인가가 난 곳은 8곳에 이른다.


팔달구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수원의 경우 기본적으로 주택 수요가 있는 지역이지만, 그동안 집값이 광교 등 새 아파트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만 올라 나머지 지역이 한참 동안 소외됐던 측면이 있다"며 "서울이나 과천 등과 달리 투기과열지구, 분양가상한제 등의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데다 재개발·재건축으로 새집이 많이 공급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다 보니 최근 들어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까지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진혁 기자 조선비즈 


남쪽으로 몰리는 뭉칫돈…광주·부산·울산 주택거래 '급증'


10월 광주 주택 매입 거래량 688건

월평균 6.5배↑…2006년 이후 최다

울산 재개발 등 호재…매매가 상승

조정지역 해제된 부산, 투자 늘어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로 서울의 집값이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자 지방으로 원정 투자하는 서울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광주·부산·울산 등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방 거점 대도시의 주택 매입 거래량이 치솟고 있다. 서울에서 매물 잠김현상으로 거래절벽에 부딪힌 이들이 남하하면서 새로운 투자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4일 한국감정원의 주택 매입자 거주지별 거래 통계를 보면 가장 눈에 띄는 지역이 광주다. 올해 10월 서울 거주자가 광주 주택을 매입한 거래량은 688건을 기록했다. 월 평균(105건) 거래량의 6.5배 많은 수준으로, 2006년 감정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월별 거래량이 가장 높은 수치다.


뉴데일리

edited by kcontents


현재 광주는 미분양은 줄면서 아파트 가격이 높아지는 등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는 평가다. 경제만랩에 따르면 광주 미분양 주택 수는 지난해 9월 194가구에서 올해 9월 139가구로 28% 줄었다. KB부동산은 11월 광주 아파트의 중위가격이 1억 9772만원으로 전년 대비 8.79% 상승해 5대 광역시 평균(1.95%)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서울 거주자들이 10월 광주 주택을 매입한 688건 중 대다수는 광주 남구에 몰려 있다. 627건으로 전체의 90%를 넘는다. 이 중에서도 광주의 이른바 지역 대장주로 꼽히는 남구 봉선동에 관한 관심이 높다. 광주의 유명 학군인 봉선동은 주거지역으로 선호도가 높아 고급 아파트 매물의 경우 10억원 대를 넘어선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봉선동 한국아델리움1단지 전용 155.82㎡는 지난 10월 26일 13억8000만원(17층)에 팔려 광주 월간 최고가를 기록했다.




울산도 아파트값이 상승국면이다. 10월 서울 거주자가 울산 주택을 매입한 거래량은 53건으로 8월(24건), 9월(37건)에 이어 증가세가 뚜렷하다. 감정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의하면 울산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2% 상승하며 9주 연속 상승세다. 울산 남구 신정동의 아파트값을 이끄는 문수로2차IPARK2단지 전용면적 84.99151㎡는 지난 10월까지만해도 5억3978만원(4층)에 팔렸으나 지난달에는 같은 평형이 6억45000만원(6층)에 거래됐다. 한달 새 1억원 넘게 가격이 뛴 것이다.


이는 지난 8월 현대중공업의 대형 선박 수주 달성과 함께 지역 곳곳의 재개발 사업 추진 등 호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공급이 줄어드는 수요공급 원리가 작동했단 분석도 있다. 감정원 한 관계자는 “울산에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전반적으로 많은 단지가 오르고 있다”며 “최근 3년간 연 1만 가구 정도 아파트가 공급됐지만 내년부터는 입주 물량이 2000여가구 수준으로 대폭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부산 해운대 모습/부산일보

edited by kcontents


부산은 지난달 정부가 해운대구·동래구·수영구 등을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하면서 집값이 요동치는 지역이다. 10월 서울 거주자가 부산 주택을 매입한 건 150건으로, 역시 전달인 9월(115건)보다 눈에 띄게 늘었다. 외지인의 투자 유입에 따른 집값 상승도 수치로 확인되고 있다. 감정원의 자료를 보면 11월 둘째 주 부산 부동산시장은 2017년 3분기 이후 약 113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조정지역 해제 직전인 10월 4900건으로 올해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실제 해운대구 중동에 위치한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전용면적 153.57㎡는 지난 10월 28일 8억9500만원(28층)에 거래됐지만 11월에는 같은 평형이 13억5000만원(22층)에 팔렸다. 조정지역 해제 후 한달 만에 가격이 무려 4억5000만원 이상 급등한 것이다. 부산 해운대구 J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조정지역에서 벗어나면서 해운대구와 같은 랜드마크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다”면서 “서울에서 문의와 투자를 하는 곳이 최근 급격하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지금은 일시적으로 거래가 이전보다 늘어나고 가격이 오를 수는 있지만 상승폭이 계속될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정두리 김미영 기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