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3·4호기 부실공사 원인 공방 제자리…현대건설 "설계대로 했을 뿐"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현대건설의 한빛 3·4호기 원전 부실공사 책임을 추궁했다. 그러나 현대건설은 하자보수를 위한 협의체 구성을 이유로 원인에 대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21일 국회 과방위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송진섭 현대건설 본부장은 부실 공사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 "발주처(한수원)에서 제공받은 도면과 시방서 대로 시공을 했다"며 "콘크리트 타설 작업도 발주처의 변경허가를 받아 진행했다"고 말했다.

전남 영광에 위치한 한빛 원자력발전소 1~6호기 전경. / 조선DB

한빛 3·4호기 원전은 1996년 완공 직후 격납건물 콘크리트벽에 구멍(공극)이 발생하고 내부 철판(CLP) 부식이 다량 발견돼 부실 시공 의혹이 제기됐다. 2017년 11월 출범한 민관합동조사단이 발견한 공극 수만 245개다. 이 가운데 157cm 크기의 공극도 발견된 바 있다.



이날 이개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송 본부장을 향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보강재를 그대로 두고 시공한 것 아니냐"며 "보강재를 그대로 둬 빈 공간이 생성된 벌집 원자로를 만든 책임이 없나"고 물었다.

송 본부장은 "우리가 임의로 할 수는 없다"며 "문의를 해서 (보강재를) 그대로 두고 해도 좋다고 해서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한수원 측은 "당시 기술 감리를 맡은 한국전력기술에서 보강재를 제거하면 CLP 접합부위가 손상될 수 있어 그대로 두기로 한 것"이라면서 "그렇다고 시공사 책임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종훈 의원(민중당)은 "현대건설의 책임 있는 대답을 원한다"면서 "1994년에 이미 공극이 발견된 보고서도 있는데 우린 할 바 다했다는 식의 답변으로 원인과 책임 규명을 미루지 말라"라고 질타했다.



한빛 3·4호기의 비정상적 공극 발생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한수원과 현대건설은 국회 과방위의 중재로 지난 17일 한빛 3·4호기 하자보수를 위한 협의체 구성만 합의했다. 여기에 원안위와 전문가들도 참여해 원전 안전 관리를 점검한다.

송 본부장은 "우리가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의미가 아니다"라며 "협의체에 적극 참여해 우리 역할에 대해 논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협의체에서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가 먼저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엄재식 원안위원장은 "우리는 공극이 원전 구조건전성의 핵심문제라고 인식해 원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관련 기관들과 힘을 합쳐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환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