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價 6만원대 깨졌다/ 태양광 ESS 시장 다시 훈풍 부나


REC價 6만원대 깨졌다 ... 태양광 사업자들 울상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격이 5만원대를 기록하면서 하향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원대에 형성됐던 REC 가격이 반토막 수준이 된 것이다.


전력거래소가 지난 7월 30일 공지한 REC 현물시장 거래 속보에 따르면 이날 REC 육지 평균가격은 5만9965원을 기록했다. 7월 들어 앞서 두 달가량 유지되던 6만원 선이 무너진 것이다.




HEUNGCHANG


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로써 생산한 전기의 양에 따라 에너지관리공단에서 REC를 발급받고 50만KW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21개의 공급의무자에게 판매하는것을 말합니다.

edited by kcontents


이에 따라 업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REC 가격 하락은 곧 태양광 사업 수익 감소로 이어져서다. 태양광 발전소 소유주는 전력 판매(SMP)와 REC 판매로 수익을 얻는다. 일부 사업자는 SMP와 REC 가격을 고정시키고 장기간 판매하는 계약을 맺지만, 나머지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은 현물시장에서 REC를 거래한다. 


1일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00kW 미만 소규모 태양광 설비는 2만 9000개로, 이중 1만 1000여개에 달하는 설비가 현물시장에서 REC 거래를 하고 있다. 


올해 들어 REC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지면서 태양광 발전소 소유주들은 정부에 책임을 묻고 있다. 태양광 보급 확대에만 신경 쓰고 이미 형성된 시장에는 손을 쓰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홍기웅 전국태양광발전사업자연합회 회장은 “정부는 REC 가격 안정화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를 늘리겠다고 천명한 정부가 정작 태양광 사업주들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손을 놓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REC 가격 하락으로 인해 투자 원금 회수 기간은 늘고 있다. 통상 태양광 사업은 7~8년 내에 투자 원금 회수를 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사업자들은 지난해 기준으로 100kW 태양광 발전소에 2억원을 투자할 경우 월 평균 220만원가량의 수익을 얻어 7~8년 내에 원금 회수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최근 REC 가격 하락으로 수익이 월평균 50만원가량 줄어들면서 원금 회수 기간이 10년 이상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신규 태양광 사업 보급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사업자는 “올해 태양광 보급이 크게 늘었다고 정부는 홍보했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사업 전망은 밝지만은 않다”며 “태양광 수익성이 이렇게 떨어지고 있는데 어떻게 사업을 제안하냐”고 토로했다. 


6월까지 REC價추이/신재생원스톱시업정보통합포털/출처 https://m.blog.naver.com/haezoom/221585988699

edited by kcontents


정부는 이에 대해 난감한 입장을 표하고 있다. 정부 한 관계자는 “REC의 하락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라 발전단가가 내려가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최근 REC 가격이 급격히 내려가고 있는 점은 지켜보고 있고 여러 가지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규모 태양광 사업자가 모여 있는 전국태양광발전사업자연합회는 청와대 집회를 준비 중이다. 홍 회장은 “이달 내 청와대 앞에서 집회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정부 정책 결정자들이 하루빨리 태양광 사업자들의 고충을 알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해결책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예지 기자 kimyj@electimes.com 전기신문


태양광 ESS 시장 다시 훈풍 부나


ESS 화재 사태  태양광 연계 ESS 시장 극복 분투


    #ESS 설비 제조와 시공을 담당하는 A사는 지난 7월 19일 태양광 100kW 설비에 연계된 ESS 설비의 사용전검사를 통과했다. A사 관계자는 “강화된 검사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화재 방지와 성능 보증 기준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ESS EPC 전문기업 B사는 지난달 25일 경북 문경에서 500kW 태양광 설비와 연계된 ESS 설비의 사용전검사를 받았다. B사 역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월 ESS 사고원인 조사 결과와 함께 발표한 안전강화 대책을 따르기 위해 까다로운 시공 절차를 밟았다.




ESS 화재 사태를 겪은 태양광 연계 ESS 시장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화재로 잠시 주춤했던 ESS 사업을 다시 활발하게 벌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조도/미디어 인사이트세미콘

edited by kcontents


최근 태양광 업계에서는 태양광 연계 ESS 사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 지난 6월 발표된 산업부 ESS 안전강화 대책에 따라 강화된 시공기준에 맞춰 설비 시공이 이뤄지면서다. 한 ESS EPC사 관계자는 “대책 발표 전과 비교해 시공 기준이 훨씬 엄격해졌다”며 “대책 전 기준의 강도를 1로 둔다면 지금은 8쯤 된다”고 말했다. 바뀐 규정을 따라가다 보니 시공사의 설치 비용 역시 높아졌다. 금융 대출 기준도 까다로워져 PF를 받는 것도 전보다 어렵다. 이에 대해 또 다른 관계사 ESS 설치 담당자는 “시공과 관련한 여러 기준이 깐깐해졌고 보험요율도 높아져 대기업이나 실적이 많은 기업을 제외하곤 시공 장벽이 높아진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체들은 잠시 고비를 맞았던 ESS 사업을 다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유인은 태양광 연계 ESS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다. 산업부는 지난 6월 11일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내년 6월까지 REC 가중치를 5.0으로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계획대로라면 가중치 5.0은 올해까지만 유지됐어야 했다. 


이에 따른 시장의 분위기는 ‘반반’이라는 게 업계의 총평이다. 가중치 5.0으로 전력 생산의 약 5배에 달하는 ESS분 소득을 올릴 수 있으니 설치를 탐내는 사업자도 있고, 반대로 여전히 화재 위험부담과 REC 현물 가격 하락으로 인한 태양광 사업 자체의 수익성을 보수적으로 보는 사업자들도 있다는 것이다. 


ESS 사업자들은 안전 시공을 내세워 기존 태양광 발전사업자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신규 예비 태양광 사업자가 아닌 태양광 발전단지 소유주들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하고 ESS 설치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다. 일부 태양광 기업은 ESS 사업 관련 설명회를 열고 ESS 사업 수익과 사업 전략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국 전역에 걸친 영업조직망 형성에도 공을 들이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사용전검사 절차가 1차, 2차로 나뉘며 더 까다로워졌지만 그만큼 안전에 신경을 쓴다는 의미도 되지 않겠냐"면서 "ESS에 관심을 보이는 사업자들은 여전히 있기 때문에 가중치 5.0 혜택이 있는 내년 상반기까지 ESS 사업 자체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예지 기자 kimyj@electimes.com 전기신문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