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상한제에 숨죽인 건설株…"지금이 매수 타이밍"

분양가 상한제에 숨죽인 건설株…"지금이 매수 타이밍"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달 초 분양가 상한제 시행 추진 의사를 밝힌 이후 건설주들이 급격한 조정을 받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분양물량이 감소해 주택부문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작용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건설업종지수는 지난 19일 101.87로 마감해 이달들어 10.46% 떨어졌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1.70%)에 비해 낙폭이 훨씬 크다. 시공능력 평가순위 5위권 건설사 가운데 삼성물산(93,400 +1.41%)(이달 등락률 -2.40%) 현대건설(46,150 -0.11%)(-13.89%) 대림산업(106,000 +3.92%)(-7.82%) GS건설(34,800 +1.61%)(-13.75%) 대우건설(4,525 +2.03%)(-8.40%) 등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가들은 주요 건설주 ‘팔자’에 나서고 있다. 7월 들어 외국인은 현대건설(620억원 순매도) 태영건설(13,700 0.00%)(83억원) 대우건설(62억원) 등을, 기관은 현대건설(410억원) 대림산업(350억원) GS건설(330억원) 등을 많이 팔았다.


과거에도 분양가 상한제 시행이 발표된 이후에도 요즘과 비슷한 주가흐름이 나타났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일반에 건설·공급되는 모든 공동주택에 대해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1·11 대책이 발표된 2007년 1월이 대표적이다.


       


성정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007년 1·11 대책 발표 후 1개월만에 건설업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주가/주당순자산)은 1.5배에서 1.3배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후 빠르게 반등해 그해 10월엔 PBR 2.7배 수준까지 치고 올라갔다. 현대차증권은 2007년 건설주 반등요인으로 △택지비 탄력적용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 감소 △상한제 시행에 따른 밀어내기 분양 증가 △얼마 남지 않았던 대통령 선거 이후 건설투자 증가 기대 △각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확대 네 가지를 꼽았다.


증권업계에선 이같은 과거 사례와 주요 건설주들의 최근 실적개선 추세, 기준금리 인하 등을 감안할 때 지금이 건설주 저가매수 타이밍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성정환 연구원은 “2007년과 달리 지금은 미분양 물량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데다 당시와 다르게 금리인하 국면이라는 점도 긍정적”이라며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된 만큼 추가하락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부동산114 등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30만 가구로, 지난해(33만 가구)보다 9.0% 감소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6만 가구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과 실적 측면에서도매력적이란 평가다. 지난달 말 0.8배였던 건설업종 PBR은 최근 0.7배로 떨어졌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9870억원으로 지난해(8400억원)보다 17.5% 많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정책이 구체화될수록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낙폭을 회복할 것”이라며 “지금은 하락률이 컸던 종목을 중점적으로 매수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한국경제


분양가상한제 예고에 건설주도 급락


   지난 한 주 건설ㆍ부동산시장의 최대 화두는 단연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슈였다. 정부는 사실상 이 제도의 시행을 공언했고, 강  남 재개발·재건축 시장은 출렁였다.


또한 증시에서도 건설주들의 주가가 급락했다. 이에 대해 증권사 연구원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놨다.


성정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도입으로 인해 재개발·재건축 프로젝트 분양의 취소ㆍ연기로 인한 분양 물량 급감, 건설사 수익성 악화 우려로 건설업종 주가순자산배율(P/B)는 6월 말 0.81배에서 0.72배 수준으로 급락했다”면서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등 주택에 강점을 가진 건설사 주가는 10%이상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자료=부동산114, 현대차증권


그는 이어 “하지만 규제에도 불구하고 2007년 사례 참고시 건설업종 주가 반등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며 “당시에도 1.11대책으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도입이 예고되면서 건설업종 P/B가 1.54배에서 1.39배로 급락했지만 연말까지 분양 물량이 큰 폭으로 늘며 주가 반등에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성 연구원은 “2007년과 달리 현재 미분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대출 부담이 줄어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이 현재 수준에서 추가로 낮아질 가능성 역시 크지 않은 점은 긍정적 요인이다”고 말했다.


또한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대책이 나와봐야 겠지만 정부 정책은 3~6월보다는 4~7월의 가격 추이를 반영해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을 확대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전국적인 상한제 적용보다는 서울의 투기ㆍ투기과열지역 중심으로 상한제가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건설산업 전체를 위축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분양 가상한제 이슈가 있는 동안에는 현대건설을 중심으로 한 방어적 포트폴리오가 유리해 보이고 정책이 구체화될수록 영향 분석을 통해 낙폭을 회복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며 “정책이 현실화된다면 예상보다는 적용 지역이 적을 수 있고 이때는 낙폭이 컸던 HDC현대산업개발 등을 적극 매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성헌 기자 carlove@etoday.co.kr 이투데이

케잌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