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제보복에 원·달러 환율 9거래일만에 최고/ 무역분쟁 확전 우려에 코스피, 2,100선 붕괴
日 경제보복에 원·달러 환율 9거래일만에 최고
원·달러 환율 1,166.0원 마감…7.2원 ↑
원·달러 환율이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9거래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마감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 소식이 원화 약세 요소로 작용한 동시에 미국과 유럽연합(EU)의 무역갈등에 달러는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7.2원 오른 1166.0원에 마감했다. 이날 3.3원 오른 1162.1원에 출발한 환율은 상승폭을 키우면서 오후 2시40분경 1167.8원까지 올랐다.
7월4일 3시 40분 현재 환율 추이/다음증권
edited by kcontents
전날에 이어 일본의 경제보복 이슈가 원·달러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아베 총리가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와 관련해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칙에 정합적이다(맞다). 자유무역과 관계없다"고 주장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원화의 약세가 지속됐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전날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달러는 미·EU간 무역갈등으로 강세를 보였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전날(현지시간) EU를 겨냥해 고율 관세 대상에 40억달러 규모의 89개 세부품목을 추가하고 의견 수렴 절차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지수는 96.83으로 전일대비 0.73% 상승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 28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20개국 정상회의 도중 착찹한 표정을 짓고 있다. /AFP 연합뉴스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어제 일본의 제재 발표 이후 오늘 아베 총리의 인터뷰까지 이어지면서 시장 심리에 영향을 미쳤고 미국이 유럽하고도 무역갈등을 나타내 달러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고 설명했다.
조은임 기자 조선비즈
무역분쟁 확전 우려에 코스피, 2,100선 붕괴
미국, EU 수입품에 관세부과 검토·일본은 반도체 부품 수출 제한
2100선 밑돈건 지난달 18일 이후 처음…외인·기관 매도 폭탄 던져
4일 다시 회복...잠시 반등?
무역분쟁 확전 우려가 불거지며 코스피 2100선이 무너졌다.
3일 코스피는 전거래일대비 26포인트(-1.23%) 내린 2096.02로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2100선을 밑돈 것은 지난달 18일(2098.71) 이후 처음이다.
지난밤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상승했다.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0.29%뛰었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각각 0.26%, 0.22% 올랐다.
코스피는 이날 전일대비 1.27포인트(-0.06%) 내린 2120.75로 출발했다. 지수는 장 초반 상승반전해 2127.71포인트까지 오른 뒤 급락했다. 오후 들어 2090선 초반대(2093.32)까지 내리기도 했다.
코스피가 급락한 것은 무역분쟁 확산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간 무역분쟁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여기에 일본이 우리나라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필수 소재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투자심리가 약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거래량은 5억1018만주, 거래대금은 4조5124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주체별로 개인이 1650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97억원, 435억원 순매도했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 합계 1609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7월4일 3시 40분 현재 주가 추이/다음증권
edited by kcontents
업종별로 증권(-3.58%), 건설업(-2.48%), 보험(-2.45%), 전기·전자(-1.92%), 금융업(-1.90%), 은행(-1.75%), 운송장비(-1.73%), 유통업(-1.34%), 섬유·의복(-1.30%), 기계(-1.30%), 제조업(-1.26%)의 낙폭이 코스피지수(-1.23%)보다 컸다.
전기가스업(1.60%), 의료정밀(0.89%), 서비스업(0.02%)이 상승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하락이 우세했다. SK하이닉스(-3.22%), KB금융(-2.17%), 삼성바이오로직스(-1.85%), 삼성전자(-1.84%), 삼성물산(-1.26%), 현대모비스(-1.08%), POSCO(-1.01%), SK텔레콤(-0.96%), 신한지주(-0.78%), 현대차(-0.73%)가 내렸다.
NAVER(2.17%), LG화학(2.01%), 셀트리온(0.49%), LG생활건강(0.16%)이 올랐다.
종목별로 국보(29.85%)가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이 회사는 전날 장 마감 후 오는 19일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의안은 상호 변경(카리스국보), 합성수지 제조·판매업 등 사업다각화를 위한 사업목적 추가 등 정관 일부 개정과 사내이사 유철·하현 씨와 사외이사 신남규·유은상 씨 선임이다.
정부와 여당, 청와대가 일본의 수출규제 대응 방안으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개발에 매년 1조원 수준의 집중 투자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후성(17.53%), 유니온머티리얼(11.26%) 등이 상승했다.
송원산업(9.26%)은 일본 반도체 수출 규제 품목 3개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PR)의 핵심원료 제조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화도 이미 마친 것이 알려지며 상승했다.
국동(-14.42%)은 유상증자 신주 물량 부담에 하락했다. 이 회사는 지난달 26일 유상증자에 따라 기명식 보통주 1350만주를 주당 발행가액 1370원에 새로 발행했다. 이는 이 회사의 현 상장주식수(1404만7495주)에 버금가는 수준의 규모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오는 5일이다.
전체 상승 종목 수는 상한가 1개를 포함해 200개, 하락 종목 수는 하한가 없이 634개다. 보합은 61개다.
한편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3.21포인트(-0.46%) 내린 693.04로 마감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대비 5.30원(0.45%) 오른 1171.3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승일 기자 에이원뉴스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