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한국 중재자 아니다"·..."이제 고마해라"/美·유엔 시선 싸늘한데… 한국은 "중재 역할 크다" 고집


최선희 "한국 중재자 아니다"·..."이제 고마해라"


위기 맞은 文 중재자론


최 “협상 중단” 엄포에 한·미 긴장

트럼프는 보고받고도 사흘째 침묵

“북 레드라인 넘지말라 경고” 분석

미국,  의구심 … 북한은 외면


    17일 청와대가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남북한으로 ‘바통’이 넘어왔다”고 강조했지만, 그동안 진행된 한국의 중재 역할이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조야는 한국 정부의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재개 희망에 의구심을 보이는데 북한은 ‘중재자 한국’을 거부하면서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지난 15일 평양 기자회견에서 ‘협상 결렬’ 가능성을 공개 거론하며, 한국에 대해 “남조선은 중재자가 아니고 플레이어”라고 선을 그었다. AP통신은 최선희는 한국은 ‘워싱턴의 동맹’이라며 이같이 발언했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15일(현지시간) 최선희의 중재자 관련 발언을 거론하며 “문재인 대통령의 노력이 북한에서도 완전히 인정받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전했다.   



  

WP는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의 ‘김정은 수석대변인’ 발언을 전하면서 “공격은 국내 정적만 아니라 미국과 유엔에서도 나오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최선희. [연합뉴스]

  

청와대는 북·미가 판을 깨려는 상황이 아니라며, 회담 재개를 위해 남북간 9·19군사 합의 이행을 강조했다. 정부 당국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했던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를 초기 비핵화 조치의 상응조치 중 하나로 검토했지만 미국의 입장이 워낙 완강하다”고 말했다. 미국이 대북제재 유지를 고수하는 상황에서 북한을 설득할 카드로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 조치에 힘을 들이는 모양새다. 그러나 북한이 한국 정부에 손을 내밀 지는 미지수다. 

  

남북은 지난해 정상회담을 포함, 27차례 회담했다. 올해 들어선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지난해 9월 남북 간 상시 접촉 장소로 문을 열었던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도 이달 1일부터 접촉이 중단됐다. 지난 1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을 찾아 정상회담을 하고, 지난주 북한 대표단이 중국·러시아를 찾은 것과 비교되는 장면이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하노이 회담 결렬로 김 위원장이 입은 상처를 한국 정부에 돌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정부는 말을 아끼고 있다. 최 부상의 회견 하루 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과 대화를 계속하는 것이 행정부의 바람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실험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한 정도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방부를 방문해 국가안보회의(NSC) 비공개회의를 주재했지만 17일 새벽(현지시간)까지 언급을 피하며 48시간 넘게 침묵했다.   

  

워싱턴 외교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방부 NSC 회의에서 조지프 던포드 합참의장 등에게 북한 세부 동향을 보고받았다”며 “그런데도 계속 침묵한 건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는지 주시한다는 경고의 의미”라고 말했다. 수미 테리 전략국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WP에 “한 백악관 관리가 지난주 비공개 브리핑에서 외교·안보 전문가들에게 ‘지난달 김 위원장과의 회담이 대통령에게 북한 정권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할 의사가 없다는 점을 확신시켰다’고 밝혔다”고 썼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중앙일보




美·유엔 시선 싸늘한데… 한국은 "중재 역할 크다" 고집


외교 고립 자초하는 대북정책

2차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미·북 간 중재 역할을 자임해 왔던 문재인 정부에 미국과 유엔 등 국제 사회의 '경고 메시지'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앞으로도 대북 경협과 중재자 역할을 계속할 것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국과 맞서는 모양새가 되면서 외교적 외톨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세안 순방 마친 文대통령 - 아세안 3개국(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순방을 마친 문재인(왼쪽)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6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뉴시스


미 조야(朝野) 곳곳에선 "한국 정부가 앞장서서 대북 제재 공조를 허물려고 한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정부가 명시적으로 반대하는데도 한국 정부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외교 소식통은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이 국제적 논란 대상에 오른 것"이라며 "미·북 간 공전(空轉)이 계속될수록 이런 목소리는 더 거세질 것"이라고 했다.미 워싱턴포스트(WP)는 15일(현지 시각) '하노이 회담 결렬 후 중재자로서 문 대통령의 신뢰성이 위태롭다(on the line)'는 제목의 기사에서 "문 대통령의 '중립적 중재자(neutral intermediary)'로서의 신뢰성은 거의 의심받지 않았었다"며 "(그러나) 하노이 회담이 결렬되면서 한국 지도자의 통치 중심축인 북한과의 화해 국면이 찢겼다"고 했다.


WP는 한·미 대북 전문가들을 인용해 "최근 북한의 타협하지 않는 행동은 문 대통령의 중재 역량의 한계를 부분적으로 반영한다"고 했다. 특히 나경원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12일 문 대통령을 '김정은 수석대변인'에 빗댄 것에 대해 "이런 공격은 한국 내 정적(政敵)들뿐만 아니라 미국 워싱턴과 유엔에서도 나오고 있다"고 했다.




하노이 미, 북 회담 이후 한국 외교 상황

미 국무부는 최근 '2018 국가별 인권보고서'를 내면서 한국 정부가 탈북민의 대북(對北) 비판 활동을 줄이려 했다고 지적했다. WP는 "인권변호사 출신인 문 대통령이 평화 정착을 위해 북한의 비참한 인권을 경시했다는 이유로 끈질긴 비판에 직면한 것"이라고 했다. 유엔도 최근 개성 남북연락사무소에 제공된 유류에 대해 제재 위반 가능성을 지적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이 평양에서 탄 벤츠 차량을 제재 대상으로 명시하며 청와대 경호실에 질의서를 보내기도 했다. 외교 소식통은 "한·미 공조가 약해지면 문재인 정부의 외교적 영향력이 줄어들면서 자칫 고립 상황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하지만 청와대는 17일 미·북 간 대화 촉진을 위해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이 어느 때보다 커졌다고 했다. 동남아 3국 순방을 마치고 16일 밤 귀국한 문 대통령은 청와대로 복귀하자마자 국가안보실로부터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의 '비핵화 협상 중단' 시사 발언 이후 미·북의 반응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미·북 회담 결렬 이후) 이번에는 남북 간의 대화 차례가 아닌가 고민 중"이라며 "우리에게 넘겨진 '바통'을 어떻게 활용해 나갈지 고민하겠다"고 했다. 이어 "부분적이긴 하나 대북 경제 제재(해제 여부)가 논의된 것도 상당한 진전이라고 평가한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완전한 비핵화를 일시에 달성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며 "스몰딜도 충분히 좋은 딜"이라고 했다. 미국이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빅딜' 식으로 일괄 타결해야 한다는 방침을 밝혔는데도, 북한이 주장해 온 단계적 비핵화를 얘기한 것이다. 경협과 제재 해제뿐 아니라 비핵화 방식에서도 미국과 입장차를 노출했다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또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초청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여권 관계자도 "당장은 어렵지만 조만간 북·미 대화가 재개되면 경협 논의에 다시 힘이 실릴 것"이라고 했다.




여권 안팎에선 '대북 특사' 파견이나 남북 정상 간 '판문점 회담' 카드도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복심'으로 불리는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도 지난 12일 토론회에서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판문점에서 만나야 한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북·미 간 움직임을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민석 기자 조선일보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18/2019031800277.html

케이콘텐츠

댓글()